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드 블러드 - 테라노스의 비밀과 거짓말
존 캐리루 지음, 박아린 옮김 / 와이즈베리 / 201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실리콘밸리 유니콘 테라노스의 핫한 사기극이 400페이지에 걸쳐 쏟아진다. 성공과 야망에 취해 양심을 잃은 엘리트의 최후가 자못 희극적이다. 거짓이 정의의 심판을 받는 드문 해피엔딩이라 읽는 마음에 상쾌함이 분다. 아주 재미있는 책이다.


테라노스는 엘리자베스 홈즈라는 한 매력적인 여성이 설립한 혈액분석기 제조 스타트업이었다. 보수적이기로 소문한 의학계에, 약관의 나이, 그것도 스탠포드를 중퇴한 학력으로 도전장을 내민다는 건 감히 상상할 수 없는 일이었다. 게다가 단 한 방울의 피로 수 백가지의 질병 검사를 할 수 있는 솔루션이라니! 과감한 아이디어가 창업자의 배경과 얽히자 성공 신화의 씨앗이 잉태됐다. 사람들은 그녀의 대범함에 놀랐고 그녀의 비전이 바꿀 세상에 가슴이 부풀었다. 너도 나도 지갑을 털어 수 천억을 투자한다.


돌이켜보면 그 똑똑한 사람들이 왜 그리 하나같이 바보처럼 굴었는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 사기극에 속아 주요 주주로 참여한 면면은 놀라울 정도로 화려하다. '아이언맨'의 실제 모델이기도 한 오라클의 CEO 레리 앨리슨부터 얼마전 디즈니에 폭스 엔터를 매각한 언론계의 전설적 재벌 루퍼트 머독까지. 그들은 10억, 20억도 아니라 무려 천억 단위의 수표를 앉은 자리에서 끊어줬다. 도대체 왜? 나는 그 이유를 기회의 기회비용과 신뢰 구축의 메커니즘에서 찾고자 한다.


실리콘밸리에선 기회의 기회비용이 너무나 거대하다. 무슨 말이냐고? 만약 당신이 1997년 야후의 CEO고 1조원에 구글을 인수할 기회가 있었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 이 거래는 우리가 익히 알듯 야후의 포기로 끝이 났고 이후 구글은 시가 총액 1,000조의 기업으로, 야후는 흔적조차 사라져버렸다. 물론 사업상 실수는 얼마든지 저지를 수 있다. 하지만 실리콘밸리에선 그 규모가 엄청날 뿐만 아니라 그 사실이 역사에 새겨져 영원한 조롱의 대상이 된다. 그 동네에선 안목이 없는 회사라는 이미지보다 더 최악인 건 없다. 미래를 보지 못하는 바보, 쿨하지 못한 인간들. 실리콘밸리에선 이처럼 투자를 해서 망하는 것보다 좋은 투자를 거절하는 것에 대한 기회비용이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크다. 게다가 향수를 일으키는 배경의(대학 중퇴) 매력적인 CEO가 가슴을 뛰게 하는 거대한 비전을 들고 나온다면 사람들의 머리 속엔 위대한 그(스티브 잡스)의 그림자가 각인될 수 밖에 없다. 이 경우 CEO의 편집증에 가까운 비밀 유지, 오만한 성격, 기행, 기타 안하무인적 행동들은 오히려 '좋은 지표'로 간주되기에 이른다.


테라노스 사태를 통해 나는 신뢰라는 게 빈약한 사실 위에서도 얼마든지 강력하게 구축될 수 있다는 걸 깨달았다. 전달하려는 내용이 믿을만한지 아닌지는 중요하지 않다. 중요한건 그 내용을 둘러싼 사람들의 영향력이다. 오바마가 엘리자베스 홈즈를 백악관에 초청해 앞으로 미국을 이끌어 갈 차세대 CEO라 지목한다면 우리가 감히 테라노스를 사기꾼이라 부를 수 있을까? 앞에서도 말했듯 테라노스에 투자한 사람들의 면면은 전 국무장관 헨리 키신저에서부터 국방장관, 언론 재벌, 주요 산업계의 리더들 까지 대단히 화려했다. 그 모든 사람들이 동시에, 하나같이, 대학 중퇴자의 농간에 속고 있다는 건 태어나서 처음으로 탄 비행기가 납치 됐는데 그 범인이 당신의 외삼촌일 확률보다 희박하지 않을까?


하지만 신뢰가 구축되는 과정을 돌아보면 이는 얼마든지 가능하다. 그러니까 신뢰란, 레리 앨리슨과 루퍼트 머독과 헨리 키신저와 오바마가 테라노스를 믿기 때문에 형성되는 게 아니라 루퍼트 머독이 레리 앨리슨을, 헨리 키신저가 루퍼트 머독을, 오바마가 헨리 키신저를 믿기에 형성되는 것이다(이 관계는 단지 예시일 뿐 사실과는 전혀 관련이 없다).


이처럼 신뢰는 사슬처럼 이어진다. 뒤에 연결되는 사슬은 자기가 연결되는 사슬의 단단함만을 따질 뿐 이 고리 전체가 매달려 있는 거치대의 견고함을 따지지는 않는다. 시간이 갈수록 사슬은 점점 단단한 고치를 형성해간다. 복잡하게 얽힌 사슬로 인해 거치대의 부식과 부패는 효과적으로 감춰진다.


이는 마치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를 연상케 한다. 최초의 대출자는 신용도가 심각하게 낮은 부실 채권자지만 은행은 여기에 고신용 대출자들을 섞어 우량 금융 상품을 만들고 보험회사는 그 금융 상품의 신용도에 맞춰 상품을 판매한다. 이후 수 많은 파생상품들이 동일한 전제에 근거해 같은 행동을 거듭하며 거대한 버블이 형성된다. 반대로 이 말은 초기에 나의 신용을 보장해줄 Key Person의 존재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일깨워 준다. 보잘것 없는 저축은행이 탑 중의 탑을 모델로 기용하는 이유. 제품이 부실한데도 TV CF에 투자금을 쏟아붓는 이유. 유명한 사기꾼이 되고 싶은가? 그렇다면 이를 꼭 명심하는 게 좋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