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이란 놀라우리만치 짧다. 이제 기억 속에서 삶은 내게 다름과 같은 정도로 응축된다. 예를 들어 평범한 삶이 예기치 않은 불행한 사건 하나 없이 행복하게 흘러간다고 치자. 그렇더라도 나는 어떻게 한 젊은이가 시간이 턱없이 부족할 거라는 염려 없이 말을 타고 이웃마을로 가겠노라 결심할 수 있는지 이해할 수 없을 정도다,’
카프카가 우리와 동시대에 살았다면 <이웃마을>이라는 제목으로다른 글을 썼을까? 물론 문제는 이웃마을을 무엇으로 보느냐에 달려있다. 혁명의 달리기를 혼자 하는 것으로 생각하다니, 쯧쯧.....혁명의 달리기는 이어달리기인 것을, <이웃마을>에 대한 브레히트의 해석이었다. 앞만 보고 나아갈 때 삶은 결코 목적지에 도달하지 못한다. 삶은 뒤에서부터 앞으로 흝어 내리는 책이 될 때 비로소 완성된다. 죽음의 침상에 누운 당신 눈앞에 주마등처럼 스쳐 지나가는 기억의 이미지들, 그게 바로 완결된 삶이다. <이웃마을>에 대한 벤야민의 해석이었다. 나에게 '이웃마을'은 '이웃'인 당신의 '귀'로 보인다. 불행한 우연적 사건이 발생하지 않는다 해도 전언이 도달하기에는 너무 먼 당신의 귀. 목소리는 이웃인 당신의 귀에 도달하지 못하고 허공에 떠돈다. 당신의 귀에 가 닿고 싶고, 당신의 따스한 심장에 깃들고 싶다. 그러나 이웃인 당신은 도대체 어디에 있는가.
누군가 나에게 전언을 보낼 때 나는 대답할 의무가 있다. 이것이 윤리적 주체로서 내가 할 일이다. 대답을 하기 위해서는 우선 그 전언이 나를 향한 것이었음을 인정해야 하고, 가능한 제대로 이해하려는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그리고 그 노력은 내세울만한 나의 공로로서가 아니라, 나의 존재됨 역시 내가 보낸 전언을 수신해준 누군가에 기대고 있음을 통렬히 깨달은 결과여야 한다. 고도로 발달한 기술이 가져다준 편리함과 후기자본주의 소비문화가 선전하는 핑크빛 행복 속에서 그러나 역설적으로 전언은 점점 더 자주 실종되고 답변을 기다리는 송신자의 가슴은 점점 더 타는 목마름으로 바스러진다. 전언이 품고 있는 삶의 시간과 장소를, 그 구체성과 개별성을 오롯이 살펴 듣는 '나의 이웃'을 희구하는 것은 시대착오적인 욕망인가?
이 책에 실린 글들은 그렇지 않다고 말한다. 당신의 이야기를 사려 깊게 새겨듣는 이웃이 여기 있다고 말한다. 새겨들은 그 이야기를 또 다른 이웃에게 전송하고 있다고 말한다. 그렇다고 해서 이 전언들이 발화한 사람의 목소리를 '고스란히 그대로' 드러내고 있다고 주장 하는 건 아니다. 이 전언들에는 말하는 사람의 목소리와 듣는 사람의 귀/목소리가 서로 섞여 있다. 이 글들에는 조금씩 미끄러지고 지연되는 타자 인정과 서툰 관계 맺기의 흔적들이 지워지지 않은 채, 그러나 심장의 온기를 담아 남아 있다. 여기서 우리는 서로에게 완전히 투영할 수 없는 자아와 타자가 만나 말을 하고 듣는 행위에 동참하게 된다. 송신과 수신 사이의 불완전한 연결은 물질적인 환경 이상의 것이다. 의미한 것과 이해한 것 사이의 간극은 모든 소통행위의 존재론적 한계고 이 한계야말로 자아의 윤리적 주체성이 구성되는 출발지점이다. (P.5~7 )
-<수신확인, 차별이 내게로 왔다>-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