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연의 신 현대문학 핀 시리즈 소설선 10
손보미 지음 / 현대문학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남자는 경찰대를 졸업한 수재다. 경찰청에서 3년을 근무한 뒤 민간 조사원이 됐다. 실력이 좋았고 고객은 탄탄했다. 그는 매일 정해진 루틴을 따른다. 그가 이 루틴을 깨는 경우는 한계치에 이르렀을 때다. 이른바 '포화'라고 부르는 단계에 다다르면 그는 모든 일을 중단하고 휴가를 떠난다.


그런데 그가 휴가를 떠나는 날 VIP 고객으로부터 의뢰를 하나 받는다. 그는 한번도 자신의 원칙을 어겨본 적이 없는 사람이다. 아무리 중요한 고객의 부탁이라도 딱 잘라 거절할 수 있을만큼 고객층도 탄탄하다. 하지만 의뢰인의 이야기는 흥미로웠다. 그는 7년 동안 단 한 번도 취소해본 적 없는 휴가를 미루고 프랑스로 출국한다.


여자는 프랑스로 입양을 간 동양인이다. 거기서 대학을 졸업했고 뉴욕의 전시 에이전시를 거쳐 지금은 예술재단에서 일하고 있다. 그녀는 프랑스인도 미국인도 동양인도 아니었다. 그녀의 친구는 끊임없이 타오르는 담배 연기 뿐이다.


어느날 그녀에게 고등학교 동창의 편지가 도착한다. 동창은 그녀와 같은 동양인이었다. 하지만 알 수 없는 이유로 그녀를 미워했다. 따돌렸다. 동창은 이미 죽은 사람이었다. 편지는 그의 어머니가 보냈다. 그녀에게 남긴 유서와 유품이 있으니 프랑스로 와 가져가라는 것이었다. 도대체 왜? 그녀는 의아했지만 프랑스로 가보기로 결심한다. 대학 졸업 이후 영원히 떠나버린 나라. 나쁜 기억의 고향으로.


우리가 운명이라고 부르는 모든 사건은 사실 우연에 불과하다. 좀 더 정확히 말하면, 삶은 우연과 우연이 주고 받는 상호작용의 결과다. 당신과 함께 하는 그 혹은 그녀는 당신과 어떠한 운명으로도 얽혀 있지 않다. 당신은 인연을 맺기까지 연계된 수 많은 우연을 보고 감탄할 지도 모른다. 그토록 많은 우연의 결과라면, 그토록 희박한 확률의 결과라면, 그것을 운명이라고 부르지 말아야 할 이유가 어디 있겠는가? 하지만 그건 결과론적인 얘기일 뿐이다. 인간은 단 한 번의 삶을 살기에 현재에 큰 의미를 부여할 수 밖에 없다. 그래서 우연은 운명으로 가장된다. 돌이켜볼 수록, 되짚어볼 수록, 우연은 운명처럼 보인다. 완전한 착각이다.


<우연의 신>은 재료만 잔뜩 꺼내 놓고 채 끝내지 못한 요리 같다. 우연을 계기로 맺어진 두 남녀의 관계가 흥미진진하게 흘러가는 듯 싶지만 어느덧 탄산이 빠진 맥주처럼 거품이 사그라든다. 추리와 멜로가 교묘하게 맛을 이룬 케이크를 기대했지만 씹고 삼키는 동안 둘 중 어느 맛도 기억에 남지 않는다.


급작스럽게 끝나는 이야기는 우연을 운명으로 가장하지 않기 위한 장치일지도 모른다. 엔딩은 없다. 완결은 없다. 인생은 끊임없이 얽히고 설키는 우연의 연속일 뿐이니까. 우연히 만난 두 남녀는 역시 우연에 따라 허무하게 헤어질 수 있다. 그리고 두 남녀는 '포화'에 이른 남자가 떠난 휴가지에서 다시 만날 수도 있다. 그걸 운명이라고 부를 수도 있지만, 우연은 우연일 뿐이다. 우연의 사전엔 운명이라는 단어가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