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러브크래프트 컨트리
맷 러프 지음, 소슬기 옮김 / 은행나무 / 2021년 2월
평점 :
<러브크래프트 컨트리>는 짐 크로 법이 남아있던 1950년대 미국을 배경으로 한다. 짐 크로 법은 1965년까지 시행됐던 미국의 주법으로 남부 지역의 모든 공공기관에서 인종 분리를 할 수 있게 해 준 법이었다. 1865년이 아니라 1965년이다. 미국은 이때 인간을 달에 보낸다는 상상을 넘어 그걸 현실화할 수 있는 자원과 지식을 가진 유일한 문명국이었다.
공포 소설을 좀 읽어본 사람이라면 H.P. 러브크래프트라는 작가를 들어봤을 것이다. 러브크래프트는 스티븐 킹을 비롯해 수많은 공포 소설 마니아를 신도로 거느린 그 바닥의 신이다. 미국 게임에서 흔히 등장하는 촉수 달린 마신의 배경 신화를(크툴루 신화) 창조한 것도 바로 이 사람이다.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를 해봤다면 느조스, 요그사론, 크툰, 이샤라즈라는 고대신을 잘 알 것이다. 이 신들이 바로 러브크래프트의 크툴루 신화를 배경으로 탄생했다.
그러나 러브크래프트는 심각한 인종차별주의자였다. 다음은 그가 쓴 <깜둥이의 창조에 관하여>라는 글이다.
먼 옛날, 신들이 지구를 창조할 적에
제우스처럼 아름다운 형상으로 처음 인간을 빚었다.
그다음에는 역할이 덜 중요한 짐승을 만들었는데,
인간과 너무 동떨어져 있었다.
그 틈을 메꾸고, 인간과 나머지 피조물을 연결하고자,
올림포스 거주자들은 기발한 계획을 구상했다.
인간에 준하는 형상으로 짐승을 빚어
그 안을 악덕으로 채우고는 깜둥이라 칭했다.
<러브크래프트 컨트리>는 러브크래프트가 쓴 소설이 아니다. 그렇다면 이 소설은 수많은 신도 중 하나가 써낸 오마주인가? 러브크래프트의 작품을 늘 현대적으로 재구성한 형태로 읽고 싶었던 내게 이 소설은 괜찮은 선택이 될 수 있었다. 그러나 책장을 연 순간 러브크래프트 월드를 넘어선 뭔가가 이 소설에 담겨 있음을 알게 된다. 고대 주술, 비밀스러운 종교, 마법, 저주 기타 등등. 작가는 러브크래프트스러운 오컬트를 켜켜이 쌓은 생크림 위에 검은 딸기 하나를 올려놓는다. 이 소설의 '주인공'은 흑인이다.
그러니까 <러브크래프트 컨트리>는 가장 러브크래프트스러운 이야기를 가장 러브크래프트답지 않게 그리는 신비한 소설이다. 짐 크로 법이 흉흉한 눈을 빛내며 살아있던 시대에 검은 피부의 주인공이 나타나 고대 주술에 통달한 백인 갑부를 물리치는 이야기라니. 사상 최악의 인종차별자 소설가에게 내리는 복수로 이보다 더 우아한 걸 찾기는 어려울 것이다.
<러브크래프트 컨트리>는 한국전 참전 용사 애티커스와 그들의 가족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연작 소설이다. 애티커스는 고대 새벽 수도회라는 비밀 종교의 수장이 부리던 한 흑인 노예의 자손인데, 짐작했겠지만 그 뿌리가 백인 주인에게 닿아 있다. 고대 주술을 완성시키기 위해 수장의 혈통이 필요했던 백인이 애티커스에게 마수를 뻗침으로 이 가족의 험난한 모험이 시작된다.
마법과 주술이 등장하기는 하지만 근원과 원리 등을 상세하게 기술하는 소설은 아니다. 소재는 딱 분위기를 만들어낼 만큼만 적당히 사용된다. 이런 쪽을 전혀 모르는 사람들도 무리 없이 받아들일 수 있는 수준이다. 하지만 환상이 현실의 경계를 침범하는 걸 견딜 수 없는 사람이라면 강도의 높고 낮음과 상관없이 받아들이기가 어려울 것이다.
주 경계를 넘어 여행하는 건 차치하고 자기가 사는 지역을 벗어나는 것조차 쉽지 않던 시절에 펼쳐지는 흑인의 모험담은 신비주의와 어울려 묘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실제적 비현실과 가공의 비현실이 나무뿌리처럼 얽혀있는 세계. <러브크래프트 컨트리>는 까다롭지 않고, 훈계하지 않으면서도 밝혀야 할 문제를 드러내는 수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