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톈 중국사 14 : 선종의 흥기 이중톈 중국사 14
이중텐 지음, 김택규 옮김 / 글항아리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중톈 교수의 중국사 시리즈가 있다는 걸 이제야 알게 되어 대단히 아쉽다. 이중톈 교수로 말할 것 같으면 중국의 르네상스인으로 모르는 분야가 없는 박학다식의 천재다. 이름이 알려진 건 <백가강단>이라는 TV 프로그램에서 <삼국지 강의>를 한 게 계기였다. 이 강의는 동명의 책으로도 2권이 출간되어 큰 인기를 얻었다. 나는 두 권을 다 읽었을 뿐만 아니라 내친김에 <초한지 강의>까지 달렸다. 여기에 <이중톈 미학강의>를 더하면 얼추 대표작을 다 나열한 것 같다. 이 중 무엇이 가장 재미있었냐는 질문은 크게 의미가 없지만 굳이 따진다면 미학 강의, 삼국지 1, 삼국지 2, 초한지 순이 아닐까 한다.


이 외에도 중국 현대의 시류를 다룬 책이 있었던 것 같은데 기억이 나지 않는 걸 보니 별로였던 것 같다. 그렇게 자연히 멀어져 오랜 시간 각자의 삶을 살다 이렇게 다시 역사로 만나니 그 반가움이 이루 말할 수 없는 지경이다. 나는 이 중국사 시리즈를 벌써 두 권이나 독파 중이다.


<선종의 흥기>. 내 눈을 사로잡은 건 바로 '선종'이었다. 달마가 시조로 알려진 이 종교는 불교의 한 종파로 아주 독특한 성격을 지니고 있다. 꾸준한 정진과 수련을 통해서만 해탈을 이룰 수 있다는 다른 종파와는 달리 한 순간의 깨달음만으로도 부처가 될 수 있다는 '돈오점수'와 이를 상징하는 얄궂은 선문답이 바로 그것이다.


중국은 공산주의 국가인 탓에 지배적인 종교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는 비단 정치 체제만의 문제가 아니었던 것 같다. 고대 중국사를 통틀어도 종교가 흥기 한 경우는 거의 볼 수 없기 때문이다. 물론 도교와 불교가 자웅을 겨루던 시절이 있었다. 그들은 황권에 의지하여 서로 세력 다툼을 벌였다. 정치와는 떼려야 뗄 수 없는 인연. 중국에서 종교의 흥망성쇠는 오직 권력의 조정에 달려 있었다. 이것은 신앙과는 무관한 일이었다.


실제로 중국 황제 중 진정한 신앙인은 매우 드물었다. 이것이 기독교, 이슬람 세계의 왕들과 매우 다른 점이다. 역시 가장 큰 이유는 '공자' 때문이었다. 유교는 수신, 제가, 치국, 평천하였고 그 정점에 황제가 있다. 백성은 모두 황제의 자식인데 초월적 신이 나타나 황제 또한 그의 자식이라 한다면 어떻게 국가의 기강이 서겠는가.


특히 불교는 황제를 불안하게 만드는 몇 가지 요소를 갖고 있었다. 승려들은 호구에서 제외되어 각종 세금을 면제받았고 군주보다 부처를 위에 두었다. 수많은 사원들은 자체적인 법률과 법규, 심지어 승병을 갖고 있었다. 그들이 단단한 연합체로 발전하면 주지들이 제후로 자처하는 것도 먼 일이 아니었다. 그런 면에서 선종이 그토록 흥기 한 건 정말 의아한 일이다. 달마의 고향에선 거의 흔적조차 보이지 않는 종교니 말이다.


<선종의 흥기>는 이 똑똑한 종교가 종교의 무덤이라 불리는 중국에서 어떻게 수천 년을 살아왔는지 살펴본다. 더 좋은 건 같은 시기 대제국을 완성한 이웃 문명을 같이 둘러본다는 것이다. 세 문명은 각각 불교, 이슬람교, 기독교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약간의 시차를 두고 각자의 흥망성쇠를 반복한다.


큰 역사를 조명하는 건 언제나 즐거운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