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판토 해전 시오노 나나미의 저작들 4
시오노 나나미 지음, 최은석 옮김 / 한길사 / 200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569년 9월 13일, 베네치아 국영조선소에 화재가 발생했을 때 키프로스 섬은 입만 닫으면 먹혀버리고 마는 악어새의 운명에 처해 있었다.

키프로스는 당시 여왕이었던 카트린느 코르나로로부터 매각을 강요, 1489년 베네치아 공화국의 차지가 된 지중해의 섬이다. 그런데 이 섬의 위치를 보면 이슬람 안뜰의 뱀둥지로 불리던 성 요한 기사단의 로도스 섬보다도 투르크 제국에 밀착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야말로 호랑이의 입 한복판에 자리잡고 있는 셈.  

코 앞에 있는 적들로부터 끊임 없는 위협을 받아야하는 이 섬이 뭐가 그리 중요하냐고 물을 수 있겠지만, 영토에 의지하지 않고 그저 해상 무역만으로 지중해의 최강자가 될 수 있었던 베네치아에게 대 투르크 무역의 전초기지인 키프로스는 그야말로 없어서는 않될 중요한 섬이었던 것이다.  




이는 물론 투르크에게도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두 나라의 입장은 좀 달랐다. 투르크의 입장에선 키프로스가 베네치아령임으로 인해 얻는 이득이 자신이 직접 차지하고 있을 때 보다 오히려 재미가 좋았기 때문이다.  

우선 '베네치아령 키프로스'의 존재로 인해 투르크는 동서를 잇는 다양한 문화, 기술과 지속적으로 교류할 수 있었고 서유럽 강대국들과 외교적인 접촉을 시도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베네치아로 
부터 거둬들이는 조공, 통상료등의 물질적 이득은 매우 짭짤했다. 한마디로 '베네치아령 키프로스'는 가만히 앉아 있는 투르크 제국의 발 밑으로 호박 넝쿨째 굴려주는 보물단지였던 것이다.

그러나 종교가 개입하면 언제나 일은 비합리적으로 굴러가기 마련이다. '눈 앞의 섬 키프로스는 제국의 목을 향해 겨눈 칼날과 같다. 존귀한 알라 앞에서 어찌 물질적 이득을 논할셈인가. 섬에서 이교도들을 몰아내고 위대한 알라의 힘을 보여주자' 이것이 투르크 궁정의 주류로 떠오르고 있는 대(對) 유럽 강경파의 논리였고 일관된 주장이었다. 그러니 1569년의 베네치아 국영조선소의 화재 소식이 그들에겐 베네치아를 쓸어 버릴 수 있는 천재일우의 기회로 보였던 것이다.

그리하여 1570년 2월 중순 베네치아 시에 투르크 제국의 사신이 도착한다. 그가 전한 술탄의 친서는 간단 명료. '키프로스 반환'. 끝을 모르는 이교도의 오만에 베네치아 의회는 220표 중 199표의 반환 반대로 화답했다. 이리하여 그 찬란했던 역사를 스스로 마무리 지으려는 듯 지중해 최후의 전쟁 레판토 해전의 서막이 올랐다.

레판토 해전은 기독교 연합함대 210척과 투르크의 대함대 300척이 맞붙은 최대의 해전이었다. 여기에는 물론 베네치아를 대표하는 바다의 총사령관 '미스터 성채' 베니에르, 참모장이자 소설의 주인공인 바르바리고, 이집트 총독 시로코, 해적왕 울루지 알리 등 지중해를 주름잡던 바다의 터프가이들까지 모두 포함된다. 그야말로 바다와 관계된 모든 것들이 투입된 전쟁인 것이다.

전쟁 준비가 한창 무르익을 즈음 기독교연합함대에 무거운 소식이 전해져왔다. 1년여의 농성 끝에 결국 키프로스가 함락된 것이다. 베네치아 병사들은 슬퍼할 새도 없이 막바지 전쟁 준비에 몰두했다. 자신의 칼 앞에 으스러질 이슬람 병사들의 죽음을 다짐하면서.

1571년 10월 7일, 마침내 '500척의 갤리선과 17만명의 인간이 레판토에서 정면으로 격돌'했다. 정오에 시작한 전투는 저녁때 까지 이어졌다. 적장 시로코의 패배가 알려지는가 싶더니 곧이어 바르바리고의 전사 소식도 알려져왔다. 잠시 후 이슬람 우두머리 알리 파샤의 기함이 연합함대의 기함 앞으로 조용히 끌려나왔고 해적왕 울루지 알리는 남겨진 네 척의 배를 이끌고 유유히 도망쳐갔다. 마침내 연합함대의 뱃전에서 승리의 깃발이 나부꼈다.

포획한 적의 갤리 군선 117척, 소형선 20척, 이슬람 전사자 8,000명, 포로 10,000명, 풀려난 기독교 노예 15,000명. 전과는 거대했다. 가시적인 성과 말고도 베네치아가 얻은 이익은 충분했다. 레판토 해전의 승리는 그 후 70년이 넘는 세월 동안 베네치아에게 귀중한 평화를 안겨주었던 것이다.

그러나 대해전의 승리도 역사의 흐름만큼은 막을 수 없었나 보다. 레판토 해전은 갤리선이 활약한 최대 최후의 전쟁이었다. 이것은 정확히 17년 뒤 에스파냐의 무적함대가 대영제국 해군에 완파 당하면서 확실히 증명 됐다. 대형 범선과 함포사격이 주인공이 된 바다위에 더이상 갤리선이 설 자리는 없었던 것이다.  

또 이 전쟁은 십자가를 앞세운 최후의 전쟁이기도 했다. 역사의 무대가 서유럽으로 옮겨지고 너도나도 영토 국가의 대형화를 지향하던 혼란기에 유럽 어느 국가도 지중해 변방의 이교도들에게 눈길을 돌릴 여력은 없었던 것이다.

이로써 콘스탄티 노플 함락으로 마지막 불씨를 살린 지중해 역사는 로도스섬 공방전으로 활활 타오르더니 마침내 레판토의 앞바다에서 그 장렬한 최후를 맞이하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