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둑맞은 집중력 - 집중력 위기의 시대, 삶의 주도권을 되찾는 법
요한 하리 지음, 김하현 옮김 / 어크로스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둑맞은 집중력>은 현대사회에서 일어나는 집중력 상실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집중력을 잃게 되면 어떤 위기에 직면할까? 우선 개인의 삶에서부터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다. 우리가 이루고 싶은 일을 달성하는 것과 깊이 생각하는 능력 사이에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문이다. 집중력을 발휘하지 못하면 우리는 평생 쥐꼬리만 한 연봉에 시달리며 살아야 한다. 문제는 이 집중력의 위기가 단순히 개인의 문제로 끝나는 게 아니라는 점이다. 우리는 현재 집단적 집중력 상실의 시대를 살고 있다. 이는 우리 사회가 처한 환경, 경제, 정치적 문제를 제대로 대처할 수 없게 만든다.


집중력 상실의 원인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서비스 체류 시간을 늘리려는 빅테크 기업들의 UX 전략이다.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GUI를 개발한 진정한 애플의 아버지 제프 래스킨의 아들 아자 래스킨은 인터넷 역사에 아버지 못지않은 업적을 남겼다. 바로 무한 스크롤! 이 기술로 인해 사용자의 서비스 체류 시간은 평균 50% 이상 증가했다. 사용자의 정신을 길들여 잦은 보상을 갈망하도록 만드는 것도 중요한 전략이다. 페이스북의 좋아요나 인스타그램의 하트 같은 즉각적 보상은 사용자의 감정적인 반응과 욕구를 자극하여 더 많은 시간을 소비하도록 유도한다. 가장 심각한 것은 이 서비스들이 부정적이고 충격적인 내용에 더 많은 관심을 갖는 인간의 특성을 이용한다는 점이다. 세상이 가짜 뉴스로 도배되는 이유? 그건 사람들이 이 맛을 더 좋아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오직 더 많은 조회를 유도하도록 개발된 알고리즘이 이 쓰레기들을 더 빨리 더 많이 나르기 때문이다.


둘째, 스트레스로 인한 만성적인 각성 상태다. 우리의 뇌는 위험 상황에 집중하는 특성이 있다. 현대인은 안전사고, 범죄, 실직, 육아 등 강도 높은 스트레스에 둘러 쌓여 살아간다. 이런 요인에 자주 노출되면 인간의 뇌는 과각성 상태에 빠져 집중력을 상실하게 된다.


셋째, 사용자의 소비를 늘려 몸집을 키우는 현대 자본주의의 성장 방식이다. 소비 자본주의의 가장 큰 적이 뭘까? 합리적 소비를 유도하는 공익 광고? 개인의 각성? 아니, 그건 바로 하루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인간의 '수면'이다. 잠든 인간은 소비할 수 없다. 우리가 깨어있다면 그 시간을 아마존 쇼핑이나 유튜브의 광고를 시청할 것이다. 뿐만 아니다. 기업들은 똑같은 시간에 사람들이 더 많은 것을 하게 만든다. TV를 보는 중에도 유튜브를 틀어놓고 카카오톡의 알림에 반응하며 인스타그램의 새 피드에 하트를 날리게 할 수만 있다면 소비의 유혹은 더 커질 것이다. 수면의 부족과 멀티태스킹은 우리의 집중력을 KO 시키는 강력한 원투 펀치다.


해결책은 뭘까? 우선 더 많이 놀고, 더 많이 휴식을 취해야 한다. 인간의 뇌는 딴생각을 할 때 오히려 집중력이 향상된다. 아무것도 하지 않고 하루를 보냈을 때 어떤 기분이 드는지 생각해 보자. 아마 시간을 '유용하게 활용'하지 못했다는 죄책감에 괴로워할 것이다. 그러나 이는 완전히 잘못된 생각이다. 비우지 않으면 결코 채울 수 없다.


그러나 집중력 문제를 오로지 개인의 책임에 맡길 수는 없다. 매일매일 먹고, 자고, 입을 것이 걱정인 사람들에게 더 많이 놀고 휴식을 취하며 요가와 명상으로 안정을 찾으라는 말은 모욕적이지 않을까? 오늘날 우리가 겪는 스트레스의 대부분은 사실상 경제적 위기에서 시작된다. 기본소득, 실업 급여, 연금 등의 복지 제도로 사회적 안전망을 단단히 구축할 수 있다면 사람들은 더 중요한 문제에 저절로 집중할 것이다.


이상적인 말로 들릴 수 있지만, 생각해 보자. 내가 어렸을 때 우리 사회가 가장 심각하게 받아들인 환경 문제는 오존층의 파괴였다. 그때 우리는 헤어스프레이를 쓰지 말라고, 냉장고를 사용하지 말라고 그저 말만 하지 않았다. 법을 만들어 프레온가스의 사용을 금지시켰다!


어떤 일이 너무 크고 벅차 개인이 감당하기 힘들다면 전 사회가 대응하는 것이 마땅하다. 법률을 제정해 빅테크 기업들의 알고리즘을 통제하고, 복지 제도와 튼튼한 치안 시스템을 갖춰 안전한 사회를 만들고, 사람들을 덜 일하게 만드는 게 정말 불가능한 일일까? 불과 100년 전만 해도 여성은 투표를 할 수 없었던 게 바로 인간의 역사다. 우리의 역사에 불가능은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