낡은 심장

 

 

 

                        몸도 한때는 탱탱한 나무였다

                        그속에서

                        잎사귀 한 문장 한 문장을 이어

                        책 한 권을 피우기도 했다

                        한 오백 년

                        책갈피 갈피 햇살과 빗물이 스며들듯

                        주름 같은 나이테

                        낡아가는 몸에 새기고

                        차츰

                        오래된 것도 버릴 수 없는 사람들처럼

                        숲을 뒤지며 헤매는 날들이 간다

 

                        어느새

                        한 그루 나무가 뼈가 숭숭 뚫린 잎을 무성히 달고 서 있다

 

                        골목은 막다른 골목으로 이어지고

                        이제 헌책방 가는 길로 접어들어

                        닳고 닳은 사람의 지문들이

                        몸속에서 조용히 웃는 날이 오리라

 

                        그럴 즈음

                        생의 깊이를 알 듯 말 듯

                        헌 몸이 빛이 날까

                        오래 기다린 사람과 만날 날이 오고 있는 것이다  (P.26 )

 

 

 

 

                        낙조

 

 

 

                         당신을 떠나올 때

                         불그스레 웃었던 것이 지금 생각해보면 다행스럽다

                         떠나올 때처럼 다시 당신에게 갈 수 있을까

                         나는 다시 갈 줄 정말 몰랐던 것일까

 

                         사람은 사람에게 매달리고

                         구름은 하늘에 매달리고

                         사과밭에서 사과나무는 사과를 꽃피우고

                         그리고

                         사과상자 속의 사과가 되어

                         붉은 얼굴로 나는 다시 당신에게 간다

 

                         마치 오천 년전의 은팔찌 하나가

                         박물관 속 낙조 같은 조명 속에서

                         오늘을 껴안는 것처럼  (P.33 )

 

 

 

 

                      훗날 훗사람

 

 

 

 

                          떠나온 골목에서

                          피는 목련을 두고 왔다는 먼 소리가 들린다

 

                          밤에는 얼고 낮에는 녹던 많은 기억들이

                          묵묵히 걸어왔는데

                          이제 기억이 터트린 말들이

                          골목을 향해 간다

 

                          소리의 끝에 매달린

                          속말들이 문을 열고

                          그 끝에서

                          자신의 계단을 오른다

 

                          골목은 그곳에서 떠난 사람이

                          훗날 훗사람이 되어 오리라는 것을

                          기다려왔던 것일까

 

                          제단 위에 벌써

                          바람이 불고 허공이 차려진다

 

                          목련이 지면

                          피는 목련을 두고 왔다는

                          그 소리도

                          제단 위에서

                          구름 빛으로 사라지겠지

 

                          훗날 훗사람이 또 태어나길 기다리겠지  (P. 42 )

 

 

 

 

                        자립

 

 

 

 

                           세상 한 모퉁이에서

                           바늘구멍보다 더 작은 구멍으로

                           몸 내밀어 본 사람은

                           어느 하늘이라도

                           날 수 있네

                           굳이 번데기가 아니더라도

 

                           해일 일고 산불 일고 허공마저 소란했던 시절

                           비밀문서라도 되듯

                           네가 죽도록 힘쓰고 애썼던 순간들이

                           가장 어두울 때

                           너를 쓰러뜨릴 것만 같던

                           길, 통로, 노선 들이 구멍 찾아 들어가고

                           아슬아슬하게

                           위로의 시절을 잘 지날 수 있게 하네

                           잔디 푸르게 돋은 날이 아니더라도

 

                           세상 한 모퉁이의 나비 사람들

                           늦은 오후의 모든 신호들  (P.85 )

 

 

 

 

                        결

 

 

 

 

                           세상에는

                           아름다운 사람들이 많다

 

                           깃털 같은 마음으로

                           사막에 집을 짓는 건축가도 있다

                           눈빛 속에 사람을 심는 예술가도 있다

                           태어나서 무엇을 그렇게 생각하는지

                           어디든 지붕만 얹으면 살아나는 것이 집이라며

 

                           물이 물결을 만들듯이

                           나무가 나무결을 만들듯이

                           결이 보일때까지 느긋하게 살면서

                           사람결을 만드는 사람들도 있다

 

                           지붕 고치듯 마음만 고치면

                           몇 백년을 훌쩍 넘긴 마음도 가질 수 있다  (P. 87 )

 

 

 

                                                           -이사라 詩集, <훗날 훗사람>-에서

 

 

 

 

 

 

 

 

'문학동네 시인선' 39권. 이사라 시인의 여섯번째 시집. 1981년 「문학사상」에 '히브리인의 마을 앞에서'를 발표하며 문단에 나왔으니 햇수로 32년째 시를 삶으로 삼은 시인. 그가 <가족박물관>을 펴낸 지 5년 만에 들고 나온 새 시집 속엔 총 67편의 시가 3부로 나뉘어 담겨 있다

 

 

        이사라의 한 마디

 

         봄날이 되어도 나타나지 않는 사람들을 위해
         꽃다발 한목숨 바치는 것으로 될까!

         훗날 훗사람을 위해 
         우리들 다 바치는 것으로 될까! 
 
                                                그래도, 그러는 사이에도 
                                                한세상 또 한세상 
                                                말없이 누구나 단풍 들고 낙엽 지고 
                                                말없이 봄볕 들고 새순 돋는다는 다정한 말, 
                                                나는 믿는다! 

                                                첫 울음소리 다시 들리는 날들이다. 

                                                                                            2013년 4월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2013-05-07 08:37   좋아요 0 | URL
날마다 새롭게 다가오는 오늘
고운 꽃빛으로
한껏 누리소서

appletreeje 2013-05-07 10:39   좋아요 0 | URL
예~감사합니다.
결,을 읽으면서 함께살기님이 생각났어요.*^^*

2013-05-07 09:3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05-07 10:40   URL
비밀 댓글입니다.

보슬비 2013-05-07 21:05   좋아요 0 | URL
이름이 참 이쁜 시인이네요. 나무늘보님 덕분에 좋은시도 접하지만, 좋은 시인들도 많이 알게 되는것 같아요. 시를 읽는 마음은 어떨까? 항상 나무늘보님을 보면서 생각하게 되어요.

appletreeje 2013-05-07 22:13   좋아요 0 | URL
시인께서 53년생이신데, 필명인지 본명인지는 모르겠지만 정말 이쁜 이름이시지요~?
음.. 제 경우엔 시를 읽는 마음은, 일에 관련된 것도 있고 의미의 함축어인 시를 통해 무엇보다 살아가면서 부딪히는 생각들을 정리하고 때론 복합적인 마음을 보다 유연하고 다정하게 환기,시키는 것 같아요..^^ 그래서 늘 감사하고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