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년 왜란과 호란 사이 - 한국사에서 비극이 반복되는 이유
정명섭 지음 / 추수밭(청림출판)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왜란과 호란 사이에 고작 38년의 시간차가 있었다는 건 놀라운 사실이다. 10살에 왜란을 맞아 17세에 드디어 전쟁의 끝을 맛본 사람은 50살이 채 되지 않아 다시 호란을 맞아야 했다. 조선왕조 500년을 통틀어 가장 끔찍했던 두 전쟁을 한 인생으로 맞은 것이다. 어떤 느낌이었을까? 워낙 악몽 같던 시절이라 정작 본인은 느끼지 못했을지 모른다. 오로지 생존을 위해 달리느라 그런 걸 생각해 볼 겨를이 없었을지도 모르고.


두 전쟁엔 리더의 무능이라는 공통점이 있었다. 선조와 인조는 전쟁이 났다는 말을 듣기 무섭게 도망가기 바빴다. 텅 빈 한양을 보며 백성들은 통곡했다. 왕이시여 왜 백성을 버리나이까. 겁이 많은 두 임금은 깊숙이 숨어 나오길 꺼렸고 분조를(위기시에 임시 조정을 만드는 것. 주로 세자가 이끌었다) 구성해 백성과 군사를 독려하게 했다. 역사엔 광해군으로 추락한 엉터리 왕이 왜란 당시에는 오히려 선조보다 높은 인기를 구가했다는 사실을 아는가? 명나라는 그런 선조를 은근히 꾸짖고 탓하기도 했다. 하지만 그건 조선에 그다지 유용하지 않았다. 그럴수록 이 무능한 임금의 권력욕은 커져만 갔기 때문이다.


선조와 인조는 권력욕이 많았다. 사실 욕심보다는 집착이라는 말이 맞을 것 같은데, 확실히 두 사람은 옥좌를 뺏길까봐 두려워했다. 웃기지 않은가? 그 위에 누구도 없는 왕이다. 모든 권력을 쥔 사람에게 어떻게 권력을 뺏어올 수 있단 말인가? 하지만 조선의 역사를 보면 왕권은 생각보다 강하지 않았다. 정도전과 태조는 조선을 건국하며 신하가 다스리는 국가라는 이념을 내세웠다. 왕은 명예와 상징을 갖고 실권은 신하가 쥐는 것이다. 뿐만아니라 조선의 왕들은 역대로 명나라의 승인을 받아야 했다. 본사의 허락 없이 계열사의 사장이 될 수는 없는 법. 명나라는 존재하는 내내 이를 정치적으로 악용했다. 재가를 볼모로 원군을 요청하는가 하면 조선에 주둔한 명나라 군사의 보급을 강요하기도 했다. 여러모로 막대한 국력이 소모되는 일이었다.


두 사람의 정통성 문제는 안 그래도 취약한 권력에 불을 붙이는 기름이 된다. 선조는 조선 최초로 적자가 아닌 왕이었다. 여염집의 말을 그대로 쓴다면 서자가 유산을 물려받은 건데, 적장자의 권위만을 인정하던 당시의 세태 속에서 그 무시가 오죽했겠는가. 선조는 늘 이 스트레스에 시달렸던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그는 자기보다 인기를 얻는 장수나 신하가 있으면 시기하고 미워하다 죽이기까지 했다. 심지어 자신의 아들까지 미워해 광해군을 폐세자 하고 뒤늦게 얻은 적자 영창대군을 새롭게 세자로 책봉하려 했다.


웃긴 건 그럴수록 명에 대한 사대는 심해졌다는 것이다. 스스로 권위를 세울 힘이 없으니 외부의 큰 세력을 통해 그 권위를 인정받을 수밖에 없다. 너희가 뭐라고 하든 나는 대국의 황제가 인정한 사람이다. 믿을 구석은 이거 하나밖에 없는 것이다. 저자는 이때를 계기로 관념적이었던 사대가 실질적이며, 동시에 맹목적으로 변했다고 지적한다.


인조는 이보다 더한 경우였다. 애초에 왕이 될 수 없던 사람이 몇몇 사대부들과 반정을 일으켜 권력을 차지한 사람이다. 말이 반정이지(정의를 되돌린다) 엄연한 쿠데타다. 신하의 입장에선 자신이 세운 왕이니 자기가 내릴 수도 있다고 생각하는 게 당연하다. 그런 신하들을 계속 곁에 두려면 부정부패를 눈감아 줄 수밖에 없다. 나라의 곳간은 비고 백성의 고혈은 쭉쭉 뽑혀나간다. 그나마 인물이 남아있던(류성룡, 이항복, 이순신, 곽재우 기타 등등!) 왜란 때와는 달리 호란은 그야말로 총체적 난국이었다. 팔도의 군사들은 남한산성 근처에 주둔하며 몸을 사렸다. 그들은 어쩌면 인조가 전쟁통에 그냥 죽어버리길 바랐을지도 모른다. 왜란 때와는 달리 별다른 의병 활동도 없었던 것을 보면 백성들의 마음은 한결같았던 것 같다. 여진의 왕이든 조선의 왕이든 그놈이 그 놈이다.


정통성을 상실한 권력은 늘 이렇다. 이것은 비단 조선의 문제가 아니었다. 대한민국의 근대사를 둘러보자. 해방 직후 미국을 등에 업은 이승만 정권은 권력 유지를 위해 국민의 지지를 받던 김구를 암살했다. 부정선거와 부패는 끝 모르게 이어졌고 결국 4.19 혁명을 불러일으켰다. 하지만 희망은 잠깐. 이후 수십 년간 이어진 군사독재는 그 전과는 비교도 할 수 없는 참극을 낳았다. 권력을 찬탈한 사람들은 그 대가로 뭔가를 버려야 했다. 국민의 자유, 국민의 안전, 민족의 통일.


2020년은 우리 손으로 대통령을 뽑게 된 지 34년이 되는 해다. 누가 나에게, 이제는 우리도 국민의 지지를 받는 정통의 권력을 가졌다 라고 자신에 차 외친다면 뭐라고 말해야 할지 잘 모르겠다. 조선이 겪은 비극은 현대에도 만만치 않다. 수백 년 전의 악몽이 똑같이 되풀이되는 걸 보면 이걸 숙명이라고 봐야 하나, 결국은 아무도 극복할 수 없는 흉터인 건가? 하는 생각이 들어 마음이 무겁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