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스탄티노플 함락 시오노 나나미의 저작들 20
시오노 나나미 지음, 최은석 옮김 / 한길사 / 200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화 '콘스탄틴'의 존 콘스탄틴이 이 콘스탄티노플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나는 모른다. 그러나 동로마, 비잔틴 제국이라고 불리던 서구 문명의 한 뿌리가 서서히 퇴락을 거듭, 결국엔 이 콘스탄티노플이라는 이름만 남아 로마 역사의 마지막을 장식했다는 것은 알고 있다.

비잔틴 제국은 1,200여년 간의 역사 중 어느 하루도 편할 날이 없었다. 종교적으로는 로마 카톨릭과 대립하여 동방정교(그리스 정교)로 분리되었고 정치적으로는 왕권 다툼이 끊이질 않는 등 내정이 불안정해 급기야 13세기 초, 같은 기독교도로 이루어진 4차 십자군의 침략을 받아 잠시 동안 멸망하기도 했다. 그리하여 야금야금 제국의 영토는 줄어들고 영향력은 사라지기 시작해 비잔틴과
콘스탄티노플이 동일시 되는 지경에 이르게 되었다.

그러나 콘스탄티노플은 원래 난공불락의 성이었다. - 십자군에게 점령 당한 것만 제외하면 - 육지의 경우 당대 최강이라 알려진 삼중 성벽은 적들이 침략 의도를 품기도 전에 포기하게끔 만들었고 한쪽 해변에서 대포를 쏘면 반대쪽 해변까지 날아갈 정도로 좁은 금각만의 해협은 그 입구에 거대한 쇠사슬을 걸어 두는 것만으로도 해상 공격을 완벽히 차단할 수 있었다.  

한낱 도시 국가로 전락해 버린 비잔틴 제국이 그때까지 국가로서의 명맥을 유지할 수 있었던 이유는 바로 이 성, 역사상 단 한번도 이교도의 침략을 허용치 않았던 콘스탄티노플 덕분이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 괴물같은 철옹성도 1453년, 투르크 제국의 21살내기 술탄에 의해 정복당하고 만다. 그리고 이 새파랗게 젊은 술탄, 메메드 2세는 자신의 선조 중 그 누구도 해내지 못한 위업을 기념하기 위해 투르크 제국의 수도를 이곳으로 옮겨왔다. 이것이 지금의 터키(Turki=투르크), 이스탄불(Istanbul)의 옛 역사인 것이다.

콘스탄티노플 함락은 이슬람과 기독교, 세계를 양분한 두 문명의 대충돌의 서막이었고 유럽의 역사를 변화의 소용돌이 속으로 몰아넣은 결정적 계기였다. 시오노 나나미가 이 전쟁에 집중하는 이유도 바로 그 때문이다. 
콘스탄티노플 함락을 시작으로 로도스섬 공방전, 레판토 해전으로 이어지는 삼부작은 그녀가 평생을 바쳐 관심을 가졌던, 지중해 역사의 클라이막스이자 몰락이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이 소설의 주인공이 피도 눈물도 없이 그저 시간이 흐르는 방향으로 냉정히 걸어가는 '역사 자체'인 것은 아니다. 대신 '인간을 그리는 것을 제일의로 한다'는 작가의 고백처럼 역사의 무대 위에 올라선 사람들, 그들 각자가 이 세상에 대처해나가는 삶의 기록이 주인공이 된다.

그러나 거대한 역사의 무대를 그저 흔적에 불과한 우리 삶의 족적으로 채운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시오노 나나미가 방대한 사료를 직접 수집하고 분석하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그녀는 '콘스탄티노플 함락'을 단단한 역사적 사실 위에 세운 뒤 소설적 상상력으로 디테일을 보강했다. 소설이 전해주는 생생한 현장감과 진한 사람의 냄새가 바로 여기서 나온다.

한 때는 오히려 이 때문에 시오노 나나미의 소설을 무시한 적이 있었다. 그녀에게서 배어나오는 진한 실증주의의 체취가 '모르는 것도 쓸 줄 알아야 한다'고 생각했던 내 지난 날의 가치관을 거슬렀기 때문이다. 그러나  

시오노 나나미의 전쟁 3부작을 완독하고 재독하는 이 순간, 이 위대한 소설이 먹어치운 작가의 피나는 노력을 깨달으며, 나는 조용히 지난날의 오만을 반성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