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이 만든 위대한 속임수 식품첨가물 인간이 만든 위대한 속임수 식품첨가물 1
아베 쓰카사 지음, 안병수 옮김 / 국일미디어(국일출판사) / 2006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몇년 전, 유명 과자 회사 연구원이 폭로한 과자의 비밀을 기억할지 모르겠습니다. 그 사람은 본인이 과자 회사의 직원임에도 불구하고 자기 아이한테는 절대로 과자를 먹이지 않는다고 했죠. 사실 과자가 몸에 나쁘다는 인식은 하루 이틀된게 아닙니다. 어릴때 부터 엄마가 주구장창 얘기해왔잖아요. 그런거 사먹지 말라고. 몰라서 안 먹는건 아니죠. 





그런데 우리 몸에 나쁜게 과연 과자 뿐일까요? 아이스크림은? 거대 비지니스의 은혜를 입어 말끔한 인테리어로 재탄생한 떡볶이 집은요? 소시지는? 단무지는? 심지어 김치는? 밥을 밖에서 먹는 사람이든 집에서 먹는 사람이든 오늘날 식품첨가물과 화학조미료의 마수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사람은 단 한 명도 없습니다. 엄마가 만든 김치와 된장찌개는 괜찮다고요? 김치에 들어간 젓갈은 어떻습니까? 찌개에 들어간 된장은요? 당신이 직접 재배해 먹는게 아니라면 식품첨가물을 피해갈 수 없어요. 깨끗하게 진공포장된 야채조차 맹독성 세척제와 방부제로 처리되는 현실이니까요.


그런데 이렇게 나쁜 것들이 승승장구 슈퍼마켓의 매대를 장식하고 있는 이유는 뭘까요? 자연산 재료들만 골라 정성껏 손질해 조미료도 안넣고 요리를해 보지만, 싱겁고 감칠맛이 안나고 어딘지 모르게 허전한 맛이 있죠. 여기에 조미료 한 스푼을 넣으면 확 달라집니다. 세상이 사악해져서 음식에까지 장난을 친다구요? 아니요, 문제는 우리에요. 우리의 입맛이 길들여진 겁니다


냉장고에 한 가득 콜라를 채워 넣지 않으면 마음이 안 놓이는 사람이 있습니다. 살색 소시지를 한통을 책상 위에 놓고 흐뭇한 미소를 짓는 사람도 있어요. 소시지나 햄은 거의 100% 사료용 고기로 만듭니다. 폐기 직전의 고기에다 비계와 물을 넣어 양을 불리고 연육제를 넣어 식감을 부드럽게 만들어줘요. 여기에 고기향과 맛을 내는 '화학 첨가물'이 들어갑니다. 중국 사람들이 머리카락으로 계란을 만들고 젓가락으로 죽순을 만든다고 탓할 일이 아니라니까요. 





사악한 음식들이 세상에 존재할 수 있는 이유는 우리가 그걸 끊임없이 먹어주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맛있는걸 어떻게 합니까. 따지고 따지다 보면 요즘 세상에 순수한 음식이란게 어딨어요. 그냥 포기하고 사는거지. 먹을 때 마다 그런 얘기 하는 사람보면 참 밥 맛없어. 왜 저렇게 피곤하게 사나 싶기도 하고. 이거 좀 먹는다고 죽는것도 아닌데. 그렇게 따지지만 결국엔 자기도 먹잖아요. 


문제는 이런 경멸과 안이함 올바른 생각을 가진 사람들을 침묵 속에 가둬 버린다는 거에요. 아는 사람들이 입을 닫고 있으니 세상은 뭐가 좋고 나쁜지 모르죠. 뭐가 좋고 나쁜지 모르니 사회는 더더욱 뭐가 좋고 나쁜지 모르게 됩니다. 악순환이죠. 노스트라 다무스는 '무지한 자는 행복하다'고 했습니다. 아무렴!


가치를 알아보는 사람들이 사라져갑니다. 진짜 맛이 뭔지 아는 사람들. 좋은 먹거리를 만들려고 노력하는 사람, 그리고 그걸 알아주는 고객. 어쩌면 비용이 문제일 수도 있겠네요. 진정한 가치에는 반드시 그에 상응하는 비용이 따르기 마련이니까. 생각해보니 비용보다 우선하는 가치가 없는 세상에서 이런 문제를 제기한다는것 자체가 사소하고 무의미해 보입니다. 


진짜 비극은 이거였군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