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충 헤아려 보니 2014년 8월부터네요. 1주일에 한개씩, 한번도 빠짐없이 약 4년간 리뷰를 올려왔습니다. 그 기록이 이번주에 깨질 것 같애요. 이번주는 뭔가 쓸만한 책을 만나지 못했습니다. 아쉽지만 어쩔 수 없죠. 정기적으로 이 블로그를 찾는 분은 거의 없을테지만(대략 한두명쯤 될 겁니다) 그래도 알려드립니다.


이번주는 리뷰가 없어요!


왜 글을 쓰냐고 물어보면 사실 잘 모르겠습니다. 사람이 먹고, 자고, 숨쉬는 걸 의식하지 않듯 읽고 쓰는 사람들한텐 이 둘이 마찬가지 일 같습니다. 그냥 읽는거죠 뭐. 읽었으니 해야할 말이 떠오르는 거구요.


네가 깜냥이 되냐? 라고 물어보시면 큰소리로 "네!" 라고 대답할 자신은 없습니다. 그래도 다년간 꾸준히, 꽤 많은 책을 읽어온 사람으로서 이제 막 책을 읽으려는 분들께 제가 깨달은 것들을 전하고 싶습니다.


첫째, 무조건 재미있는 책을 읽으십시요. 


인생은 짧고, 책 읽을 시간은 더더욱 짧습니다. 이 짧은 시간에 어지럽고 불편하고 내 입맛엔 맞지도 않는 양서를 읽느라 인생을 허비하지 마십시요. 책을 읽는다는 건 에너지가 대단히 많이 드는 일입니다. 이렇게 힘든 일이 재미까지 없다면 그걸 왜 해야합니까? 독서는 취미지 절대 의무가 아닙니다. 내가 뭘 좋아하는지, 무슨 책을 읽어야 할지 도통 모르겠다면 재미있게 본 영화나 드라마의 원작 소설을 찾아 읽어보세요. 책과 영상이 표현한 장면들을 차근차근 비교하다보면 글의 한계와 영상의 한계, 그 미학의 특성들이 눈에 드러나 꽤 쏠쏠한 재미를 줄겁니다.


나는 드라마도 영화도 안봐요. 솔직히 내가 뭘 좋아하는지 정말로 모르겠습니다. 그런데 책은 읽고 싶어요. 라는 분이 있다면 참 어려운 문제입니다. 취향이 없는 분한테 무슨 수로 추천을 하나요? 하지만 이렇게 말하는 분들도 사실은 취향이 있습니다. 본인이 잘 모르거나 남들만큼 뚜렷히 드러나지 않을 뿐이죠. 이런 분들은 아주 어린 시절의 기억부터 차근차근 떠올려 보십시요. 그때 나를 열광케 했던 게 무엇인가, 나는 무엇이 되고 싶었던가, 나를 까르르 웃으며 손뼉치게 만들었던 건 무엇인가 를 천천히 종이에 적어보십시요. 아마 당신도 잊고 있던 당신을 발견하게 될겁니다.


둘째, 책은 결코 해답을 주지 않습니다.


그러니 답을 얻기 위해 책을 읽지 마세요. 제가 본격적으로 책을 읽기 시작한건 스무살 무렵이었습니다. 일종의 에피파니였어요. 다니던 대학의 교정을 걷고 있는데 문득 내가 얼마나 무식한지를 깨달은 것입니다. 아는 게 아무것도 없더라구요. 세상을 이해하고 싶었습니다. 세상을 돌아가게 하는 이치, 세상에 존재하는 현상, 인간, 그들의 행동 기타 등등. 그래서 미친듯이 철학책을 읽었고 그렇게 20년을 보낸 다음에야 한가지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책은 더 큰 질문으로 이끄는 문일 뿐 결코 해답을 주지 않는다는 사실을요. 읽으면 읽을수록 처음에는 생각하지도 못했던 새로운 의문이 떠오릅니다. 날적부터 봉사였던 사람이 어느날 갑자기 눈을 떴다고 생각해 보십시요. 그가 봉사였던 시절 인식했던 세상과 뜬 눈으로 맞이하는 세상이 같을 수 있겠습니까? 아마 인지 구조의 대격변이 일어날 겁니다.


그래서 여기에 한번 빠지면 헤어나오기가 어렵습니다. 읽을수록 의문은 자꾸 커지고, 많아지고, 농밀해지니까요. 그 의문을 해소해보겠다고 또 다시 책을 들지만 몰아치는 바다를 바가지 하나로 퍼낼 수는 없는 법입니다. 뭔가를 알기 위해 책을 든 분들은 책을 읽을수록 모르는 게 점점 더 많아지는 아이러니를 경험하게 될 것입니다.


셋째, 책은 저자와의 대화입니다.


책은 절대 권위가 아닙니다. 절대 진실을 말하지도 않고요. 책은 어떤 사람이 어떤 현상에 대해 자신의 생각을 글로 정리해 놓은 종이 뭉치일 뿐입니다. 책을 썼다고 해서 그 사람이 그 분야의 진리를 획득한게 아니에요. 여러분이나 저자나 그저 여행 중일 뿐입니다. 차이가 있다면 글쓴이가 여러분보다 한발 앞서 여행을 떠났거나 여러분과는 다르게 자신의 여정을 정리한 것 뿐이죠.


여러분도 이미 충분히 여행을 경험해본 사람입니다. 그러니 여러분도 생각이 있겠죠. 책을 읽으며 여러분의 생각과 저자의 생각을 비교해 보십시요. 그리고 저자의 생각에 의문을 갖고 반론을 펼치고 논쟁을 해보십시요. 책을 읽어 얻게 되는 중요한 자질 하나가 바로 비판적 사고입니다. 한국 사람들은 이게 많이 부족한거 같애요. 수천년간 무거운 위계사회를 살다보니 위에서 내려온 말씀엔 토를 달지 않는 성향이 강하게 뿌리를 내린 모양입니다. 유독 한국에서 유행하는 인문학 강연이나 멘토링 같은 것도 비슷한 맥락인 것 같애요. 현상을 스스로 해석하고 비판하고 자기 생각을 만들기 보다는 어떤 현자 혹은 권위를 열심히 따라다니며 그 생각을 전수받으려는 생각이 강한 것 같습니다.


어쩌면 족집게 과외를 기대하는 걸지도 모르겠네요. 어떤 사람이 힘들게 쌓아온 결과를 정답만, 한방에 가지려는 거죠. 다른 나라는 백년이 넘어도 못한 일을 불과 수십년 만에 이룩한 기적적 성장의 기억은 힘들고 오래 걸리는 일을 모조리 비효율적이고, 바보같은 일로 간주하는 악습이 되버렸습니다.


넷째, 행복해지려면 책을 읽지 마십시요.


책읽기는 지옥의 문을 여는 열쇠입니다. 읽을수록 몸이 뜨거워지고 뼈마디 하나하나가 빠져나가는 고통을 겪습니다. 생각은 인간의 행복에 아무런 도움을 주지 못해요. 생각이 있고, 그걸로 미래의 고통을 대비한다고 행복이 올까요? 아니요. 살아있는 동안 고통은 끊임없이 찾아올 겁니다. 그건 그냥 그런 거에요. 아무리 뛰어난 생각을 가진 사람도 살아있다는 그 현실만큼은 극복할 수가 없습니다. 생각이 많아질수록 여러분의 눈엔 미래에서부터 달려오는 더 많은 고통의 무리들이 보일겁니다.


행복해지겠다고, 이 세계가 주는 고통을 좀 덜어보겠다고 책을 읽는 분들은 진정한 해결책과 가장 먼 방법을 택한 것입니다. 할수만 있다면 가지고 있는 책을 모두 불태워 버리고 두뇌를 포맷하십시요. 1.5키로짜리 주름 투성이 단백질 덩어리에 아무런 생각도 넣지 않는 것. 그게 바로 행복으로 가는 유일한 길입니다.


왜 이번주에 리뷰를 쓰지 못했냐 에 대해 얘기하다보니 말이 길어졌네요. 아무튼 책읽기에 대한 제 생각은 그렇습니다. 기회가 되신다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지 들려주시면 좋겠습니다. 140자든, 1,400자든.


그럼 이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