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하다는 착각
마이클 샌델 지음, 함규진 옮김 / 와이즈베리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바야흐로 능력이 독재하는 세상이 도래했다. 얼핏 능력주의는 이 세상에서 가장 합리적이고 정당한 것으로 보인다. 가장 노력한 사람이 가장 뛰어난 재능을 발휘하고, 가장 뛰어난 재능을 가진 사람이 가장 큰 보상을 차지한다. 얼마나 명쾌한가? 찌르고 들어갈 틈이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조금만 따져 봐도 능력의 우열을 판단한다는 게 생각보다 깔끔하지 않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특히 그것이 '보상'과 결부되었을 땐 말이다. 여기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시를 짓는 사람과 주식 천재가 있다고 가정해 보자. 두 사람의 연봉 차이는 쉽게 떠올릴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이 차이는 왜 나오는 걸까? 능력주의의 관점에서 보면 시를 짓는 능력이 주식을 거래하는 능력보다 저급하거나 시인이 주식 트레이더보다 노력을 '덜'한 것이다. 평가가 부당한가? 최선의 변명은 보상이란 그저 시장이 그 일에 더 많은 경제적 가치를 부여하기 때문이지 실제적 가치와는 무관하다는 주장일 것이다. 그러나 모든 것이 경제화된 세상에서 한 해에 벌어들이는 수익의 차이로 능력의 우열을 가리려는 유혹을 피하기란 대단히 어렵다. 시가 세상을 아름답게 하는데 큰 기여를 한다는 주장에 공감을 하는 사람도 막대한 국가 보조금을 시인들에게 연금으로 지급하자는 주장에는 고개를 설레설레 저을 것이다.


능력주의의 더 큰 문제점은 그 능력이 오로지 노력을 통해서 얻어진 결과라는 신화를 퍼뜨린다는 점이다. 이는 능력을 갖추지 못한 탓을 모두 개인에게 전가함으로써 우리를 심각한 우울에 빠뜨리는 동시에 성공한 사람들이 차지하는 부와 명예가 모두 정당하다는 주장에 힘을 실어준다. 한병철이 <피로사회>에서 지적한 바 있듯이, '아무것도 가능하지 않다는 우울한 개인의 한탄은 아무것도 못할 게 없다고 믿는 사회에서만 가능한 것이다.'


'시스템에 부정이 있다는 걸 알면 노동계급은 그것에 정치적으로 도전할 힘이 생긴다.'(p. 192). 그러나 상류층이 차지한 부와 명예가 오롯이 개인의 능력에서 비롯됐다는 믿음이 굳건한 사회에서는 약자의 요구가 모두 패배자의 떼쓰기로 전락해 버린다. 이쯤에서 우리가 제기할 수 있는 의문은 크게 두 가지다. 첫째는 성공이 개인의 능력에 의한 것이 맞지만 그 보상이 적당하냐는 것이고, 둘째는 성공이 정말로 개인의 능력 때문이냐는 것이다. 전자를 지지하는 사람은 성공한 사람들의 양보와 자비를 전제해야 하므로 결국 주는 쪽도 받는 쪽도 석연치 않은 감정을 극복해야 하는 문제가 남는다. 반면 후자를 지지하는 사람들은 노력=능력=성공으로 고착된 편견을 깨부술 수 있을 만큼 날카로운 반론을 만들어내야 한다.


나는 성공이 '노력'만큼 '운'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고 생각한다. 내가 만약 모바일 서비스로 큰 성공을 거뒀다면 그게 내 노력의 결과라는 걸 의심하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그 성공의 토대, 즉 국민 대다수가 스마트폰을 들고 다니는 세상에 태어난 건 순전히 운에 불과하다. 장영실은 아마 나보다 몇 배는 뛰어난 발명가였음이 분명하지만, 그에게 이백 년의 시간을 더 줬어도 엘론 머스크가 될 수는 없었을 것이다.


재능이 노력의 결과라는 믿음도 수십 년간 수많은 똑똑이들을 지켜보며 회의적으로 변한 게 사실이다. 내가 정말로 뜻이 있어 지금부터 30년간 소설을 진지하게 써나가면 언젠가 노벨상을 받을 수 있을까? 재능이 정말로 노력의 결과라면 당신이 어디에 있든, 나이가 몇이든, 지금 무슨 일을 하든 상관없이 마이클 조던이나 제프 베조스 또는 코맥 매카시가 될 수 있다. 정말로 그렇게 믿는다면, 그 낙천성에 박수를 쳐줄 순 있지만 당신 앞에 놓인 생이 결코 순탄치 않으리라는 진심 어린 걱정도 같이 전하고 싶다. 물론 세상엔 그런 사람들이 정말로 존재한다. 평범한 샐러리맨에서 위대한 투자자나 CEO가 된 사람들. 하지만 그런 사람들의 성공이 '신화'로 포장되는 이유는 역설적으로 그런 일이 '거의 벌어지지 않기' 때문이라는 데 동의해야 한다.


마이클 교수님은 예의 판단을 내리기보다는 수많은 주장이 존재함을 알려줌으로써 우리를 사고의 바다에 빠뜨린다. 무엇을 믿든 그건 자유다. 하지만 우리가 그런 믿음을 가졌을 때 세상이 어떻게 변하는지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아야 한다. <공정하다는 착각>은 같은 말을 수백 페이지에 걸쳐 반복한다는 점에서 <정의란 무엇인가>에 비해 한참은 아쉽지만, 현대인의 겪는 불안과 온 세계에 몰아치는 정치적 격동이 어떤 이유로 발생하는지 분석한다. 핵심 내용이 이미 <정의란 무엇인가>에 실려 있어 <공정하다는 착각>보다는 그쪽을 추천하지만, 교수님의 팬이라면 오랜만에 나온 이 신간을 그냥 지나칠 수는 없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