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매화

 

 

 

                    한잎 두잎 청매화 꽃잎이 눈송이처럼 지고 있다

 

                    먼데서 맹꽁이 배낭에

                    먹빛 포도송이 초콜렛 오디 까치참외 블루베리

                    달콤새콤한 사랑을 가득 넣어 짊어지고 온

                    상냥하고 앳된 천사 같은 손님

                    하루 밤낮

                    이틀 밤낮을 더 머물며 여의주 같은 사랑들을

                    서로의 입에 번갈아 넣어주며

                    어질어질 두근거리다가

                    그 천사 떠나가는 날 아침 주인이 말했다 우리

                    잘 가라

                    잘 있어라

                    그런 인사말 하지 말기로 하자

                    총총히 그냥

                    총총히 떠나가되

                    가다가 절대로 뒤 돌아보지 말기로 하자

 

                    한잎 두잎 청매화가 눈송이처럼 지고 있다.  (P.21 )

 

 

 

 

                 봄의 교향시

 

 

 

                     지행 스님의 점심 초대를 받고 천관사에 가서

                     앙증스러운 종 모양의 하얀 오랑캐꽃을 먹고

                     연분홍의 앵초꽃과 진분홍의 꽃잔디 꽃들을 먹고

                     황금색 배추꽃 보라빛의 무청꽃을 먹고

                     질경이와 두릅의 새순도 먹고 칡 순도 먹고

                     향이 진한 고소나물도 먹고

 

                     수컷 꾀꼬리와 휘파람새의 부리에서 움터나는

                     우윳빛 뻘기 같은 소리도 먹고

                     표로롱 나는 비둘기와 꺽꺽 푸드득 하는 장끼 소리

                  도 먹었다

                     삼 층 석탑도 종루에 걸린 범종도 대웅전 보랏빛 그

                  늘에 앉은

                     부처님과 천수천안관음보살님의 잔잔한 미소도 고

                  추장에 비벼 먹었더니

                     내 몸은 거대한 불도화 한 송이로 부풀어 오르고

                     쇠북 소리처럼 가슴이 두근두근하여

                     해우소로 어기적어기적 걸어가서

                     가랑이를 벌리고 아주 기분좋게

                     봄의 교향시를 휘갈기고 나오는데 가슴에서

                     공후인 보듬고 켜는 비천녀들이 하얀 비둘기들처럼

                   날아가고 있었다  (P. 26 )

 

 

 

 

                 미륵반가유사유상*

 

 

 

                     한국미술사 한 페이지에서 내 토굴 바람벽으로 걸어

                  나와서

                     이 세상에서 가장 편안한 자세로 앉아 계시는

                     당신을 읽습니다

 

                     꾀꼬리는 꾀꼴꾀꼴

                     개구리는 개굴개굴

                     개개비는 개개개개

                     뜸부기는 뜸북뜸북

                     살아가는 것들은 모두 제 이름들을 부르고 웁니다

 

                     구름은 구름처럼 흘러가고 물은 물처럼 흘러가고

                     풀옷 입은 스님은 풀을 스치는 바람과 풀의 가슴의

                  숨결을 먹고 살다가

                     부도 속으로 들어갔습니다

 

                     뻐꾸기는뻐꾹뻐꾹

                     휘파람새는 휘이휘이

                     까치는 깍 까까 깍

                     부엉이는 부엉부엉

                     개미는 허리 휘어지도록 부지런부지런

                     제 시간들을 제 소리와 제 몸짓으로 읊어대고

                     모래는 제 억겁의 시간들 위에 차곡차곡 쌓이고

                     바다는 제 시간처럼 짙푸르게 멍들어 출렁거리고

                     나는

                     나의 시간을 내 숨소리로 돌탑처럼 고요히 쌓고 있

                  습니다. (P.72 )

 

 

                    *연화대 위에 걸터앉아 오른쪽 다리를 왼쪽 무릎 위에 얹고 오른손

                     을 들어 손끝을 턱 끝에 대고 깊은 사색에 잠겨 있는 모습을 형상

                     화한 불상.

 

 

 

 

                  사랑의 내공

 

 

 

 

                         땡볕이 기승을 부리는 한 여름 토굴 창틀에 앉은 난

                      초 한 분이

                         옥색 꽃들을 피워 올렸는데 꽃대의 곁가지마다 영롱

                      한 이슬이 맺혀있다

                         하얀 하늘빛을 머금은 채 말똥거리는 그 우주만다라

                      에 대해 한 손님이 말했다

                         난초가 저 꽃들을 뿜어내기 위해 땀을 흘린다고

                         그 수정 같은 우주 만다라들을 내내 성스러워하다가

                      용기를 내어 만져보니 끈적거리는 진액이다

 

                         내 아내는 세 아이를 모두 안방에서 나를 밖으로 내보

                      낸 다음 장모의 조력만으로 낳았는데 비명 소리 한 번도

                      내지 않았다 응아 하는 아기울음 소리를 듣고 들어가 보

                      니 아내의 얼굴에는 비지땀방울들이 맺혀 있었다

 

                         어머니도 나를 낳을 적에 그러셨으리라

                         그래, 죽살이치는 사랑의 내공 없이 그 어느 것인들

                      이루어지겠는가. (P.131 )

 

 

 

 

                    序詩

 

 

 

                          이 세상 다녀가는 바람 아닌 것이 있으랴

 

                          소주 몇 잔으로 벌겋게 취한 노을이

                          사라지고 수묵 색깔의 땅거미가

                          내리는 먼 바다에 물새처럼 동그마니 앉은 무인도

                       에 번하게

                          치자 빛깔의 까치노을이 뜬다, 나도 사라질 때 저 빛

                       깔이고 싶다

 

                          알수 없는 미래로 가뭇없이 떠나갈 생각으로 우울해하다가

                          발에 밟히는 가는 모래와 더불어 그의 억겁의

                          시간에 대하여 이야기하는데 사랑하는

                          나그네 당신의 심장이 한 차례 우둔거리더니

                          절룩절룩 부정기적으로 비치적거린다

 

                          그만 멈추어 서려는 증후,

                          하늘의 계시인지도 모른다고 생각한 사랑하는

                          나그네 당신은 이제

                          어디론가 떠나갈

                          유서를 쓴다

                          두려워하거나 슬퍼하지 말고 지금의 순간들을 열심

                       히 살아라

                          언제 어느 때든지 새 문장은 한 개의 마침표에서부

                       터 시작된다

 

                          이 세상 다녀가는 것 아닌 바람 아닌 것이 있으랴.  (P.13 )

 

 

 

                                          -한승원 詩集, <사랑하는 나그네 당신>-에서

 

 

 

 

 

   어제 선물 받은, 소설가이자 시인인 한승원님의 詩集을 읽었다.

   고향인 전남 장흥 신덕리 바다가 맞닿은 율산마을에서

   쓰신,  <달 긷는 집>에 이은 다섯 번째 詩集이다.

   사랑하는 나그네 당신은, 시인 자신이심을 시집을 읽으며 어렴풋이 짐작한다.

   사랑하는 나그네 당신,이 삶의 바다와 꽃들과 만다라를 노래한 이 詩集을 읽으며 세상의 모든

   생명에 대한 관조와 사랑과 유서 같은 관음의 눈을 만나며..무릇 나의 눈도 시인의 눈을 따라

   든든한 안심과 함께, 이 봄을 기뻐한다.

   아울러 한승원님이 쓰신 작품들을 다시 한 번 찾아 본다. 

   좋은 밤이다,

 

 

 

 

 

 

 

 

 

“바야흐로 만개한 흰 구름장 같은/벚꽃이 숨을 막히게 한다/벌들이 잉잉거린다”(벚꽃)

소설가이자 시인 한승원의 다섯 번째 시집 ‘사랑하는 나그네 당신’(서정시학)은 온통 꽃잔치다. 청홍매화부터 복수초ㆍ수선화ㆍ안개꽃ㆍ달개비꽃ㆍ꽃무릇꽃ㆍ과부꽃ㆍ들깨꽃까지 수십편이다. 꽃을 내세우지 않은 시도 꽃 한 자락 걸치지 않은 게 없을 정도로 꽃향기가 가득하다.

한 시인의 꽃 예찬은 특별한 게 아니다.
땅끝마을에 자리잡은 그의 집이 기실 꽃으로 둘러싸여 있는 것을 떠올리면 ‘꽃시’는 꽃과의 일상적 대화임을 알게 된다.

“토굴 마당의 암녹색의 철쭉나무
숲에서 황금색 꽃/한 송이가 설탕가루 같은/잔설에 젖은 흑갈색의 낙엽들을 헤치고 애처롭게 나/를 쳐다본다//(…)//그 복수초꽃에서 새 울음소리가 들린다/겉보리 닷 되 겉보리 닷 되”(복수초꽃)

시인은 복수초꽃의 애잔함 속에서 서러운 전설을 떠올리고, 청매화 피면 오는 맹꽁이 배낭에 포도송이ㆍ초콜릿ㆍ블루베리ㆍ사랑 가득 넣어 짊어지고 오는
천사 같은 손님을 기다린다. 한들거리는 코스모스는 해와 달과 번개와 우레, 소나기와 풀과 벌레가 만들어내는 일대 화엄의 세계로 인도한다.

한 시인은 어느 산문에서 “지상의 아름다움의 경지에 이르기 위하여 목숨도 바치는 것이 시인”이라고 말한 적이 있다. 이번 시집에서도 시인은 그런 뜨거운 목마름을 담아냈다.

그는 ‘시인의 말’에 “무한한 시간의 모래 위에
유한한 시간인 내가 만다라를 그리는 것은 무엇일까. 밀물이 밀려오면 지워질 그 만다라는 시간에 먹히지 않고 시간을 먹고 싶은 나의 탐욕일지도 모른다”고 썼다. 

이윤미
기자/meelee@heraldcorp.com   - 해럴드 경제, 라이프 북카페-에서.

 

 

 

 

 

 

 

 

 

 

 

 

 

 

13. 작가의 한마디

 

이 소설은 1894년의 겨울, 패주한 동학군의 지도자 전봉준이 밤을 도와 잠행하다가 민보군에게 붙잡혀 한양으로 끌려가는 천리 길의 기나긴 참담한 여정을 서술한 것이다. 그 여정에서 전봉준이 만난 개 같은 세상을 보면서 나는 진저리치며 구역질을 하기도 하고 울기도 했다.

 

[출처] 《겨울잠, 봄꿈》 책소개입니다~! (매혹적인 이야기가 가득한 공간 비채) |작성자 비채누리

 

 

  

 

 

 

 

 

 

 

 

 

 

 

 

 

 

 

 

 

 

 

 

 

 

 

 

 

 

 

 

 

 

 

 

 

 

 

 

 

 

 

 

 

 1988년, <해변의 길손>으로 이상문학상을 수상한 아버지 한승원의 뒤를 이어, 17년만에 한강이 수상한 이상문학상 <몽고반점>.

 

 

 

 

 

 


댓글(8)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2013-04-25 09:09   좋아요 0 | URL
곰곰이 삶 돌아보고
새와 벌레와 여러 들짐승 소리들
가만히 귀를 기울이면
시도 동화도 소설도 수필도
하나둘 흐드러지리라 느껴요

appletreeje 2013-04-25 11:03   좋아요 0 | URL
곰곰이 삶을 돌아보니
전에는 새와 벌레와 나무잎들을 스치는 바람소리들에
잘 귀를 기울이고 살 지 못했던 것 같아요.
그런데 요즘은 작은 소리들에 귀를 기울이게 되어
참, 기쁘고 감사합니다.^^

수이 2013-04-25 09:21   좋아요 0 | URL
정말 좋은 밤-이셨겠어요.
그러고보니 한강 작가님만 읽었지 한승원 작가님 작품은 읽어본 적이 없네요.
새삼 부끄럽습니다.

appletreeje 2013-04-25 11:09   좋아요 0 | URL
저도 '다산'과 '초의'만 읽어 봤어요. ^^;;
앗, 그림책 '신기한 목탁소리'도.^^
오늘은 비가 주룩주룩 내리네요.
앤님! 환한 불빛 같은 좋은 하루 되세요. *^^*

2013-04-25 10:4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04-25 11:10   URL
비밀 댓글입니다.

후애(厚愛) 2013-04-26 11:53   좋아요 0 | URL
청매화가 너무 너무 좋습니다~!*^^*
항상 좋은 시들을 올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appletreeje 2013-04-26 12:18   좋아요 0 | URL
청매화, 좋쵸~?
상냥하고 앳된 천사 같은 손님, ^^
후애님께서도 오늘 무지무지 행복한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