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의 기별
김훈 지음 / 생각의나무 / 2008년 11월
평점 :
절판


에세이는 좀 편할 줄 알았다. 그런데 에세이를 읽고 나니 김훈의 문장, 그 어렵고 낯설은 말들의 기원을 어렴풋이 깨달을 뿐 파도처럼 덮쳐오는 말들의 무게에 나는 기어이 탈진하고야 말았다.

에세이가 이렇게 어려워도 되는건가? 그의 말을 빌리면, 문장의 탄생은 처절한 육체 노동의 결과다. 그의 단어는 짓이기고 으깨진 삶이 찔끔 뱉어내는 진주같은 것이고 망가지고 부서진 폐허 속에서 품어낸 꽃과 같은 것이다. 이렇게 고통 속에서 뽑아낸 삶의 기록이기에, 읽는 이에게는 쓴자의 아픔이 절절이 전해져 온다. 그러므로 김훈의 문장을 읽고 탈진해버렸다는 고백은 그의 글을 제대로 읽었다는 반증이 된다.  

 

 

 

나는 그의 글을 읽을 때 마다 한가지 걱정거리가 있었다. 남한 산성과 칼의 노래를 읽으면서, 거기서 느껴지는 묵직한 대사들이 실제 김훈의 삶과 막대한 괴리가 있지는 않을까 하는 걱정말이다. 만약 김훈이 깐죽대는 말투에 매일매일 술에 쩔어있고 안 한만 못한 말들을 습관적으로 내뱉는 사람이었다면 나는 다시는 그의 소설을 읽지 못했을 것이다. 그건 마치 팬티만 입고 글러브를 낀 브록 레스너가 상대를 향해 짐승같이 달려들며 '나 사실은 게이야'하고 고백할 때와 마찬가지의 충격이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의 삶은 소설과 다르지 않았다. 김훈은 젊은 시절 돌아가신 아버지를 장사 지내며, 울부짖는 여동생들을 향해 '요사스럽다. 곡을 금한다'고 외친다. 나는 이 '설화적 대사'를 보자마자 그 진지한 상황에는 아랑곳 없이 터져 나오는 웃음을 참을 수 없었다. 그리고 그 대사를 곱씹어 읽으며, 이 사람도 '자신의 문학을 오롯이 살아내는' 사람이구나 하는 안도가 생겼다. 

 

 

 

나는 김훈 소설들의 그 숨죽여 우는 듯한 처연함을 좋아했다. 그의 인물들은 어딘지 모르게 말 못할 사정을 갖고 있는 사람들처럼 담담한 표정 뒤에 슬픈 울음을 지니고 있었다.

그들은 감정을 토하지 못하고 여러차례 곱씹어 안으로 울었다. 나는 나라를 배신하면서도 눈물을 흘리지 않는 우륵을 이해했고 12척의 배로 수백 척의 왜선을 깨뜨리면서도 승리의 노래를 부르지 않는 이순신을 좋아했다.

그런데 에세이에 나타나는 김훈의 모습에서 나는 이순신을 보았고 우륵을 보았다. 그는 말해질 수 없는 것들을 말해야 하는 소설가였다. 그는 이 무참한 운명이 답답해 질 때면 무심히 흐르는 시간을 따라 자전거를 탔고 바다로 빨려 들어가는 강의 하류에 멈춰서 주저 앉았다. 그곳에서 말들은 이지러지듯 피어났다 먼지처럼 사라졌다. 왜놈의 죽음을 딛고 삶으로 나아가는 이순신과 동족의 시체를 밟고 생으로 도망가는 우륵의 모습처럼, 김훈의 문장은 수 없이 명멸하는 생각의 무덤 위에서 살아있는 언어의 춤을 추었다. 

 

 

 

나는 소설이 모를 심어 벼로 바꾸는 한 해의 농사라면 에세이는 모판에 씨를 심어 모를 키우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좋은 에세이라면 작가의 문제 의식이 소설의 언어로 발화하기 이전의 생생한 감정을 담고 있어야 한다.

그런 면에서 '바다의 기별'은 소설가 김훈의 에세이로서 충분한 자격이 있다. 그 안에서 인간 김훈을 보고, 인간 김훈이 느끼는 삶의 고뇌를 알며, 삶의 고뇌에서 꿈틀대며 터져나오는 고통의 문장을 읽었다면, 당신은 내 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neige 2011-02-11 18: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김훈님이 '나는 자전거 레이서다' 하실 때가 제일 좋던데

칼의 노래 서문에서부터 느껴지는 그 처연함과 결연함이란 ...

한깨짱 2011-02-11 21:28   좋아요 0 | URL
김훈님은 정말 문장력이 대단하신 분이죠. 문체도 확실하고 주제도 일관성 있는 것 같습니다. 정말 대단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