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론 - 신영복의 마지막 강의
신영복 지음 / 돌베개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결국
결코

사이에
사람에 관련된
아름다운 기억이 있다.
생각보다 질겨서 끊어지지않는 다시마 줄거리같은
그런 푸릇한 기억만 간직한다
친한 지기들에게 2016 1.1일 보낸 내 문자 메시지를
우스꽝스럽게도
여기 다시 올린다.


세모에 지난 한 해 동안의 고통을 잊어버리는 것은
삶의 지혜입니다
그러나 그것을 잊지 않고 간직하는 것은 용기입니다
나는 이 겨울의 한복판에서
무엇을 자르고
무엇을 잊으며
무엇을 간직해야 할지 생각해봅니다
신영복-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담론 - 신영복의 마지막 강의
신영복 지음 / 돌베개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새해가 거져왔다 살아남는 건 공짜, 고통은 셀프서비스같은 시간들 그냥 간다
이쉬워 한 귀퉁이 글 찾아본다.


세모에 지난 한 해 동안의 고통을 잊어버리는 것은
삶의 지혜입니다
그러나 그것을 잊지 않고 간직하는 것은 용기입니다
나는 이 겨울의 한복판에서
무엇을 자르고
무엇을 잊으며
무엇을 간직해야 할지 생각해봅니다
신영복-

씩씩하게 살기 힘들어지고
스스로 뉘우치기는 더 힘든 나이다.
칼로 어깨를 내려 잘라내듯이
모든 것을 내려놓라고 일갈하는 이 무식에 대항해보자면
모든 것이 남의 손에 있는데
뭘 내려놓는단 말이냐
용기도 없고
기억은 더 고통스럽고
존버 ㅡ이 단어 친숙한 미국놈같이 다가온다 ㅡ늘 존나버텨라는 구호도 오늘 하루는 흐릿하게 데칼코마니로 치장하고픈 날이다.
벌써 누군가는 로또를 샀다고 하고
누군가는 담배를 끊었다고 한다
나는 여기에 먼지 얹어놓는다.
아무것도 못버린 굴욕자로서
아무것도 기억하는 용기도 없는 자에게
이정도면 그만그만하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AgalmA 2016-01-01 18: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21세기 컴맹님, 자괴보다 자조하고 계시다고 생각하고요.
이왕 씹는 삶, 고통과 웃음도 같이 자근자근 씹어 보려 합니다.
새해에도 건강과 강건 두루 함께 하시길 바랍니다.

21세기컴맹 2016-01-02 12: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감사합니다. 벼랑에서 밀리면 그 다음엔 어떻게 되는지 복걸복이지요. 불안의 다른 형태인지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하필이면 새해라는 새 것이 밀려옴을 감당하고 싶지 않은 것 혹은 짐승들처럼 하루란 개념이 없이 살고 싶지 않았을까
좋은 책이 쏟아지고 시력은 더 약해지고 마음은 완고해지니 이제 침묵으로만 살아야되는 나이가 아닌지 그것이라고 믿고 싶어집니다.
 
존재의 세 가지 거짓말 - 3권 합본 개역판
아고타 크리스토프 지음, 용경식 옮김 / 까치 / 201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호기심과 3권의 합본호, 게다가 다시 출간된 이유는 당연히 놓칠 수 없는 그 뭔가 ( 간결한 문체 ? ) 있다고 보여진다.
책상 정리하면서 나오지 않을 걸로 봐서 구매해야 할 목록으로 붙잡아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개인적인 체험 을유세계문학전집 22
오에 겐자부로 지음, 서은혜 옮김 / 을유문화사 / 200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닌 일본을 잘 모르고 알 필요도 없고
(그 생각은 유홍준의 답사기 3 권예서 완전 깨졌다) 싫다고만 생각했다. 사람이 아니라 정치조직에 대해서 말이다. 게다가 하루끼나 그 쪽의 사소설 편향의 그 주절거림이 내 체질엔 맞지 않다.
근데 잠잠히 한국의 위치에 대해 영향사의 방향에서 고민했다.
그건 고문에 다름 아니다.
고민 밑둥에는 식민지 피경험자의 굴욕감이 그림자로 따라다녔음은 물론이다.
내가 때를 벗기는 것
내가 깨달음을 얻는 것
내가 패배의식의 가장자리에서 그 자기장을 벗어나려고 하는 것그 애씀도 모두 그 열등감이다

인정할 부분은 나보다 일본이 더 많지만
일본에 대해 더 객관적일 필요에 의해
오에 겐자부로를 읽는다.
그는 상처를 후벼 파는 것도
대일밴드로 숨기는 것도 안할 사람으로 보인다
오래전 이호철 소설가에게 번역되어 봤던 중앙일보사 번역의 <성적인간> 의 오에는 놀랍도록 고루했지만 다른 젊은 번역자에게 투과된 오에는 생생하고 옆자리의 거친 숨결과 침튀는 오에로 왔다
다시 카프카와 까뮈와 마르게스의 혈색이 돌아온다.
피의 온도. 자식과 장애, 생명의 생기와 생채기 또 폐기처리 등등은 소설의 골격을 구성한다. 그 골격이 대가 답지만 지나친 비유들이 남발하는 문장은 그 나라의 유행인지 문학적 조미료인지 진지한 대상에 대한 환기력인지 알바없지만 읽는 내내 겹질리는 장소들이였다.
일본 근대 소설들은 담백하더구만 현대소설은 내겐 좀 거시기하다

성진국의 그 노골적인 과대포장들은 다 어디에 있을까?
생활과 완전 괴리된 건 포르노 말고도 더 많다는 얘긴데
더 웃기는 건 정치 지도자들이지만

댓글(4)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15-09-13 03: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겐자부로를 읽는다는건 도망가지 않겠다는것 외면하지 않는것 받아들이는것 받고싶지 않는 것이라해도 껴안고 가는것 무엇인지 모른채 괴롭기만 한 개인적 체험에 의미를 입히는 것 ...^^건승하십시오 겐자부로와 함께 사랑과 존경을 겐자부로에게

21세기컴맹 2015-09-13 23: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받고싶지 않는 것이라해도 껴안고 가는 것
다른 건 몰라도 이건 좀 ,,,
숙명론에 운명론에 불가지론까지 선택이라는 호사가 아니더라도 피할 수 있는 권리는 벌레에게도 있을 것같은데
또한 존경과 사랑을 강요된 방식으로 전달하는 건 오에도 싫어할 어떤 반작용에 의해 난 거부합니다만 ..

비로그인 2015-09-14 23: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권유되고 강요될 수 없는 게 사랑과 존경이거늘 어찌 제가....
새끼는 내 새끼가 좋고 마누라는 남의 마누라가 좋다더만
그날 글쎄그날 황석영의 발언이 있었고 더해서 박민규의 일을 들었었나
그날 내 새끼의 치부가 드러난 그날 박민규가 내 새끼가 되었고
겐자부로가 옆집 마누라가 되었었나
새끼와 마누라가 서로 바뀌어야 했나어쨌나 겐자부로라는 작가를 가진 일본이
개부럽긴 했습니다만...아모르파티


21세기컴맹 2015-09-15 01: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몰랑의 한국문학사적인 버전같지만
고백형식으로 물러나 탕감받은 박민규는 역시
호통방식으로 싸잡아 문창과를 포괄적 숙적으로 본 황석영은 좁쌀
제도 (저놈도 ) 그랬다고 뭉뚱그려 고발한 황현산은 빙신에다 기회주의자
죽을 떄 숨 넘어가면 한번으로 족한 걸 아는데 마냥 남의 마누라가 좋다면 발정난 개 아닐까
개도 못되면서
바보처럼 왜 지껄인담 참 내
 



과거를 잊지 않고 묵시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미래를 무시하고서는 살기조차 힘들다 지금 여기, 선거 자체와 기초 정치의 행태를 요연하게 살펴봐야 한다. 부정선거는 혁명감이다. 말도 안되는 왕조를 사는 사람들에게 권고하는 일침을 또는 해법을 타인을 통해 보기도 해야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