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 너머로 달리는 말
김훈 지음 / 파람북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달 너머로 달리는 말>은 가상의 국가 '초'와 '단'을 배경으로 펼쳐진다. '초'는 말이 가장 귀한 대접을 받는 유목민족이다. 글자는 존재하지 않고, 풀밭에 천막을 치고 살며, 말과 사람이 먹을 것은 뺏어 먹는다. '단'은 성벽을 쌓고 그 안에 무리를 지어 사는 족속이다. 글자가 존재하며 먹고사는 방편으로 농사를 짓는다.


늙은 초의 왕은 어느 날 단의 성벽이 초원을 침범해 흉물스러운 돌덩이들이 세상을 뒤덮을까 걱정이 된다. 그는 아들에게 눈 앞에 보이는 모든 돌무더기들을 치우라는 유언을 남긴 뒤 스스로 나룻배 한 척을 타고 강 하류로 나아간다. 그 끝엔 인생을 마친 자들이 기거한다는 명도가 있었다. 때가 되어 스스로 명도로 향하는 풍습을 '초'는 돈몰이라 불렀다.


이 소설의 주인공은 덧없는 인생을 지고 사는 인간과 그런 인간에게 붙들려 사는 말이다. 인간과 말은 교감을 하는데 말이 힘센 인간의 말에 복종하는 건지 인간으로 태어난 것을 연민해 태워주는 건지 알 수 없다. 말은 인간만큼 강한 자의식을 갖고 있어 스스로 이빨을 뽑아 고삐를 풀기도, 좋아하는 암말을 따라 국경을 넘기도 한다. 말의 생은 인간의 생에 종속된 것처럼 보이지만 그 종속은 그저 말의 선택인 것 같다는 생각도 든다. 따지고 보면 이 이야기에서 자신의 삶을 스스로 선택한 건 나라를 떠나 미물과 대화하는 법을 깨우친 미친 왕자 연(초왕의 둘째 아들)과 말들 뿐이다. 나머지는 왕의 명령에, 나라의 풍습에, 보이지 않는 무언가가 강요하는 도리에 따라 살아간다. 김훈은 그 모든 것들을 해방시키기 위해 공멸을 택한다.


나는 그가 늘 고통받는 인간을 관망할 뿐 거기에 간여하는 않는 것에 불만을 가졌는데, 이 소설은 어쩌면 그가 세상에 내놓는 최초의 목소리인 것 같다는 생각도 든다. 그간 김훈이 써온 역사 소설은 사실과 떨어질 수 없는 운명이기에 거기에 뭔가 더하고 빼는 일은 불가능한 일이다. 나는 그동안 이런 논지로 김훈의 소설을 스스로에게 납득시켜 왔다. 하지만 애초에 '그 역사'를 관망하기로 결정한 그 자체에 작가의 강력한 주장이 담겨 있는 것은 아닐까? 김훈은 자신이 전하고자 하는 결말과 가장 흡사한 역사적 사실을 찾아 그것을 충실히 재현하는 것으로 자신의 주장을 은유해왔던 건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그게 뭘까?


<달 너머로 달리는 말>은 내가 읽은 김훈의 소설 중 처음으로 사실에 얽매이지 않는 이야기다. 그리고 그의 주장이 처음으로 선명하게 드러나는 이야기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상하게도 <달 너머로 달리는 말>은 그간 김훈이 써온 소설 중 그 어떤 것보다도 난해하다. 같은 말이 반복되거나 중언부언 흩어진다는 느낌. 처음으로 적나라한 주장을 드러내고 싶은 욕망과 그것이 너무 적나라한 것에 대한 반감 사이에서 이리저리 흔들렸던 걸까? 역사적 사실을 다룰 때는 사실 뒤에 숨어 교묘히 주장을 가릴 수 있었을 것이다. 이것은 나의 생각이 아니다, 이것은 사실일 뿐이다 라고. 김훈은 이 쪽 지평선 끝이 저 쪽 지평선 끝과 이어져 몸을 가릴 돌덩이 하나 밟히지 않는 달빛 아래 초원에 서 있다. 나 따위가 이런 대작가에게 할 말인지는 모르겠으나, 그는 그곳에서 길을 잃은 듯한 느낌이 들었다.


김훈은 책 뒤에 '세상을 지워 버리고 싶은 충동이 내 마음 깊은 곳에 서식하고 있었던 모양인데, 이 책은 그 답답함의 소산이다.'라고 썼다. 그는 인간이 걸어가는 자리마다 쌓이는 난잡함에 망연해하는 것 같다. 하지만 그를 가장 괴롭히는 건 이런 난잡한 세상에서 살아보겠다며 어지러운 글들을 토해내 밥을 벌어야 하는 자기 자신의 비루함일 것이다. 그의 인생은 어디서부터 이렇게 무거워진 걸까? 나는 그가 이 소설에 내놓은 의견에 절대적으로 공감하지만, 아직은 그게 유일한 것이라고 생각지는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