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온전히 평등하고 지극히 차별적인
김원영 지음 / 문학동네 / 2024년 7월
평점 :
온전히 평등하고 지극히 차별적인 개인들로 이뤄진 공동체란 무엇인지 생각해 본다. 그러기 위해선 무엇이 평등이고 무엇이 차별인지 정의해야 한다. 평등은 좋고 차별은 나쁘다. 많은 사람들이 동의할 것이다. 그럼 왜 지극히 차별적인 세상이 필요한 걸까? 인간은 각자가 가진 고유한 능력을 갈고닦아 다른 사람과는 차별적인 존재가 돼야 한다. 이 말은 우리 모두가 하루키나, 봉준호나, 엘론 머스크가 돼야 한다는 의미가 아니다. 차별적인 존재란, 내가 무엇이 돼야 할지를 스스로 정의하고, 그 모습에 다가가려 끊임없이 노력하는 사람을 말한다.
평등은 무엇이 차별적인 존재인가를 정의하는 힘이 우리 모두에게 있음을 보장하는 개념이다. 지체장애가 있는 사람은 아무리 노력을 해도 러시아 국립 발레단의 무용수가 될 수 없다. 이 장애인의 무용이 일반적 춤이 가진 예술적 가치를 훌쩍 뛰어넘어 새로운 지평을 열어젖힌다는 이야기는, 현실을 박박 긁어 버린 뒤 낭만을 가득 채운 소년 만화에서나 가능한 이야기다. 이 대책 없이 낙관적인 이야기는 결코 현실이 될 수 없으며 그럴 필요도 없다. 장애인의 춤은 다르다. 맹목적인 비교와 경쟁에 익숙한 우리는 차이를 우열로 바꾸는데도 익숙하다. 이러한 태도는 우리의 무의식에 숨어, 은연중에 드러난다.
다리가 움직이지 않는 무용수가 무대를 이리저리 기어 다니는 공연을 어떻게 바라봐야 할까? 이 춤에는 어떤 예술적 가치가 있으며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주는가? 이걸 정말로 춤이라고 부를 수 있을까? 이 춤을 돈 주고 관람할 가치가 있을까?
"온전한 평등은 추상적 규범이나 이념으로서가 아니라 '능력'의 측면에서 지극히 차별적인 관계에 놓인 존재들이 상대의 '힘'을 존중하고 신뢰할 때 달성된다. 당신이 나를 배려해 내 앞에서 발레를 추지 않는다 하여 우리가 온전히 평등해지는 것은 아니다. 발레를 잘 추는 '능력'으로 당신은 내가 모르는 세계에 접속하는 다양한 방법을 나에게 제안할 수 있다. 내게도 춤출 '힘'이 있음을 깨달은 지금 나는 발레를 추는 당신의 능력이 나보다 뛰어나다는 데 좌절하지 않는다." (p.9)
탁월함이란 내가 잘하는 영역을 섬세하게 이해할 때 쏟아져 나오는 능력의 폭풍우다. 내게 춤출 '힘'이 있다는 믿음은 나를 탁월함의 경지로 올려놓고자 하는 동기이자 당신의 '힘'을 긍정하게 만드는 연결고리이기도 하다. 저자는 이 힘을 믿으며 자신의 세계로 우리를 초대할 방법을 고안한다. 온전히 평등하고 지극히 차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