설계자들
김언수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뜨거운 피>가 나에게 준 것은 김언수였다. 책이 가져다준 재미보다 더 큰 선물은 김언수였다. 김언수는 앞으로도 계속 소설을 써낼 것이다. 그 말은 내 삶의 무료와 권태, 좋은 책을 고르는 피곤함이 다소 해소될 것임을 의미한다. 주저없이 고른 두 번째 소설, <설계자들>이다.


<뜨거운 피>에 비해 이야기의 밀도가 낮은 감은 있지만 책장을 넘기게 하는 힘만큼은 여전히 놀라울만큼 강렬하다. 암살자들의 이야기다. 거칠고 촌스럽게 치고받지 않는 그들은 서로 칼 한 자루를 손에 쥐고 반보 싸움을 한다. 정중동. 멈춰 있던 몸이 눈 깜짝할 새에 움직여 급소에 칼날을 꽂는다.


주인공 래생은 '도서관' 소속이다. 도서관은 지난 수 십년 간 대한민국의 권력들이 초법적 수단을 강구할 때 마다 적절한 해결책을 제시해준 암살 단체다. 이 업계는 설계자와 암살자로 구성된다. 설계자는 기획하고 암살자는 실행 한다. 수녀원 쓰레기통에서 태어난 주인공 래생은 도서관에서 자라 암살자 교육을 받고 자연스레 암살자가 된다. 실력 좋고 얼굴도 잘생겼지만 그에겐 알맹이가 없다. 그저 계획에 따라 타겟의 목에 칼날을 꽂는 킬링 머신. 


도서관의 수장 너구리 영감이 래생을 선택한 이유는 그가 고아였기 때문일 것이다. 너구리 영감은 래생을 학교에도 보내지 않았다. 그가 원한건 도서관이라는 시스템을 이룰 부품이었기 때문이다. 가족, 친구, 사랑. 이런 것들은 인간의 존재를 충만하게 만들지만 부품으로선 불량 요소일 뿐이다. 살아갈 수록, 그나마 친구라고 부를 수 있었던 동료 암살자들이 죽어가는 것을 볼 때마다 래생의 숨에 짙은 허무의 냄새가 배어나온다. 래생은 생각한다. 그가 죽을 때 눈물을 흘려줄 사람은 누구인가. 래생 자신은 도대체 무엇을 위해 암살을 반복하는가.


래생의 이름은 올 래(來)에 날 생(生)이다. 래생은 그 뜻을 이번 생은 글렀으니 다음 생에나 잘해 보라는 의미로 해석하지만 이름을 지어준 너구리 영감은 한번도 그 뜻을 말해주지 않는다. 래생의 해석은 일종의 자조로 보인다. 도서관의 부품일 뿐인 자기 삶에 대한 자조. 그걸 알면서도 자신을 이 세상과 연결해주는 유일한 끈인 도서관을 떠나지 못하는 것에 대한 비웃음. 하지만 자조란 확신 혹은 믿음과는 그 궤를 달리한다. 자조에는 그러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그렇게 되고 싶지 않다는 일말의 꿈틀거림이 존재한다.


이 희미한 저항은 암살 시스템 전체를 붕괴시키려는 한 여자 설계자를 만나면서 점점 커져간다. 처음에 래생은 여자의 계획이 무모하며 무의미하다고 생각한다. 사람들은 시스템의 맨 꼭대기에 그것을 통제하는 왕이 있을 거라 생각하고, 그 왕을 죽이고 나면 전체가 무너질 거라 생각한다. 천만의 말씀. 그것은 시스템을 만든 것이 인간이라는 착각에서 비롯된 편견이다. 래생은 말한다. 인간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게 아니다. 시스템이 적절한 인간을 골라 자신을 구성하는 것이다. 악당이 사라진 자리는 눈깜짝할 새에 다른 악당이 차지하고 만다.


그러나 여자는 래생의 말은 아랑곳하지 않고 차근 차근 계획을 수행해 나간다. 그 단호한 의지 속에서 래생은 자신의 삶이 누군가에게 중요한 의미가 될 수도 있다는 것을 어렴풋이 깨닫는다. 올 래에 날 생. 이 이름은 과연 무슨 뜻일까? 그가 핵폭탄을 들고 시스템의 핵심으로 파고든 순간 이름은 완전히 새로운 풀이의 가능성을 지닌다. 올 래에 날 생. 미래를 낳는 자. 아마도 그의 이름은 이렇게 해석되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