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 TV에서 산에 사는 아이에 대해 본 적이 있다. 아이의 집은 시골 마을에서도 꽤 떨어진 산 기슭에 있었다. 아이는 고무신을 신었고 하얀 천에 직접 황토물을 들인 옷을 아래 위로 걸치고 다녔다. 주로 하는 일은 겨울산에 뿌리 내린 풀들을 맛보는 것이었고 나무 줄기를 따라 흐르는 수액의 소리를 듣는 것이었다.
아이는 학원을 다니지 않았는데 학업 성적이 우수했고 상장이 수십장이었다. 특히 표현력이 대단하다고 했다. 평소 즐겨 보지 않는 TV를 끝까지 본 데는 아이답지 않은 기행이 눈길을 끈 탓이기도 하지만 바로 이 대목, '특히 표현력이 대단하다'라고 한데서 눈길이 멈춰 버렸기 때문이다.
아이의 표현력이 대단한 이유는 다른데 있지 않았다. 바로 자연이 뿜어내는 색, 향기, 맛, 소리들이 표현의 보고였다. 녹색을 12색 색연필 중에 하나로 알고 있는 나와 탱자 나뭇잎의 녹색, 겨우 살이의 녹색, 쑥풀의 녹색을 경험한 아이가 표현해내는 감수성은 질적으로 다를 수 밖에 없었다.
줄줄이 복사한듯 서 있는 가로수들도 곰곰히 살펴보면 저마다 개성을 지니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내가 써내려간 '가로수'라는 단어에는 그 속에 숨어 있는 생생한 실재가 드러나지 않는다.
나의 언어는 개념이라는 상자에 담긴 기성품일 뿐이었다. 개념의 역할은 차이를 죽이는 것이고 '차이'의 부재는 곧 표현의 부재였다.
똑같아 보이는 사물 속에서 '다름'을 찾아내지 못한다면 나는 플라타너스가 뿜어내는 향기, 바싹 마른 껍질의 감촉, 떨어진 잎이 바스락 거리는 소리와 무성한 가지가 발하는 푸른 잎빛을 앞으로도 결코 전달 할 수 없을 것이다.
몇 자 되지 않는 글을 쓰는데 이리도 오랜 시간이 걸리는 이유도 알게 되었다. 나는 이미 죽어 있는 단어에 오랜 시간 볼터치를 하고 아이라인을 그리고 있었던 것이다. 죽어 있는 사람에게 아무리 화장을 한들 살아 있을 적의 생생함이 돌아오겠는가.
가야할 길이, 더욱 멀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