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들은 목마르다 뿌리와이파리 알알이 3
아나톨 프랑스 지음, 김지혜 옮김 / 뿌리와이파리 / 2011년 4월
평점 :
품절


아나톨 프랑스의 팬이라면 번역서가 나오는것 만으로도 감사합니다. 아나톨 프랑스, 서적상의 아들로 태어나 일생을 책과 함께 살았고, 한때는 탐미주의로, 한 때는 깊은 회의주의로 자신의 작품 세계를 수 놓았던 소설가. 노벨상까지 수상한 작가임에도 우리나라에는 많이 알려져 있지 않아요. 


이 남자의 작품에는 인간이 가진 본성적 결함을 조롱하는 깊은 회의주의가 뿌리 박혀 있어요. 아마도 이 회의주의가 건강하고 올바른 삶을 사시는 분들의 눈에 거슬렸던건지도 모릅니다. 





후세 사람들 중에는 프랑스 혁명을 실패한 혁명이라고 평가하기도 하지만, 오늘날 거의 모든 국가가 '공화국'으로서 존재할 수 있는건 모두 프랑스 대혁명 때문이에요. 공화국이란 쉽게 말해 '왕이 없는 나라'를 뜻합니다. 국민이 그 나라의 주인인거죠. 지금이야 이게 당연한 거지만 1700년대 말까지만해도, 참 내! 택도 없는 얘기였죠.

이 택도 없는 얘기를 현실로 만들기 위해 제일 먼저 일어난 국가가 바로 프랑스입니다. 선구자들은 자유, 인권, 박애를 부르짖었고 바스티유 감옥은 습격당했고 '고기가 없으면 건초(말 사료로 쓰는)를 먹으면 되지 않느냐'던 풀롱의 머리는 장대 끝에 매달려 거리를 행진했죠. 혁명이 발발한 겁니다.


프랑스 대혁명이 일어나자 주변 국가들은 공포에 떨었어요. 자기 나라의 국민들도 자유, 인권, 박애의 가치를 알게 될까봐 겁났던 거지요. 그래서 그들은 군대를 모아 프랑스를 침공합니다. 프랑스는 안 팎으로 열세에 몰렸습니다. 전선은 무너졌고 물가는 치솟았으며 기근이 몰아닥쳤어요. 프랑스 국민은 불안에 떨었고 '자유, 인권, 박애'는 개나 줘버릴 것들로 몰락해 버렸죠. 책방을 장식하던 역사, 정치, 철학 서적들은 가요집과 소설책에 밀려 더 이상 팔리지 않았어요. 베스트셀러는 '속옷 바람의 수녀'였습니다. 


혁명의 불길이 꺼진 프랑스는 재만 남은, 스산한 폐허의 모습을 하고 있었어요. 이 잿더미 속에서 '로베스 피에르'가 태어납니다. 그는 수 많은 연방주의자, 왕정복고를 노리는 음모자들, 기타 정적 등등 공화국의 적이 될 만한 자들을 단두대로 보내 버립니다. 강력한 공포 정치로 수렁에 빠진 공화국을 지키려 한 자. 소설 '신들은 목마르다'는 바로 이 시기를 배경으로 하고 있습니다.



로베스 피에르



주인공 에바리스트 가믈랭, 그는 어머니에게 줄 빵 한조각을 구하기 위해 하루 종일 빵 가게에 줄을 서야 했던 가난한 화가였습니다. 또한 그는 철저한 공화주의자였고 혁명의 가치를 신앙으로 삼은 사람이었죠. 올바르고 굳세지만 가난한, 한마디로 정의로운 시민의 전형을 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굳은 신념을 갖고 살아가는 사람들 앞에는 언제나 광신의 함정이 기다리는 법입니다. 에바리스트는 중산층 화상의 딸 엘로디를 만나 사랑에 빠져요. 그녀는 힘있는 자에게 부탁해 에바리스트를 혁명재판소의 배심원으로 만들어 줍니다. 광신의 씨앗이 뿌리를 내리기 시작한 거지요.


정의로운 시민 가믈랭과 혁명재판소는 애국이 아니라 분노를 잣대로 심판의 망치를 내렸습니다. 단두대는 다른 의견을 가진 정치인과 옛 귀족들의 모가지를 우걱우걱 씹어 먹으며 배를 불렸습니다. 대중들은 누가 죽든 상관없이 광장에서 벌어지는 공개처형에 열광을 했죠. 


에바리스트는, 심지어 한 망명 귀족을 여자 친구의 옛 애인으로 오해해 단두대로 끌고갑니다. 에바리스트가 혁명재판소 배심원이라는 권력을 이용해 무고한 시민을 죽인겁니다. 파렴치한 질투는 애국이라는 광신에 가려 양심을 찌를 수 없었습니다. 혁명은 빛을 잃었어요. 이제 남은건 독재 뿐입니다.


그러나 이것또한 오래가지 못했습니다. 로베스 피에르는 실각하고 에바리스트는 투옥됐습니다. 정권을 잡은 사람들은 로베스 피에르와 그의 추종자들을 각별히 보살폈습니다. 그들은 아주 건강한 상태로 단두대에 올리기 위해서였죠. 


가믈랭이 처형장으로 향하는 날 그는 자신을 향해 욕설을 퍼붓는 대중을 보게 됩니다. 그들은 얼마전까지만 해도 가믈랭과 그의 동료들이 단두대로 보낸 음모자와 귀족을 모욕했던 바로 그 사람들(p.301)이었죠. 가믈랭은 자신의 나약함을, 적의 피를 아꼈던 혁명재판소의 관대함을 한탄했습니다. 그 때 엘로디의 창문이 열리면서 꽃 한송이가 떨어졌습니다. 그것은 가믈랭의 갈증을 풀어주곤 했던 엘로디의 붉은 입술의 상징(p.302)이자 곧 다가올 피의 축제를 말해주는 붉은 카네이션이었어요. 두 손이 묶인 가믈랭은 그 꽃을 잡을 수 없었습니다. 대신 천천히 입을 벌리고 있는 짐승같은 단두대의 칼날을 보았습니다.





저는 이 소설을 읽고난 뒤, 과연 우리가 다른 대통령을 뽑았다고 한들 과연 희망이 있었을까? 하는 의문을 갖게 됐습니다. 두려운건 보수주의나 독재, 1%만을 위한 정치 아니라 무지한 대중이 만드는 오해와 욕심 아닐까요? 


대중은 혁명이 더 많은 빵과 술 볼거리를 제공해 줄거라 믿었습니다. 하지만 혁명은 그런게 아니었어요. 열기는 금방 시들었고 남은건 '속옷을 입은 수녀' 뿐이었습니다. 


이기심과 천박함은 인간이 가진 근본적 결함일까요? 그렇기 때문에 역사는 수 없이 비극을 되풀이 하면서도 예외없이 그 멍청한 과거를 재연하는 걸까요? 아나톨 프랑스는 이런 회의에 빠져 깊고 깊은 문학의 숲으로 도피했습니다. 그는 거기서 인간의 맨얼굴을 폭로하고 대중의 천박함을 풍자했죠. 저는 아나톨 프랑스의 회의주의가 인간성을 왜곡하는 것이라고 보지 않아요. 아나톨 프랑스는 그저 인간을 가장 인간답게 그렸을 뿐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