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聖) 물고기

 

 

 

                       기어이 가야 할 그 어딘가가 있어

                       여울목을 차고 오르는 눈부신 행렬 좀 보아

                       잠시만 멈추어도 물살에 밀려 흘러가버릴것이므로

                       아픈 지느러미를 파닥여야 하네

                       푸른 버드나무 그늘에서조차 눈 감지 못하네

                       오롯이 지켜야 할 무엇이 있어

                       눈 뜨고 꾸는 꿈은 얼마나 환할 것인가

                       그 아득한 향수가 아니고서는 비늘이 온통 은빛일 리가

                    없지

                       뉘우침이 많은 동물이어서

                       평생을 물에 제 몸을 씻으며

                       물고기는 한사코 길을 간다네

                       온몸으로 물을 뚫고 길을 내지만

                       이내 제 꼬리지느러미로 손사래를 쳐 지워버리네

                       지나온 길은 길이 아니라네

                       제 몸 길이만큼만이 길이어서

                       발자국도 그 어떤 흔적도 남기지 않네

                       화살촉 같은 몸짓으로 말하네

                       살아 있는 물고기만이 비린내가 없다고

                       그러나 그것만이 살아야 할 이유는 아니라는 듯

                       묻고 있네

                       네 가슴에도 천국의 지도 하나쯤 품고 있느냐고

                       낚시 바늘에 얹힌 한 끼 식사에 눈길 주지 않은

                       몇 마리 물고기

                       거친 물살에 제 살을 깎으며

                       강을 거슬러 오르네  (P. 12 )

 

 

 

 

                        한 손

 

 

 

                        간도 쓸개도

                        속도 배알도 죄 빼내버린

                        빈 내 몸에

                        너를 들이고

                        또 그렇게 빈 네 몸에

                        나를 들이고

                        비로서 하나가 된

                        간고등어 한 손    (P.50 )

 

 

 

                                                    - 복효근 詩集, <따뜻한 외면>-에서

 

 

 

 

     집의 어항에서 며칠 전, 새끼물고기가 몇 마리 태어났다.

     그런데 블랙테트라 한 놈이 계속 새끼물고기들 주위를 맴돌며, 주변의 다른 물고기들이

     오면 달려가 쫓아낸다. 신기한 일이다.

     보통 물고기들은 새끼를 낳아도 그냥 별 관심을 안 갖는데

     이 놈은 희한하게도 계속 새끼들을 내려다 보며 끊임없는 관심을 가졌다.

     그리고 치어들은, 따로 산란통에 넣어 베이비먹이를 주고 키우는데 이 블랙테트라의

     유별난 모성애에 그냥 놔두니 하루 이틀이 지나자 두 마리가 죽고, 헹갈레의 특징인

     검은 점이 보였다.  블랙테트라의 새끼가 아닌 것이다. 그래서 따로 남은 새끼들이라도

     살리려고 산란통으로 옮겼는데, 그 블랙테트라는 여전히 새끼들이 있었던 그 자리에서

     먹이도 먹지 않고 새끼들을 찾고 있어 자꾸 마음이 쓰인다.

     왜 그놈은 자기 새끼도 아닌 물고기들을 자기가 엄마인양 그랬을까.

     오늘 복효근의 <따뜻한 외면>,이란 시집이 와서 읽노라니 유독 이 '성(聖) 물고기' 와 '한 손'이

     마음에 스민다.  

     거친 물살에 제 살을 깎으며 강을 거스르지도 못하는 나의 물고기들.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3-02-14 20:3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02-14 21:4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02-15 07:2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02-15 09:20   URL
비밀 댓글입니다.

수이 2013-02-15 12:30   좋아요 0 | URL
도서관에 가면 있을까요? 복효근이란 시인의 이름도 저 시도 모두 처음이에요.
따뜻한 외면-이라니, 펼치기도 전에 일렁거려요, 나무늘보님.

appletreeje 2013-02-15 18:22   좋아요 0 | URL
시집 신간이라 아직 없을 것 같아요.
희망도서로 신청해 보시면 어떠실지요.^^
복효근 시인의 시는, 몇년 전 '직립'으로 처음 만나 좋았었는데
다시 만나게 됐네요.^^
따뜻한 외면,정말 마음이 일렁여요.*^^*

드림모노로그 2013-02-15 13:03   좋아요 0 | URL
와 역시 시인의 눈은 간고등어 한 손을 보고도 시가 되는군요 ..
모든 것을 비웠을 때 한 몸이 된다는.. 묘한 울림이 전해집니다.
성물고기와 태어난 새끼물고기, 묘한 대조가 이루어지네요
나무늘보님 정말 멋진 조화예요 ^^ 완전 감동 으아 ~ +_+

appletreeje 2013-02-15 18:27   좋아요 0 | URL
우리 드림님의 '눈빛'에 언제나, 경탄을 하고
저야말로 또 완전 감동을 받습니다.~~^^
드림님! 행복한 저녁 되세요.*^^*

2013-02-16 12:3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02-17 00:16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