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패로
메리 도리아 러셀 지음, 정대단 옮김 / 황금가지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머나먼 외계에서 들려오는 노랫소리를 포착하여 우주로 모험을 떠나는 이 소설은 360페이지에 이를 때까지도 외계인이 등장하지 않는 인내심 강한 소설이다. 넷플릭스로 드라마화가 됐다면, 총 두 시즌으로 기획했다 치고 시즌1의 마지막 회, 엔딩에 가서야 슬쩍 외계인의 얼굴이 등장하는 셈이다. 나는 간질간질 떡밥만 흘리고 핵심 줄거리는 나무늘보처럼 전개하는 이야기들을 진심으로 혐오한다. 더블 제이의 <LOST>나 스페인판 <종이의 집> 같은 거 말이다.


그러나 이런 걸 소설로 읽고 있으면 느낌이 사뭇 다르다. 이 위대한 작가들이 추구하는 건 외계인이 발견됐다는 가십이 아니라 그게 우리에게 어떤 의미인지를 생각해보는 지적 탐구이기 때문이다. 어슐러 K. 르귄의 작품들이 SF를 넘어 일종의 사회과학 소설로 읽히는 것처럼, 이 소설 <스패로>는 정확히 같은 길을 지향한다.


나는 늘 외계 생명체가 발견됐을 때 이 세계의 종교가 어떻게 대응할지에 대해 생각해왔다. 신은 여섯째 날에 인간을 창조했는데 외계인은 언제 만든 걸까? 설마 안식일에 특근을 하지는 않았겠지? 물론 종교인들이 새로운 대륙과 인종을 마주할 때마다 써 내려간 잔인한 합리화를 모르는 건 아니다. 그러나 외계인이 우리만큼, 혹은 우리보다 우수한 문명을 보유하고 있을 땐 얘기가 좀 다를 것이다. 종교는 그 숭고한 의미와는 다르게 늘 지배자의 이데올로기로 봉사해왔는데, 저 먼 우주의 이웃이 우리보다 훨씬 강해 도저히 지배가 불가능해 보일 때는 어떤 교리를 어떻게 해석할지 궁금하다. 역사상 처음으로 '네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는 말씀이 득세할지, 아니면 그들을 사탄의 군대로 간주해 성전을 촉구할지. 뭐가됐든 우리 삶의 불안과 공포를 이용하고 폭력을 조장해온 종교들은 한동안 침묵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 높은 콧대가 폭삭 주저앉아 골머리를 썩을 걸 상상하면 마음이 날아갈 것처럼 즐겁다.


이 혐오와는 별개로 나는 종교의 탄생이 인간 역사의 필연이라고 믿는다. 통제할 수 없는 자연의 공포가 설명 가능한 이야기로 대체됐을 때 인간이 느끼는 안도를 생각해보자. 이 믿음이 결국 인간을 하나로 결집시켰고, 도시가 만들어졌고, 집단생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과학 기술이 발달하게 됐다. 종교가 없었다면 이 세상이 얼마나 평화로웠을까 생각하다가도 내가 누리는 문명의 이기들이 결국 그걸 계기로 발명됐다는 걸 인정할 수밖에 없어 마음이 착잡하다. 종교는 인간이 만들었지만 신은 인간이 종교를 만들 수밖에 없도록 세상을 창조한 셈. 모든 것은 신의 뜻대로. 부처님 손바닥 위의 원숭이처럼. 나는 이것이 지구인으로서 갖는 내 인식의 한계임을 바란다.


<스패로>는 예수회 신부 에밀리오 산도즈가 외계 문명의 존재에 담긴 신의 뜻을 헤아리기 위해 모험을 떠나는 소설이다. 나는 간질간질 떡밥만 흘리고 핵심 줄거리는 나무늘보처럼 전개하는, 내가 혐오해 마지않는 이야기처럼 이 글을 쓰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 모쪼록 내 의도가 전해지기를 바라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