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아는 먹거리를 소재로 구체적이고 흥미롭게 세계사와 연결지었다. 청소년들이 읽다보면 자연스럽게 세계사에 흥미를 느끼게되지 않을까 하은 기대감이 스물스물 생긴다. 다국적기업의 어두운 면모를 살짝이라도 건드려줘서 뭔가 고맙다. 알고먹으면 더 배부르겠지.
나머지 두가지 세계사:옷장 속의 세계사,지붕 밑의 세계사도 조만간 읽어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간을 파는 상점 - 제1회 자음과모음 청소년문학상 수상작 자음과모음 청소년문학 15
김선영 지음 / 자음과모음 / 201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읽고 시간에 대한 진지한 사유를 할 수 있을까. 할 수 있는 아이들도 분명 있겠지?.. 청소년 문학으로서의 적당한 교훈과 함께, 생각보다 치밀하게 구성되어 꽤 흥미진진 재미있다. 각박한 이 현실에 온조 같은 아이가 과연 있을까 잠시 생각에 빠졌다.
*사족: <한밤 중 톰의 정원에서> 읽어보고 싶어졌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예감은 틀리지 않는다 (영화포스터 커버 특별판)
줄리언 반스 지음, 최세희 옮김 / 다산책방 / 2012년 3월
평점 :
품절


새벽 4시가 넘어서까지 손에서 이 넘의 책을 놓지 못하는 바람에, 오늘 아침 일찍 예약된 스키강습에 아들 못보낼뻔. 마지막 장을 덮음과 동시에 자동반사로다가 처음부터 다시 읽을 수 밖에 없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담론 - 신영복의 마지막 강의
신영복 지음 / 돌베개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장 한 장이 책 한 권씩의 사유로 가득하여 성찰로 이끄는 큰 책. 아껴서 조금씩 읽을 때 마다 가슴이 벅차고 두근거리고 먹먹해지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담론 - 신영복의 마지막 강의
신영복 지음 / 돌베개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년 이맘때 겨울. 마트에서 여덟살 짜리 아들의 장난감을 사주고 함께 밖으로 나가려는데, 아들의 겉옷이 풀어 헤쳐져 있다. 밖은 추우니 옷을 잘 잠그라 하고 잠시 기다리는데, 겉옷 단추가 뻣뻣한건지 손이 야무지지가 않아서인지 계속 헛손질이다.
˝이그. 1학년이 되갖구 단추도 못잠궈? 엄만 안도와줄거니까 니가 혼자 다잠궈.˝
옆에서 채근하면서 아들의 꼬물거리는 고사리손을 마냥 보고 있는데, 마트 제휴 카드 홍보하시던 나이 지긋하신 아주머니께서 다가오시더니 한마디 하신다.
˝괜찮아괜찮아. 우리 조카는 판사인데, 운동화끈도 못묶어.˝ (...)
낑낑대고 있는 꼬마 녀석이 귀여워 격려차 던진 말씀이려니하고 그냥 웃어 넘기면 되는 상황이었지만, 순간 뭔가 배알이 꼬인 나는, 사랑하는 우리 꼬마에게 아주 크게 이렇게 말하고 말았다.

˝판사 안 되도 되니깐, 운동화끈은 니가 묶어. ˝

------

고 신영복 선생님께서 주역에 대한 강의 중 득위(得位)에 대해서 이렇게 말씀하셨다.
˝70%의 자리에 가라.˝
자신의 능력이 100이라 칠때 70의 역량을 요구하는 곳에 가는 것이 득위라는 것이다. 반대로 70의 능력을 갖고 있는 자가 100의 역량을 요구하는 곳에 가면 실위(失位)인 것이다.(자기 자리가 아니므로.) 그 부족한 30을 함량 미달로 채우거나 권위나 거짓으로 채우게 되어 주변 사람을 고통스럽게 만든다.
마트에서 자기 손으로 화장지 하나라도 사서 쓸 수 있을까 의문인 저 현실감각 제로 + 함량 미달 대통령 때문에 온 국민이 고통인 이 시국에 연신 고개를 끄덕이게 되는 말씀이다.
또한 자리와 덧붙여 각별히 주의해야 할것이 권력의 자리에 앉아서 그 자리의 권능을 자기 개인의 능력으로 착각하는 것이다. 다른 사람을 부려서 하는 일이 자기의 능력이라고 착각하면 안된다는 것이다. 사람과 자리를 혼동하면 안된다는 말씀이다.
하지만. 100의 능력을 가진 이가 70의 자리에 가면 30%가 남게되는데 이것은 사람의 성향에 따라서 자칫 역량의 낭비가 아닌가 너무 소극적인 인생이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든 찰나,.. 이 30의 여유가 바로 창조성으로, 예술성으로 나타나게 되는 원동력이 된다는.. 그러므로 그 30의 여유가 대단히 중요하다는 부분에서 폭풍공감을 하며 나의 교육관을 다시금 다잡게 된다.

판사든 대통령이든 자기 손으로 신발끈도 매고, 화장실서 쓸 화장지도 사고, 세상 사람들이 사는 삶 속에 있어야 득위가 아니겠는가.

댓글(2)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7-01-24 15: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포크와 나이프를 챙겨줘야 햄버거를 맛있게 먹었다던 정신이 병든 닭이 생각나는군요..

해피북 2017-01-24 21: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글.....공감 한개로는 부족하네요. ㅎ공감 듬뿍 놔두고 잘 읽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