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실의 흑역사 - 인간은 입만 열면 거짓말을 한다
톰 필립스 지음, 홍한결 옮김 / 윌북 / 2020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한눈에 반해 시작된 톰 필립스 정주행이다. 이 자의 매력은 훅 찌르고 들어오는 농담인데, 그 리듬을 살리려면 번역이 아주 중요하다. 이 부분에선 <인간의 흑역사>가 더할 나위 없는 맛을 보여줬기에 나는 번역가가 동일한지까지 확인하는 꼼꼼함을 보였다. <진실의 흑역사>는 전작과 마찬가지로 '톰 필립스', '홍한결' 듀오가 활약한다.


두 책 모두 인간의 뻘짓을 연구하는데 <진실의 흑역사>는 그중에서도 '거짓말'에 집중한다. 케임브리지 대학에서 인류학과 사학, 과학 철학을 전공한(아니 외국 대학은 도대체 어떤 학제를 갖기에 이 모든 학문을 동시에 전공하는 게 가능한 걸까?) 톰 필립스는 현재 영국의 비영리 팩트체킹 기관 '풀택트'의 편집자로 일하고 있다. 알고 보니 거짓말에 대해선 완전 전문가였던 것이다.


포스트 모던한 현대를 규정하는 수많은 정의들 중에 가장 거친 기세로 성장하는 놈이 있다면 아마 '탈진실 시대'가 아닐까 싶다. 인터넷 기사에서 SNS, 유튜브까지 순수하게 창작된 거짓말이 진실인양 퍼지는 현상은 도처에서 목격된다. 새빨갛다 못해 조악하기까지 한 거짓말들이 엄청난 조회수를 기록하고 여기에 동의하는 댓글들이 수만 개씩 달리는 걸 보면 탈진실 시대의 암울한 미래에 우울한 기분이 드는 것도 사실이다. 아니 어떻게 저런 걸 믿을 수 있지? 인간은 정녕 똥멍청이에 불과한 걸까?


그러나 탈진실 시대라는 말을 곰곰이 생각해보면 이 말에 약간 어폐가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현대가 정녕 탈진실의 시대라면 과거 어느 시점엔 진실의 시대가 존재했단 말인가? <인간의 흑역사>를 읽어본 사람이라면 이제 이 책이 어떠한 방향으로 주장을 펼쳐나갈지 눈치챘을 것이다. 그렇다. 인간 세상은 애초에 진실했던 적이 단 한 번도 없었다!


인간은 순 구라쟁이다. 감히 말하건대 언론을 포함한 미디어 산업은 이 구라를 상업화하는 과정에서 태어난 것이 분명하다. <진실의 흑역사>는 과거의 신문들이 얼마나 엉터리 같은 거짓말들로 사람들을 홀렸는지 폭로한다. 이 중엔 현대 정론지라 불리는 신문사도 있었다. 몇 가지만 소개해 볼까?


1833년 뉴욕의 <선>지는 '달에 박쥐 인간이 산다'는 뉴스를 내보냈다. 월스트리트를 만든 뉴욕 시민들이 이 말을 믿었냐고? 유명 작가 에드가 알렌 포는 훗날 '이 말을 믿지 않는 사람은 열명 중 한 명도 되지 않았다'라고 고백했다.


1910년, 76년마다 지구를 찾아오는 핼리혜성의 재등장이 임박하자 <뉴욕 타임즈>(그렇다. 우리가 아는 바로 '그' 언론사다)는 혜성의 꼬리에 유독 물질이 가득하며 이 가스로 인해 지구의 생명이 절멸할 수도 있다는 프랑스 천문학자의 견해를 뉴스에 실었다. 그 결과 미국에 종말론이 급속도로 퍼져나갔다. 사람들은 가스를 차단하기 위해 문과 창문을 봉쇄했으며 방독면이 불티나게 팔려나갔고 일부 사기꾼들은 가스를 마시고도 살아남을 수 있는 알약을 판매했다.


그렇다면 왜 거짓은 진실보다 널리 믿어지는 걸까? 톰 필립스는 그 이치를 크게 일곱 가지로 정리한다.


첫째, 노력 장벽. 쉽게 말해 무엇이 진실인지 알아내려면 엄청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우리 같은 비전문가들, 게다가 하루 종일 처리해야 할 잡다구리에 지친 사람들에게 모든 분야의 팩트 체킹을 강요하는 건 너무나 가혹한 일이지 않은가?


둘째, 정보 공백. 진실은 앞서 말한 노력 장벽에 의해 발굴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린다. 하지만 근거 없는 추측, 거짓 정보의 생산엔 장벽이 없다. 진실은 거짓과 싸우고 싶지만 결투가 끝나고도 한참 뒤에야 경기장에 도착하는 것이다.


셋째, 개소리 순환고리. 아무리 거짓말 같아도 많은 사람들이 한결같이 똑같은 얘기를 하면 강철의 마음을 가진 사람도 흔들리기 마련이다. 이 중에 저명인사 또는 유력 신문이 한 둘이라도 끼어있다면? 신뢰는 본디 정보의 참, 거짓에 의해서가 아니라 그 정보를 믿는 사람들의 영향력으로부터 생기는 법이다.


넷째, 진실이라 믿고 싶은 마음. 인간은 진실을 믿기보다는 본인이 믿고 싶은 걸 진실이라고 간주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동기에 의한 추론' 또는 '확증 편향'이라 불리는 데 본질적으론 다 같은 얘기다.


이밖에도 자신이 진실이라 굳게 믿었던 걸 부인하지 못하는 '자존심의 덫', 난무하는 거짓말에 지쳐 판단을 포기하는 '무관심', 우리의 정신을 불안과 망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뇌의 정신건강 보호 프로세스' 등이 있다. 어쩌면 거짓말이 싹트는 가장 안전한 온실은 마지막에 있는지도 모른다. 생각해 보자. 우리가 듣는 모든 정보가 거짓이라고 생각한다면 얼마나 피곤할까? 뇌는 극도로 예민해져 조그만 자극에도 신경질적으로 반응할 것이다. 세상의 온갖 거짓말에 맞서 싸우다 탈진해 버린 뇌. 이러한 파국을 막기 위해 우리는 어떤 정보가 '일단 진실'이라고 믿고 넘어가는 것이다.


이러한 점들을 이용해 사람들은 상업적, 정치적, 그리고 때로는 단순한 유희로 거짓말을 일삼아 왔다. 장담하건대 이러한 현상은 인류가 지속되는 한 결코 멈추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우울해하지 말자. 인간은 애초에 거짓말을 하는 동물로 진화해 왔다. 거짓말을 하지 않는 것은 인간의 본성을 거스르는 일로, 엄청난 자기비판과 절제가 필요하다.


거짓말을 막을 수 없다면 우리가 걸러 듣는 수밖에 없다. SNS에 좋아요와 공유를 누르기 전에 단 한 번만이라도 구글에 '검색'을 해보는 것. 아무리 싫어하는 매체, 사람이라도 그 주장을 직접 듣고 판단하는 것. 사실 쉽지는 않은 일이다. 하지만 세상을 거짓말로부터 지키는 일에 대한 방법 치고는 너무 간단하지 않은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