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상의 책
폴 오스터 지음, 황보석 옮김 / 열린책들 / 2003년 12월
평점 :
품절


다음은 책 날개에 실린 <환상의 책>의 줄거리다.


<환상의 책>은 비행기 사고로 두 아들과 아내를 잃은 대학교수 짐머의 이야기다. 자기 연민과 자살의 충동 속에서 허우적대던 그는 어느 날 우연히 텔레비전에서 무성 영화 시대의 코미디언 헥터 만의 연기를 보고 몇 개월 만에 억제할 수 없는 웃음을 터뜨린다. 순간 아직도 자기 안에 삶에 대한 욕구가 남아 있음을 깨달은 그는 헥터 만이 출연한 영화 필름들을 찾아 떠나기로 결심한다. 헥터 만의 과거와 짐머의 현재가 서로 교차되면서 한 겹 한 겹 그 비밀을 드러내는 헥터 만의 실종에 관한 미스터리와 놀라운 사건의 연속 속에서,


이 소설은 독자들을 현실과 환상, 웃음과 슬픔, 거침과 부드러움이 어우러진 세계로 빠져들게 한다?


대체로 사실은 이 글은 마지막 문장에 이르러 진위 검증을 요구한다.


첫째로 현실과 환상. 이 책은 처음부터 끝까지 그냥 거짓말이다. 짐머도 헥터 만도 그가 나오는 영화도 모두 다 허구다. 이 책엔 현실이 없다. 환상과 환상 속의 환상이 있을 뿐이다. 그러므로 이 문장의 앞 부분은 이렇게 고쳐 써야 옳다. 이 소설은 독자들을 환상과 환상 속의 환상,


둘째로 웃음과 슬픔. 조사 '과'를 제외한 두 단어를 읽는 순간 책 날개 글을 작성한 사람이 웃음과 슬픔의 말 뜻이 뭔지 아는 걸까? 하는 의문이 들었다. 웃음은 하하하. 슬픔은 엉엉엉이다. 이 책은 헥터 만의 코미디 무성 영화를 끈질기게 묘사하지만 하하하는 눈꼽만큼도 찾아 볼 수 없다. 오로지 짐머의 하하하가 있을 뿐이다. 그런데 그건 너무 건조하게 표현되어 있어 독자에게 전해지기도 전에 바짝 말라 바스라진다. 그렇다면 엉엉엉은 어떨까? 이 책은 감정을 꾹꾹 눌러 절제하므로 엉엉엉이라 묘사할 슬픔은 없다. 사건 자체는 비극적이지만 표현은 차분하다. 그런데 그렇기 때문에 슬픈은 엉엉엉을 넘어 가슴 깊숙이 고인 고요한 호수, 그러나 발을 담그는 순간 섬뜩한 차가움에 온 몸이 얼어붙는 슬픔이 될 가능성이 보인다. 고민을 거듭해 보지만 슬픔을 대체할 단어는 생각나지 않는다. 지저분하지만 수식을 더할 수 있을 뿐이다. 그러므로 책 날개의 문장은 다시 이렇게 고쳐 써야 옳다. 이 소설은 독자들을 환상과 환상 속의 환상, 주인공 짐머의 웃음과 절제된 슬픔,


셋째로 거침과 부드러움이. 나는 이 대목에서 글쓴이가 <환상의 책>을 읽어 보기는 한 건가 싶은 의문이 들었다. 거침과 부드러움이라니. 도대체 뭐가 거칠었고 뭐가 부드러웠단 말인가. 나는 이 단어를 아예 삭제할 생각도 해봤지만 그렇게 하면 문장에 리듬이 사라지므로 뭔가 다른 단어로 대체하는 게 옳다는 판단을 내렸다. 그렇다면 뭐가 좋을까? 글쓴이가 책 날개 앞 쪽에 쓴 <우연의 미학>이라는 말이 떠오른다. 우연은 필연적으로 '필연'과 붙을 수 밖에 없다. 그렇다면 우연과 필연이다. 주인공 짐머가 어느 날 TV를 켰는데 하필 거기에 헥터 만의 무성 영화 클립이 등장하고 또 그걸 보고 웃게되는 건 확실히 우연이다. 그런데 그 우연한 발견 때문에 뒤에 벌어지는 일들, 그러니까 짐머가 헥터 만에 대한 책을 출간하고 그걸 죽은 줄로만 알았던 헥터 만이 발견하고 그가 사람을 보내 짐머를 부르고 그들이 마침내 만나게 되는 건 필연이라고 볼 수 있다. 왜냐고? 그렇게 하지 않으면 폴 오스터는 <환상의 책>의 이야기를 진행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폴 오스터는 짐머를 자신이 꾸며 놓은 줄거리로 인도하기 위해 그에게 우연히 헥터 만을 발견하는 상황을 부여한다. 잠깐만, 그런데 이 말이 사실이라면 짐머가 정말로 '우연히' 헥터 만을 발견한 거라고 말할 수 있을까? 이것 또한 폴 오스터의 의도, 즉 필연으로 봐야 하지 않을까? 아! 짐머는 그 날 버스터 키튼도 찰리 채플린도 그루초 마르크스도 아닌 헥터 만을 발견한다. 이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 폴 오스터 이 음흉한 거짓말 쟁이! 그러므로 책 날개의 문장은 다시 이렇게 고쳐써야 한다. 이 소설은 독자들을 환상과 환상 속의 환상, 주인공 짐머의 웃음과 절제된 슬픔, 우연을 가장한 필연과 필연이


넷째로 어우러진 세계로 빠져들게 한다. 문제는 빠져들게. 엄청난 판매 부수를 보면 좀 망설여지기는 하지만 솔직히 책을 샀다고 해서 모두 그의 책에 빠져들었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이다. 여기 나를 봐도 그렇지 않은가. 폴 오스터의 책은 뭔가 보일듯 말듯 묘한 분위기에 끌려 손에 들지만 막상 책장을 열면 기가막힐 정도로 지루하다. <뉴욕 3부작>, <거대한 괴물> 그리고 이 책까지 나는 세 권을 경험했지만 모두 똑같다. 지루하다. 특히 <환상의 책>이 으뜸이다. 나는 이 책을 읽는 내내 전혀 관심도 없고 알지도 못하는 인간의 이야기를 듣는 것 같은 기분이 들었다. 물론 소설이란 전부 남의 얘기, 모르는 사람의 얘기다. 하지만 읽는 동안 감정 이입이라는 고리에 엮여 우리는 소설 속으로 '빠져든다.' <환상의 책>은 의도적으로 그 고리를 잘라낸 게 아닌가 싶을 정도로 집중이 안 된다. 나는 이 경험을 토대로 폴 오스터의 책을 읽는 방법을 깨달았다. 이 사람의 책은 처음부터 끝까지 차례 차례 읽어 나갈 필요가 없다. 그냥 아무데나 편다. 그리고 아무 문장이나 읽는다. 별로라면 다음 페이지로. 그렇게 읽다보면 어느 순간 혹하게 만드는 뭔가가 꿈틀 거리는 걸 발견한다. 그 때 부턴 차분히 그 흔적을 따라 가야 한다. 물론 그 흔적은 문장을 읽는 새에 어디론가 사라져 버리기도 한다. 그러면 또 다시 다음 페이지로 넘어가 아무 문장이나 읽기 시작하면 된다.


이상을 종합해 봤을 때 책 날개의 마지막 문장은 이렇게 고쳐써야 옳다. 


이 소설은 독자들을 환상과 환상 속의 환상, 주인공 짐머의 웃음과 절제된 슬픔, 우연을 가장한 필연과 필연이 어우러진 세계를 그려낸다.


바이바이 폴 오스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