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행복은 추구한다고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노력해도 안 된다는 허무주의가 아님은 물론입니다. 좋은 미래를 추구하기보다 좋은 과거를 축적해 가는 마음으로 살아가는 것. 두려워할 필요도 없고 기가 죽을 필요도 없이 있는 그대로의 자신으로도 괜찮다는 것. 지금이 괴로워 견딜 수 없어도, 시시한 인생이라고 생각되어도, 마침내 인생이 끝나는 1초 전까지 좋은 인생으로 바뀔 가능성이 있다는 것. 특별히 적극적인 일을 할 수 없어도, 특별히 창조적인 일을 할 수 없어도, 지금 거기에 있는 것만으로 당신은 충분히 당신답다는 것. 그러니 녹초가 될 때까지 자신을 찾을 필요가 없다는 것. 그리고 마음이 명령하는 것을 담담하게 쌓아 나가면 나중에 돌아보았을 때는 저절로 충분히 행복한 인생이 되어 있을 것이라는 것 등등. 이러한 '태도'가 아닐까요.

 

 이것들은 우리가 개인으로서 살아가는 경우의 '태도'입니다만, 사회적 존재로서 우리는 어떤 사회나 세계를 바람직하다고 생각 할까요. 그것은 '존엄'이라는 것이 의식되는 사회입니다. 그리고 사람의 '유일성'이나 '일회성'이 의식되는 사회입니다.

 그렇게 되면 저절로 사람을 상품화하여 물건처럼 취급하는 시장경제의 존재방식이나 사람을 이름 없는 군중으로 바꾸고 공공영역을 생략해 버리는 직접 접근형 사회의 문제에도 새로운 빛이 비칠 것입니다.

 

 새로 생겨난 사회 안에서 '거듭나기'의 인생을 오래오래 즐길 수 있기를 바랍니다. (P.191~192 )

 

 

 

 제가 이 책에서 말하고 싶었던 것은 그런 낙관적 인생론이나 행복론을 체로 쳐서 비관론을 받아들이고 죽음이나 불행, 슬픔이나 고통, 비참한 사건에서 눈을 돌리지 않고, 하지만 바로 그렇기에 인생을 마음껏 살아가는 길을 보여 주는 것이었습니다. 이는 바로 "인간이 덧없이 죽을 운명에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어디까지나 겸허히 인간적인 것을 긍정한다"(테리 이글턴, [신을 옹호하다])는 것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신생 新生의 힘'내포하고 있습니다. (P.195 )

 

                                                             -강상중의, <살아야 하는 이유>-에서

 

 

 

 

 


댓글(8)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3-02-05 15:3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02-05 19:5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02-05 16:3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02-05 19:59   URL
비밀 댓글입니다.

드림모노로그 2013-02-06 09:46   좋아요 0 | URL
아 테리 이글턴의 말은 곱씹을 수록.. 가슴에 와닿는 말 같습니다 ㅎ
자꾸 머릿속에 맴돌더라구요 ㅋ^^

appletreeje 2013-02-06 10:09   좋아요 0 | URL
제가 이 책, 드림님 리뷰 보고 읽었지요.~^^
좋은 리뷰는 좋은 책들을 자꾸 전파하는 힘을~!!
ㅎㅎ 드림님,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당~~^^

프레이야 2013-02-06 15:27   좋아요 0 | URL
옮겨주신 글귀만으로 차분하고 진중하게 읽히네요. 좋아요^^

appletreeje 2013-02-06 19:26   좋아요 0 | URL
히히~~프레이야님께서 좋다고 하시니까, 저는 더 좋습니다.^^
늘 프레이야님께 감사드리며 좋은 저녁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