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잉 인피니트 - FTX 창립자 샘 뱅크먼프리드는 어떻게 55조 원을 휴지조각으로 만들었는가
마이클 루이스 지음, 박홍경 옮김 / 중앙books(중앙북스) / 202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년 전만 해도 5천만 원을 하던 비트코인이 어느새 1억 4천만 원을 넘었다. 웬만해선 놀라지 않는 성격인데, 적잖이 당황하게 된다. 이것이 무엇이길래, 도대체 이런 일이 벌어지는 걸까?


금본위제가 폐지된 이후 돈은 상호주관적실재가 됐다. 예전엔 중앙은행이 화폐를 발행하기 위해선 반드시 새로 발행할 화폐 가치만큼의 금을 보관하고 있어야 했다. 그래서 과거에는 은행에 돈을 들고 은행이 정확히 그만큼의 금을 내줄 수 있어야 했다. 돈은 유통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금 자신이 낳은 분신이었다.


각국의 중앙은행은 이것이 너무나 불편했다. 코로나 대재앙으로 시민 1명당 30만 원의 돈을 주고 싶은데 갑자기 그 정도의 금이 어디서 나오겠는가? 새로운 금맥이 발견될 리도 없고, 금광의 생산량을 갑자기 늘릴 수도 없다. 그나마 이런 고민은 금광을 가진 나라나 할 수 있는 것이었다.


정부는 내키는 대로 돈을 찍고 싶었고(이것이 바로 통화정책이다) 금본위제는 사라졌으며 돈의 실재적 가치도 같이 날아가버렸다. 돈에게 남은 건 실질적 가치뿐인데 이것은 100% 우리의 믿음에서 나온다. 돈이 가치를 갖는다는 우리의 믿음. 그 돈을 발행하는 국가에 대한 믿음. 그 돈의 가치가 일정하게 유지될 거라는 믿음. 그러나 믿음이란 언제든 지옥으로 떨어질 준비가 되어있는 연약한 존재 아니던가?


비트코인의 창시자 나카모토 사토시는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에 대응하는 정부의 방식에 신물이 났다. 월가에 엄청난 구제금융이 쏟아져 들어갔는데, 그건 부자들의 파산을 막기 위해 가난한 납세자들의 돈을 쓰는 것이었다. 누군가 중앙에서 이 모든 권한을 쥐고 있는 한 이러한 일이 반복될 수 있다고 판단한 사토시는 그 어떤 기관의 보증도, 관리도 필요 없이, 그 돈을 소유한 사람들끼리 상호 보증하는 화폐인 비트코인을 창시한다.


비트코인이 허상이라고 말하는 사람들은 우리가 가진 돈, 은행 어플에 찍힌 그 숫자가 얼마나 허상인지를 모르는 것이다. 그 가치를 마음대로 조정할 중앙기관이 없고, 심지어 발행량이 정해져 있다는 점에서 비트코인은 실물 화폐보다 훨씬 믿을만하다. 하지만, 언제나 그렇듯 사용자는 창시자의 예상을 넘어선다. 땅속에 묻혀 아무도 모르던 비트코인을 발굴한 건 창시자의 숭고한 의도에 이끌린 열정이 아니라 부자가 되고 싶다는 욕망이었다.


이 책의 주인공 FTX의 샘 뱅크먼프리드는 그 욕망이 가장 활발하게 타오르기 직전 우연히 이 세계에 발을 디뎠고, 우연히 전 세계 30대 미만의 사람 중 가장 많은 부를 거머쥐었다가, 하루아침에 25년형을 선고받은 범죄자가 되었다. <고잉 인피니트>는 마이클 루이스의 책답지 않게 구성이 산만하고 느닷없이 끝나버린다. 절정을 향해 차곡차곡 이야기를 쌓는 저자 특유의 드라마틱 저널리즘의 힘이 약하다. 나는 이것이 의도된 연출이라고 생각한다. 샘 뱅크먼프리드가 벌어들이는 돈, 그가 쓰는 돈, FTX와 알라메다 리서치와 바이낸스와, 기타 암호화폐 시장을 구성하는 요소들이 쏟아내는 돈의 단위는, 마치 가장 큰 단위의 수를 생각나는 대로 내뱉는 게임을 보듯 신기루처럼 느껴진다. 도저히 가슴에 와닿지 않는 그 숫자들, 그러다 갑자기 사라져 버린 숫자들. 독자가 느끼는 그 당혹스러움, 그 헛헛함, 그 어리둥절이 바로 당시 암호화폐라는 로켓을 타고 우주로 향하던 사람들의 마음이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