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음의 방정식
미야베 미유키 지음, 이영미 옮김 / 문학동네 / 2016년 2월
평점 :
역시 미야베 미유키다. 130페이지 밖에 되지 않는 별 볼 일 없는 이야기를 알차게 눌러 담았다. 음, 이런 이야기를 써볼까? 하며 기지개를 한 번 켜고 쓱쓱 내려간 지 두 시간 만에 한 권이 뚝딱 나온 것 같은 기분이다. 대화가가 쓱쓱 그려낸 일러스트 같달까?
사실 이 책이 엄청난 미스테리를 다루는 건 아니다. 살인범이 나오지 않고 당연히 살인도 일어나지 않는다. 학교에서 일어난 사건을 다루고 있지만 그 흔한 이지메나 자살을 다루지도 않는다. <음의 방정식>은 미야베 미유키가 다시 한 번 그리는 '위증'에 대한 소설이다.
시작은 도쿄의 어느 사립 학교, 중학교 3학년 교실이다. 그들은 동일본 대지진 후 학교에서 중3을 대상으로 시작한 '피난소 생활 체험 캠프'에 참석 중이었다. 체험 내용은 단순하다. 대규모 자연 재해가 발생했을 때의 피난소를 가정해 교실에서 침낭을 깔고 하룻밤을 보내는 것이다. 사건은 D반의 남학생 일곱 명이 모여 있는 3층 교실에 그 반의 담임인 히노 다케시가 들이 닥치며 시작된다.
히노 다케시는 다소 딱딱한 면은 있지만 자신이 지도하는 동아리를 전국 대회에 입상시키는 등 열정적인 교사로 알려져 있다. 거침없는 열정엔 언제나 반대 급부가 따르는 법이라 그것을 불쾌해 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한편엔 그것을 상쇄하고 남을 만큼의 골수 지지자들이 존재한다. 이 히노 다케시가 소등 후 밤 열한 시 쯤 D반 남학생이 모여 있는 교실로 순찰을 왔다. 일곱 명 모두 아직 잠은 자지 않았고 각자 스마트폰을 만지작 거리거나 음악을 듣거나 잡담을 나누고 있었다. 선생이 말했다.
어차피 이 시간에 잘리는 없을테니 과제를 하나 내겠다. 실제로 재해가 일어나면 피난소는 이렇게 태평하지 않아. 물자는 부족하고 시간이 갈수록 악화되지. 그러니까 이렇게 가정해보자. 너희는 완전히 고립됐고 보급은 끊어졌다. 구조는 언제 올지 몰라. 일곱명 모두가 살아남을 수는 없다. 최소한 한 명은 희생되어야 해. 자, 너희는 누구를 선택하겠나? 농담이 아니야. 진지하게 생각해 봐라. 살아남을 여섯과 죽어줄 한 명을 결정하는 거지. 제한 시간은 한 시간.
그러나 이 도전적 질문은 끝내 답을 듣지 못한 채 마무리 된다. 남학생 하나가 한 밤중에 교실을 뛰쳐나가 집으로 돌아가 버렸기 때문이다. 사정이 밝혀지자 학교 측이 새파랗게 질렸다. 히노 선생의 언동은 농담이라고 하기엔 도가 지나쳤고 진지한 의도였다면 더더욱 나빴다. 감수성이 풍부한 중3 아이들에게 누구를 죽이고 누구를 살릴 것인지 묻다니. 아이들은 과연 누구를 죽어 마땅한 아이로 지목했을까? 성적이 나쁜 아이? 뚱뚱한 아이? 아니면 평소에 따돌림을 당하던 아이? 교실을 뛰쳐나간 그 아이에겐 분명 한 밤의 토론이 영향을 끼쳤을 것이다.
이야기는 히노 다케시가 떠나고 난 뒤의 D반 교실을 조명할 수도 있었지만 작가는 그 끝을 쭉 잡아 당겨 새로운 지점에 이어 붙인다.
히노 다케시 선생이 남학생들이 밝힌 일련의 사태를 모조리 부인한 것이다.
이제 이야기는 양쪽의 주장에 코를 바싹 댄 채 위증의 냄새를 맡아 나간다. 누가 거짓말을 하는 걸까? 인기가 많지만 그만큼 적도 많은 히노 선생일까? 아니면 순진한 중학생들일까? 히노 선생은 그 일로 학교에서 쫓겨난다. 과연 중학생들이 완전한 거짓말을 공모하여 자신의 담임 선생을 궁지로 모는 게 가능한 일일까? 히노 다케시의 변호를 맡은 후지노가 말한다.
의지가 강한 리더와 공통된 목적이 있다면 어른들이 기겁할 만한 일도 거뜬히 해치우는 게 그 또래 아이들이에요. 중학교 3학년이라고 절대 만만하게 봐선 안돼요(p. 31).
책장을 덮은 뒤 한 걸음 떨어져 생각해 보면 뭐 별 일도 아닌 얘기를 진지하게 잘도 써놨네 라는 생각이 들지만 막상 읽는 동안에는 이런 점을 전혀 느끼지 못한다. 사건의 진상을 듣고 싶은 마음에 온전히 책 속으로 빠져들고 만다. 도대체 얼마나 글을 써야 이 정도 경지에 오르는 걸까? 역시 미야베 미유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