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재 - 지식과 교양을 디스플레이하다
고전연구회 사암 엮음 / 포럼 / 2007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타인에게 밝히기 꺼려지는 취미가 있다. 대부분 그것이 일반적인 상식에 어긋나기 때문이지만 그 반대의 경우도 있다. 후자의 대표적인 예가 독서이다. 학생기록부나 입사지원서 등 개인의 신상명세서 작성 란에 자신의 취미를 기재한다고 생각해보자. 제일 만만한 게 독서, 음악 감상 정도였다. 많은 사람들이 이런 일련의 경험을 통해 독서를 취미로 밝히는데 부끄러움을 느끼게 된 것이다. 책을 읽지 않는 사람이나 읽는 사람 모두가 말이다.

또 다른 이유도 있다. 어떤 무리에서는 책을 읽는다고 밝히는 행위를 잘난 척으로 받아들이기도 한다. 잘난 척까지는 아니라도 일상의 대화에서 책을 주제로 하는 경우 현실도피의 몽상가로 낙인찍히는 경우가 있다. 드라마와 오락프로그램 연예인 신변잡기 등이 대화의 주축을 이루며 소위 고급문화라 불리는 것을 이야기하면 뒤에서 재수 없다는 소리까지 듣는다. 그 중에서도 책 이야기는 그 무리에선 금기시되는 이야깃거리이다.

그래서인지 혹자는 요즘 세상에 책 읽는 사람 참 없다고 한다. 거리나 카페에서 사람들 손에 쥐어진 책은 장신구 역할에 지나지 않는 고도 한다. 하지만 과연 그럴까? 우리 이웃엔 여전히 독서라는 ‘신상명세서 취미’를 영위하는 사람이 꽤 많다.

그렇게 독서를 취미로 하는 사람의 많은 사람들이 곧 장서가이다. 이들은 자신의 좋아하는 책을 꼭 사서 본다. 적어도 전작읽기 중인 작가와 특정한 관심분야의 책을 사는데 주저하지 않는다. 모르긴 해도 이들의 최고 소망은 책으로 가득한 서재를 갖는 것일 테다. 아니 대부분 현재 나름대로의 서재를 갖고 있으며 그 서재가 더 많은 책을 담을 수 있게 좀더 넓고 쾌적해지기를 바란다.

반면 장서가를 경계하는 독서가도 많다. 이들은 책을 사서 읽고 그것을 소장하는 것에 회의적 입장을 취한다. 종종 자신의 방을 꽉 채운 책의 무게에 억눌리는 기분이 든다고 말하기도 한다. 책에 대한 소유욕과 속물적 대상에 대한 욕심이 다를 바 없다는 뜻이다. 이렇게 서재에 쌓인 책을 보고 어떤 사람은 보고 즐기고 어떤 사람은 그렇지 못하다는 사실이 흥미롭다. 아마도 이것은 ‘서재에 담긴 뜻’이 저마다 다른 까닭이리라.

<서재-지식과 교양을 디스플레이하다>(포럼. 2007)는 우리 역사에 큰 자취를 남기 옛 선비들의 이야기가 담겨있다. 엄밀히 말하면 그들의 서재에 얽힌 이야기이다. 하지만 이 서재가 책의 제목에서 느낄 수 있는 지식과 교양의 자랑은 아니다. 책을 쌓아 놓고 거드름 피우며 자신의 식견을 자랑삼아 내비치는 곳이 서재가 아니란 말이다. 특히 앞서 살펴본 책이 쌓인 서재를 보고 느끼는 상이한 감상을 시원스레 정리해 주는 부분도 있어 흥미롭다.

크게 나뉜 세 가지 테마 중 첫 번째인 ‘서재에 담긴 뜻’편에 소개된 열 명의 서재 중 ‘이서구의 서재, 소완정’을 살펴보자. 이서구(이낙서)는 책이 마룻대까지 가득 찬 것도 모자라 시렁까지 꽉 채우고 있는 서재의 자신의 모습을 즐겨했다. 그러던 중 서재에 ‘소완(素玩)’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박지원에게 글을 써달란 요청을 했다. 헌데 이에 돌아온 박지원의 대답은 따끔했다.

말인 즉 책을 읽고 완상하는 것은 단순히 보고 즐기는 것 이상의 깨달음이고 그러자면 사물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뜻을 한 곳에 모을 수 있도록 마음을 비워야 한다는 것이다. 헌데 이서구는 책으로 가득 찬 방안에 갇혀 눈으로만 즐거워했고 그것이 완상이라 여겨 자신의 서재에 ‘소완’이라 이름 붙였다. 스승은 이러한 제자에게 따끔한 충고를 했고 이에 이서구는 크게 깨달은 바가 있었다.

이는 종종 사진으로 나마 접한 작가와 학자 등, 유명인사의 책으로 가득한 서재를 무조건 부러워했을 독서가들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또한 이 이야기는 이 책이 말하는 지식과 교양의 전시장인 서재의 의미가 단순히 장서가의 자랑거리가 아니라는 사실을 나타낸다.

책이 쌓여가는 방 만이 서재가 아니다. 그보다는 그 많은 책을 읽으며 깨달음을 얻고 마음을 다스린 우리 자신이 서재가 될 필요가 있다. 그러다보면 자연스레 책이 쌓이고 서재가 좁아지게 되는 것으로, 주객이 전도되어서는 안 된다. 이서구에 대한 스승 박지원의 가르침도 이런 뜻을 담고 있다.

이 책의 마지막에 실린 조선을 대표하는 독서가 이덕무의 서재, 구서재도 그렇다. 그는 주린 배를 채우기 위해 <맹자>를 팔고 친구인 유득공을 부추겨 <춘추좌씨전>을 팔아 술에 취했다고 한다. 이에 대해 그는 책을 팔아 한때나마 굶주림과 술 허기를 달래는 것이 더욱 솔직하고 꾸밈없는 행동이라고 말한 바 있다. 독서가로 후대에 그 이름을 남긴 이덕무와 유득공, 그들의 서재 풍경이 상상해보자. 분명 욕심내어 책을 쌓아 두진 않았을 것이다.

책을 읽지 않고, 읽는 다고해도 그것이 수집으로 변질된 많은 사람들에게 이 책에 실린 30곳의 서재 이야기는 단순한 구경거리나 부러움의 대상을 넘어 책의 본질과 가까워질 수 있는 계기가 되리라 판단된다.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레이야 2007-08-13 14: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연암이 간서치 이서구에게 한 따끔한 충고가 인상적입니다.
좋은 책, 좋은 리뷰네요. 당선 축하합니다.^^

은비뫼 2007-08-14 02: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서평 잘 읽었습니다. 마이리뷰 당선 축하합니다. :)

sokdagi 2007-08-14 10: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서평 잘 읽었습니다. 전 좋은 책은 선물했다가도 다시 사곤 한답니다. 소유욕일테지요?
ㅎㅎ 그치만 사두고 언젠가 다시 읽어야지라는 생각을 아직 버리지 못한 탓도 있답니다.

비로그인 2007-08-14 11: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리뷰 당선 축하드립니다. "책을 읽고 완상하는 것은 단순히 보고 즐기는 것 이상의 깨달음이고 그러자면 사물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뜻을 한 곳에 모을 수 있도록 마음을 비워야 한다는 것이다"란 말에 저도 책을 좀 들어내야겠어요 ^^

어름왕자 2007-08-14 18: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리뷰 축하드려요... 근데 책도 많아야 보고싶은 의욕도 많이 생기지 않을까해요..ㅎㅎㅎ 추천해드리고 갑니다.. ^^

Jade 2007-08-14 21: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축하드려요 ㅎㅎ 전 책에 대한 집착이 강해서 거의 사는편인데..뜨끔해지는데요? ㅎㅎ

목나무 2007-08-17 22: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축하축하. ^^

매미유충 2007-08-17 22: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리뷰 잘 읽고 갑니다^ㅁ^ 공감가는 부분이 많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리뷰 많이
부탁드려요^ㅁ^

울싸 2007-08-20 16: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축하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무해한모리군 2007-08-29 09: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리뷰 잘 보았습니다. 저도 거대한 서재를 꿈꾸고는 하는데 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