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승달

 

 

 

 

                    오스트리아 마을에서

                    그곳 시인들과 저녁을 먹고

                    보리수 곁을 지나고 있을 때였다

 

                    갑자기 등뒤에서 어떤 손이 내 어깨를 감싸쥐었다

                    나는 그 말을 알아 들었다

                    그가 몸을 돌려준 방향으로 하늘을 보니

                    산맥 위에 초승달이 떠 있었다

                    달 저편에 내가 두고 온 세계가 환히 보였다

 

                    그후로 초승달을 볼 때마다

                    어깨에 가만히 와 얹히는 손 있다

 

                    저 맑고 여윈 빛을 보라고

                    달 저편에서 말을 건네는 손

                    다시 잡을 수 없음으로 아직 따뜻한 손

 

                    굽은 손등 말고는 제 몸을 보여주지 않는 초승달처럼  (P.29 )

 

 

 

 

 

                 재로 지어진 옷

 

 

 

 

                     흰 나비가 소매도 걷지 않고

                     봄비를 건너간다

                     비를 맞으며 맞지 않으며

 

                     그 고요한 날갯짓에는

                     보이지 않는 격렬함이 깃들어 있어

                     날개를 둘러싼 고운 가루가

                     천 배나 무거운 빗방울을 튕겨내고 있다

                     모든 날개는 몸을 태우고 남은 재이니

 

                     마음에 무거운 돌덩이를 굴러 올리면서도

                     걸음이 가볍고 가벼운 저 사람

                     슬픔을 물리치는 힘 고요해

                     봄비 건너는 나비처럼 고요해

 

                     비를 건너가면서 마른 발자국을 남기는

                     그는 남몰래 가졌을까

                     옷 한 벌, 흰 재로 지어진  (P.37 )

 

 

 

 

                 빛은 얼마나 멀리서

 

 

 

 

                      저 석류나무도

                      빛을 찾아나선 삶이기는 마찬가지,

                      주홍색 뾰족한 꽃이

                      그대로 아, 벌린 입이 되어

                      햇빛을 알알이 끌어모으고 있다

 

                      불꽃을 얹은 것 같은 고통이

                      붉은 잇몸 위에 뒤늦게 얹혀지고

                      그동안 내가 받아들이지 못한 사랑의 잔뼈들이

                      멀리서 햇살이 되어 박히는 가을

 

                      더 이상 사랑을 믿지 않는 나이가 되어도

                      빛을 찾아나선 삶이기는

                      마찬가지, 아, 하고 누군가 불러본다  (P. 53 )

 

 

 

 

 

                  聖 느티나무

 

 

 

 

                       속이 검게 타버린 고목이지만

                       창녕 덕산리 느티나무는 올봄도 잎을 내었다

 

                       잔가지 끝으로 하늘을 밀어올리며 그는

                       한 그루 榕樹처럼

                       제 아궁이에서 자꾸만 잎사귀를 꺼낸다

                       번개가 가슴을 쪼개고 지나간 흔적을 안고도

                       저렇게 눈부신 잎을 피워내다니,

                       시커먼 아궁이 하나 들여놓고

                       그는 오래오래 제 살을 달여 내놓는다

                       낮과 밤의 새가 다녀가고

                       다람쥐 일가가 세들어 사는,

                       구름 몇 점 별 몇 개 뛰어들기도 하는,

                       바람도 가만히 숨을 모으는 그 검은 아궁이에는

                       모든 빛이 모여 불타고 모든 빛이 나온다

                       까마귀 깃들었다 날아간 자리에

                       검은 울음 몇 가지가 뻗어 있기도 한다

 

                       발이 묶인 채 날아오르는 새처럼

                       덕산리 느티나무는 푸른 날개를 마악 펴들고 있다  (P.95 )

 

 

 

                                                    -나희덕 詩集, <사라진 손바닥>-에서

 

 

 

 

 

 

  

   아침에 일어나,  처음으로 하는 일이 식구들이 마실

   茶를 우리는 일이다. 맑고 건강한 기운으로 오늘 하루도

   향기롭고 좋은 하루가 되기를 기도하며.

   아침에 남은 차를 한 잔, 또 마시고 있다.

   차는 여전히 향기로운데 내 마음은 어쩐지 흐림,이다.

   오후에 있을 미팅을 생각하고, 이번 일을 함께 하게 된 어떤

   사람에 대한 신뢰감이 이미 상실됐기 때문일 것이다.

   한때는 공적인 사이를 떠나 사적인 친교까지 나눈 관계지만

   그 과정에서, 뭐라 표현키 힘든 유대감으로 타인의 날개까지

   자신의 날개로 생각하곤 하는 이상한 순진함(?)의 속을 전에

   이미 보아 버렸기 때문이다.

   나희덕님의 시를 읽다가, 초승달같은.. 어깨에 가만히 와 얹히는

   손과 느티나무의 푸른 날개를 생각하며, 다시 빛을 찾아 나선다.  

                                           봄비 건너는 나비처럼 고요하게, 

  

 

 

 

 

 

 

 


댓글(8)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보슬비 2013-04-18 12:15   좋아요 0 | URL
오늘은 '초승달'이 마음에 드네요. 아마도 오스트리아의 어느 산골 마을이 그리워서인것 같습니다. 너무나 자연스러운 현상인데도 모든것이 새롭고 좋았던지...

appletreeje 2013-04-18 12:22   좋아요 0 | URL
앗, 보슬비님! 덧글을 붙이는 순간에 오셨군요.~^^
저도 '초승달'이 좋았습니다.
오늘은 어깨에 가만히 와 얹히는 손,이 그리운 날이라서요.
보슬비님께서 오스트리아의 어느 산골 마을을 그리워하시는 마음도
다정히 보이는 듯 하구요. ^^

2013-04-18 12:3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04-18 22:07   URL
비밀 댓글입니다.

후애(厚愛) 2013-04-18 13:06   좋아요 0 | URL
저도 '초승달'이 너무 좋습니다!^^
그리고 '재로 지어진 옷'도 좋구요.

appletreeje 2013-04-18 22:11   좋아요 0 | URL
저도 그렇습니다.^^
오늘은 마음이 무거운 돌덩이를 굴러 올리면서도
걸음이 가볍디 가벼운 사람의, 가만히 어깨에 올리는 손이 그리웠던 날이었지요.
후애님! 편안하고 좋은 밤 되세요. ^^

이진 2013-04-18 21:52   좋아요 0 | URL
제 시반이 가장 좋아하는 시인입니다.
나희덕 님의 시는 다 우린 찻잎 같지요...

appletreeje 2013-04-18 22:15   좋아요 0 | URL
아 그렇군요. ^^
잘 우려난 차,를 만든 찻잎...
소이진님! 좋은 밤 되시구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