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聖) 물고기
기어이 가야 할 그 어딘가가 있어
여울목을 차고 오르는 눈부신 행렬 좀 보아
잠시만 멈추어도 물살에 밀려 흘러가버릴것이므로
아픈 지느러미를 파닥여야 하네
푸른 버드나무 그늘에서조차 눈 감지 못하네
오롯이 지켜야 할 무엇이 있어
눈 뜨고 꾸는 꿈은 얼마나 환할 것인가
그 아득한 향수가 아니고서는 비늘이 온통 은빛일 리가
없지
뉘우침이 많은 동물이어서
평생을 물에 제 몸을 씻으며
물고기는 한사코 길을 간다네
온몸으로 물을 뚫고 길을 내지만
이내 제 꼬리지느러미로 손사래를 쳐 지워버리네
지나온 길은 길이 아니라네
제 몸 길이만큼만이 길이어서
발자국도 그 어떤 흔적도 남기지 않네
화살촉 같은 몸짓으로 말하네
살아 있는 물고기만이 비린내가 없다고
그러나 그것만이 살아야 할 이유는 아니라는 듯
묻고 있네
네 가슴에도 천국의 지도 하나쯤 품고 있느냐고
낚시 바늘에 얹힌 한 끼 식사에 눈길 주지 않은
몇 마리 물고기
거친 물살에 제 살을 깎으며
강을 거슬러 오르네 (P. 12 )
한 손
간도 쓸개도
속도 배알도 죄 빼내버린
빈 내 몸에
너를 들이고
또 그렇게 빈 네 몸에
나를 들이고
비로서 하나가 된
간고등어 한 손 (P.50 )
- 복효근 詩集, <따뜻한 외면>-에서
집의 어항에서 며칠 전, 새끼물고기가 몇 마리 태어났다.
그런데 블랙테트라 한 놈이 계속 새끼물고기들 주위를 맴돌며, 주변의 다른 물고기들이
오면 달려가 쫓아낸다. 신기한 일이다.
보통 물고기들은 새끼를 낳아도 그냥 별 관심을 안 갖는데
이 놈은 희한하게도 계속 새끼들을 내려다 보며 끊임없는 관심을 가졌다.
그리고 치어들은, 따로 산란통에 넣어 베이비먹이를 주고 키우는데 이 블랙테트라의
유별난 모성애에 그냥 놔두니 하루 이틀이 지나자 두 마리가 죽고, 헹갈레의 특징인
검은 점이 보였다. 블랙테트라의 새끼가 아닌 것이다. 그래서 따로 남은 새끼들이라도
살리려고 산란통으로 옮겼는데, 그 블랙테트라는 여전히 새끼들이 있었던 그 자리에서
먹이도 먹지 않고 새끼들을 찾고 있어 자꾸 마음이 쓰인다.
왜 그놈은 자기 새끼도 아닌 물고기들을 자기가 엄마인양 그랬을까.
오늘 복효근의 <따뜻한 외면>,이란 시집이 와서 읽노라니 유독 이 '성(聖) 물고기' 와 '한 손'이
마음에 스민다.
거친 물살에 제 살을 깎으며 강을 거스르지도 못하는 나의 물고기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