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어스 포커 (완역본) - 월스트리트 천재들의 투자 게임, 《빅 쇼트》 작가의 대표작!
마이클 루이스 지음, 장진영 옮김 / 이레미디어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라이어스 포커>는 마이클 루이스의 씨앗이자 뿌리이다. 이 책은 여러모로 의미가 있는데, 이 작가의 시작이라는 점에서도 그렇고, (아직 모든 작품을 읽어본 건 아니지만) 자기 자신이 주인공인 유일한 책이라는 점에서도 그렇다. 당연히 후기작들에 비해 부족한 점은 많다. 나는 영화 <머니볼>을 적어도 10번 이상 봤고 감독 베넷 밀러(베스트는 <폭스 캐쳐>다)를 무지하게 좋아하지만 해티버그가 역전 홈런을 때리며 오클랜드를 20연승의 고지에 올려놓는 장면에선 두고두고 땅을 쳤던 사람이다. 원작 <머니볼>에서의 묘사가 훨씬 생생하고 극적이었기 때문이다. 마이클 루이스는 그런 남자다. 오로지 글만을 이용해 영화보다 생생하게 장면을 연출하는 사람.


그래도 풋풋한 맛이 있다. 왜 그런 기분 있지 않은가. 대가의 젊은 시절을 바라볼 때 나오는 흐뭇한 느낌 같은 것 말이다. <라이어스 포커>에는 이후 마이클 루이스가 펼쳐나갈 세계의 단편들이 곳곳에 박혀있다.


우선 강을 거슬러 오르는 사람들에 대한 관심이다. 프린스턴 대학에서 미술사를 전공하고 런던 경제대학에서 경제학 석사학위를 받은 이력 때문일까? 마이클 루이스는 예측 가능한 경로를 따라 번듯한 세계에 발을 들이는 사람들에게는 아무런 관심이 없다. 우편물 관리팀의 야간 당직자로 취업했다 세계 최고의 채권 트레이더가 된 남자나 아무도 망할 거라 생각하지 않는 채권을 공매도하기 위해 직접 상품을 만드는 사람들이 이 남자의 주요 먹잇감이다. <라이어스 포커>는 이 맛이 조금 연하긴 하지만 여기서 등장하는 루이스 라니에리가 <빅 쇼트>로 연결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 책을 <빅 쇼트>의 프리퀄이라고 하기엔 양심이 허락지 않지만 설정집 정도로는 봐줄 수도 있지 않을까 싶다. 마이클 루이스가 살로몬 브라더스에서 회사 생활을 시작하지 않았다면 아마 <빅 쇼트>도 없었을 것이다. 이 책은 저자가 살로몬 브라더스에 다니며 경험한 일을 기록한 르포이자 에세이다.


둘째는 이게 이야기인지 진짜인지 구분이 안 될 정도로 생생하게 전해지는 현장감이다. 이는 크게 두 가지에서 오는 것 같다. 하나는 깊이 있는 정보, 둘은 구성 능력이다. 두 번째는 좀 더 설명이 필요할 것 같다. 마이클 루이스의 책에는 거의 삼국지 수준으로 많은 인물들이 등장하는데 심지어 그들에겐 모두 고유한 서사가 존재한다! 저자는 수많은 정보들이 어느 순간에 어느 순서로 나와야 하는지 절묘하게 아는 것 같다. 얼핏 보면 서로 다른 이야기가, 그것도 서로 다른 시간대에서 펼쳐지는데도 불구하고(영화 <빅 쇼트>를 떠올려보라. 주요 인물들은 영화가 끝날 때까지 단 한 번도 마주치지 않는다) 이야기는 늘 극적인 방식으로 한 곳을 향해 수렴한다. 문장력이 좋은 건 당연한데, 문장 자체를 잘 지어낸다기보다는 문장을 늘어놓는 순서를 잘 안다고 말하는 게 더 맞는 평가일 것이다. 사실을 가지고 이렇게 할 수 있는 사람은 전 세계에 몇 명 되지 않을 것이다.


다시 한번 말하지만 <라이어스 포커>는 마이클 루이스의 농익은 작품들에 비해 모든 스탯에서 하나 둘 정도가 빠진 느낌을 주는 책이다. 구성의 탄탄함도, 인물의 매력도, 사건의 흥미 측면에서도 다 그렇다. 하지만 마이클 루이스라는 이름을 지우고, 처음이라는 말에 담긴 이해를 몇 움큼 꺼내보면, 충분히 즐겁게 읽을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