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권으로 읽는 고려왕조실록 - 개정증보판 한 권으로 읽는 실록 시리즈 2
박영규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무릇 천하는 뭉치면 흩어지고 흩어지면 뭉친다는 말은 역사의 고금을 통틀어 늘 진실이었다. 나당 연합군이 고구려에 최후의 일격을 가해 삼한이 통일되고 대한민국의 역사는 이로써 한반도에 갇히게 됐다. 경상도에 고립된 천년 왕국의 통치자들에겐 그 땅을 나와 반도를 걷는 것만으로도 천하를 가진 듯 가슴이 벅찼겠지만 철기병을 이뤄 벌판을 달리던 사람들은 도저히 같은 마음일 수 없었을 것이다. 그리하여 한반도는 다시 세 개로 쪼개져 자웅을 겨루게 된다. 견훤, 왕건, 궁예. 난세는 결국 왕건으로 종결되고 한반도에는 다시 한번 고려라는 통일 왕조가 탄생한다.


고구려를 계승했다던 나라의 이름이 왜 고려인지는 더 이상 궁금해할 필요가 없다. 고구려가 곧 고려이기 때문이다. 당시에는 고구려와 고려를 혼용해서 썼던 것 같다. 심지어 장수왕 때는 아예 국호를 고려로 고쳤으니 고구려가 곧 고려임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그러나 그 취지와는 달리 고려는 신라와 더 가까웠던 것 같다. 그럴 수밖에 없는 게, 통일신라 기간 백제나 고구려 출신이 사회의 주요 인물이 됐을 리는 없었을 테니, 다시 난세에 튀어나온 유력자들은 다 신라를 기반으로 한 호족이었던 것이다.


단적으로 고려 왕실은 족내혼을 선호했다. 왕족과 왕족이 결혼해 성골을 이룬 신라처럼. 고려 왕실의 가계를 보고 있으면 정말 눈이 돌아갈 정도로 복잡하다. 남매끼리의 결혼은 흔하다는 축에도 끼지 못하고 형이 동생의 딸을 왕비로 맞는다든가 자신의 딸을 조카에게 시집보내는 등등도 별일이 아니었다. 왕실이 족외혼을 하는 경우는 왕권이 아주 불안할 때였다. 통일 이후에도 여전히 지방 세력은 사병을 거느리는 등 잠재적 위험으로 존재했기 때문에 이 중 세력이 강한 귀족과 혈연관계를 맺는 것으로 왕실은 그 기반을 닦으려 했다. 태조 왕건이 괜히 19명의 마누라를 들인 게 아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고구려의 계승은 명분일 뿐 현실이었던 적은 없다. 확실히 귀족들은 자기 기반을 떠나 모험하기를 꺼린다. 만주에서 말을 달리던 사람이야 이 땅이 얼마나 작고 소박한지 알겠지만 평생 거기서 나고 자란 사람들은 그 큰 세상을 알 길이 없다. 현실을 바꾸려면 꿈을 꿔야 하고 꿈을 꾸려면 그런 세계가 실제로 존재한다는 걸 눈으로 봐야 한다. 배를 만들고 싶으면 만드는 법을 가르치지 말고 바다를 보여주라는 말처럼. 


서희가 강동 6주를 오직 말로 얻어내고, 강감찬이 거란을 물리치긴 했으나 흠, 뭐 거란과 여진이 돌아가며 세력을 키운 바람에 있는 땅을 지키기에도 여의치가 않았다. 이런 거란과 여진이 세력을 상실한 건 세계의 재앙이라 불리는 몽골의 부상 때문이었다. 그 재앙을 바로 코 앞에서 맞닥뜨린 고려다 보니 보통의 인간이라면 팔자 탓을 하며 살아갈 의지를 꺾는다 해도 이해할만했을 것이다.


그래도 고려는 멸망하지는 않았다. 오랑캐와 대륙 사이에서 균형 외교를 벌였고 세계를 집어삼킨 몽골의 시대에도 국가를 유지했다. 완전히 사대로 돌아선 조선과는 차이가 있었다는 말이다. 고려와 조선의 차이는, '불가능해도 포기하지는 말아야 한다'와 '현실을 냉정히 받아들이고 할 수 있는 일을 하자'로 요약할 수 있을 것 같다. 중요한 건 둘 중에 뭐가 맞는지 따지는 게 아니라, 언제 무엇을 선택해야 하는지 다. 뭐가 맞는지는 언제나 상황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다. 유연한 사고가 있었다면 고려가 몽골과 손을 잡고 여진과 거란, 송을 격파한 뒤 몽골을 황제의 나라로 섬기는 대신 만주 땅을 얻어낼 수 있지 않았을까? 조선이 여진과 손을 잡고 명을 무너뜨린 뒤 한몫 크게 챙기는 건 정말로 불가능한 일이었을까?


작은 나라는 정말로 똑똑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