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변인과 문학 2016.가을
주변인과문학 (월간지) 편집부 지음 / 주변인과문학 / 2016년 9월
평점 :
품절


읽기만 하는 게 싫어 쓰기 시작했고그 일도 어느새 7년이 되 버렸다. 2년 전부터는 소설을 쓰고 있다매일 아침 한 시간. 아침 일찍 나와 글을 쓰고 있으면 오며가며 사람들이 묻는다책은 언제 나오냐고이쯤이면 뭐가 됐어도 되야 하는 게 아니냐고하지만 나의 경우 딱히 구체적인 목표를 정해놓고 쓰는 건 아니다막연히 훌륭한 작가가 되고 싶다언젠가는 글을 쓰는 직업을 가져 바닷가에서 살고 싶다 같은 희망을 갖고는 있지만 그렇다고 1년 안에 소설을 한 권 쓰겠다 신춘문예에 등단하겠다 라는 구체적 비전을 가진 건 아니었다말하자면그냥 쓴다 라고 해야 할까?

 

하루키는 이와 비슷한 얘기를 좀 더 세련되게 말한 적 있다그는 <직업으로서의 소설가>에서 자신이 글을 쓰는 이유에 대해 필연성’ 때문이라고 했다쓸 수 밖에 없는 상황딱히 정의할 수 없는어떤 미지의 힘에 의해 자연스럽게 책상에 앉아 종이를 펼치고 펜을 들게 만드는 것많은 사람들이 이런 건 나도 쓰겠다.” 라고 말하지만 평생 동안 단 한 자도 쓰지 못한 채 흙으로 돌아가는 이유도 이 필연성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그들에겐 써야 할 필연이 없다내림굿을 받지 않으면 온몸이 아파 견딜 수 없는 무병 환자처럼어느 순간 이야기가 목에 걸려 토해내지 않고서는 버틸 수 없는 시간이쓰는 사람에게는 반드시 찾아온다.

 

인간의 삶이란 그 자체가 고유한 이야기고그래서 산다는 것 만으로도 작가가 될 자격을 갖췄다고 말할 수 있지만결국에 쓰는 사람과 쓰지 않는 사람의 차이는 여기서 나고 만다.

 

나는 7년 전 어느 날 그 필연을 느꼈다.

 

이 책의 신인문학상 수상자 명단에 나의 이름이 있다대상은 아니기에 아직 등단한 것도 아니다상금은 적다응모된 소설은 150여편에 지나지 않는다대상을 포함한 수록작 4편에는 그런대로 품격을 겸비한 4편의 소설” 이라는 부끄러운 총평이 붙었고, 내 소설은 이야기 전개가 함께 가지 않고 제각기 노는 것 같아 아쉬울 따름이다.” 라는 말을 들었다. 변명을 하자면, 아마도 글을 쓰는 습관 때문일 것이다. 세 시간, 네 시간 충분히 시간을 갖고 목표한 만큼 쓰는 게 아니라 딱 한 시간, 그 시간을 넘기고 나면 두 말 없이 손을 뗀다. 그래서 이야기는 흐름을 잃고 제각기 놀았던 거겠지. 한다고 했던 퇴고도 아직은 많이 부족한 모양이다.


상을 받고 난 뒤 오히려 자신감이 떨어졌다. 주변 사람들이 많이 읽을 수록 더 그렇다. 그들의 한 마디 한 마디를 침묵으로 받아들이기 어려울 때가 많다. 하지만 이 모든 게 별 수 없는 일일 것이다. 누가 내 글을 조롱하고 업신여긴다 할지라도 나는 계속해서 쓸 수 밖에 없다. 쓰는 마음과 쓴 것에 대해 상처 받은 마음은 완전히 별개의 것이란 생각이 든다. 어쩌면 두 개는 완전히 다른 세상에 각각 떨어져 따로 존재하는 걸지도 모른다. 나는 내 글에 박힌 가장 우울한 말을 들은 날에 썼다. 그것은 어렵거나 어렵지 않다고 따질 수 있는 일이 아니었다. 나는 그냥 썼다. 내 마음이 상처를 받은 게 당연하고 자연스러운 일인 것처럼 쓰는 것 또한 자연스럽고 당연한 일이었다. 나는 이 모든 일을 경험하며 그 근원을 알 수 없는 어떤 감정을 느꼈는데, 그것이 왜 나왔는지 도대체 무엇에 대한 것인지는 모르겠다. 나는 책상에 앉아 그 감정을 표현할 말을 오랫동안 찾아 보았다. 하지만 이 밤이 다 가도록 나는 아직 그 말을 찾아내지 못했다. 그 말을 찾지 못했기 때문에, 나는 계속 쓰는 걸지도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