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은 불상들의 전시가 있었다. 이 전시회의 표제인 '來如哀反多羅'는 신라 향가인 風謠[功德歌]의 한  구절로서, '오다, 서럽더라'의 뜻으로 새겨진다. 당치도 않은 일이지만, 이 이두문자를 의역하면 '이곳에 와서, 같아지려 하다가, 슬픔을 맛보고, 맞서 대들다가, 많은 일을 겪고, 비단처럼 펼쳐지다'로 이해되는데, 그 또한 본래의 뜻과 그리 멀지 않은 듯 하다. 오래전부터,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시들을 같은 제목으로 엮어보고 싶은 은밀한 바람이 있었다

 

                                                                 2012년 겨울 이성복/ 시인의 말.

 

 

 

 

                                  선생 2

 

 

 

 

                         종강하던 날 영문과 여학생이 준

                         사탕 봉지에 카드가 들어 있었다

 

                         선생님께서 그토록 열심히

                         가르쳐 주셨건만, 형편없는

                         시만 쓰고 졸업하게 되었군요

 

                         그래, 그건 정말 내가

                         하고 싶은 말이다

 

                         좋은 선생님들 밑에서

                         남부러울 것 없이 공부했지만,

                         되도 않은 시나 쓰면서

                         그게 바로 시라고 가르쳐 왔으니

 

                         제사 때마다 나 글 잘쓰게 해달라고

                         빌던 어머니 보시기에도,

                         지 애비 신문 났다고 무슨 경사

                         난 줄 아는 자식 놈들 보기에도

 

                         나는 부끄러운 시만 써왔으니,

                         오래도록 영문과 여학생의 말은

                         귓가를 떠나지 않는다   (P.25 )

 

 

 

 

 

 

 

                             이별 없는 세대 2

 

 

 

 

 

                             당신의 눈자위에 어른거리다가 잔잔한 나무가 되렵

                          니다 바람 부는 들판은 내 앞에 있고 안개 속에서 늙

                          은 여자 목소리가 들립니다 

                             이제부터 나의 몸체는 흔들립니까? 나라의 가난한

                          변두리를 떠나지 않고 흔들립니까? 어둠을 확인할 만

                          큼 애매한 빛 속에서

                             당신의 눈자위에 어른거리다가 잔잔한 나무가 되렵

                          니다 순수한 굴절과 不動이 나의 꿈이지만 잠자던 痛

                          覺들은 깨어났습니다

                             내가 신음하면 당신은 나를 잊어버릴 테지요 큰 소

                          리로 당신이 나를 부르기 전에는, 그러나 입안에 溫

                          氣가 남지 않아요  (P.37 )

 

 

 

 

 

 

                             돌에 대하여

 

 

 

 

 

                             돌은 제 얼굴을 만질 수 없다 아, 얼마나 답답할까

                           돌은 제 그림자를 숨길 수 없다 아, 얼마나 난처할까

                           돌은 제 눈물을 삼킬 수 없다 아, 얼마나 서러울까 전

                           에는,  전에는 ......   돌은 더듬거린다    여기는, 여기

                           는 ...... 돌은 두리번거린다 돌은 부딪쳐도 부서진 줄

                           을 모르고, 돌은 으스러져도 제 피를 볼 수 없다  (P.106 )

 

 

 

 

 

 

 

                            來如哀反多羅 6

 

 

 

 

                            헤아릴 수 없는 곳에서

                            무엇을 헤아리는지 모르면서

 

                            끓는 납물 같은 웃음을

                            눈 속에 감추고서

 

                            한낮 땡볕 아스팔트 위를

                            뿔 없는 소처럼 걸으며

 

                            또 길에서 너를 닮은 구름을 주웠다

                            네가 잃어버린 게 아닌 줄 알면서

 

                            생각해보라,

                            우리가 누구인지,

 

                            어디서 헤어져서,

                            다시 못 만나는지를  (P.135 )

 

 

 

 

 

 

 

 

 

 

 

 

 

 

 

 

 

 

 

 

 

 

 

 

 

 

 

 

 

 

 

 

 


댓글(8)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3-02-01 08:0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02-01 20:28   URL
비밀 댓글입니다.

보슬비 2013-02-01 13:00   좋아요 0 | URL
'래여애반다라' 이 책 요즘 자주 알라딘에 노출되어 있어서 알게 되었는데, 제목 때문에도 많이 어려운 느낌이라 선뜻 손에 가지 않을것 같아요. -.-;;

오늘 나부늘보님과 앤님이 추천해주신 시집 2권이 도서관에 도착했다는 문자를 받았답니다. 비가 와서 오늘은 집에 있으려했는데, 도서관에 다녀와야할것 같아요. 도서관 때문에라도 간단하게 걷게 되는것 같습니다.ㅎㅎ


appletreeje 2013-02-01 20:36   좋아요 0 | URL
ㅎㅎ 부드러운 시집은 아니예요.
그래도 시인의 관조가 좋았어요.

즐거이 읽으시길 바래요.^^ 그 시집의 서문 중,
사랑은 지금이다. 사랑은 '하였다'도 '하리라'도 아니다. 언제나 '한다'이다.라는 귀절이 마음에 남아요.

보슬비님! 좋은 밤 되세요.*^^*

2013-02-01 14:5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02-01 20:37   URL
비밀 댓글입니다.

비로그인 2013-02-01 21:43   좋아요 0 | URL
이성복을 열심히 읽었던 예전이 생각나 오랫만의 시집을 반갑게 손에 들었는데 생각만큼 잘 읽히지 않더군요.

최승자의 시 중에 '시인 이성복에게'라는 시를 최근에 보게 된 것도 한 원인인 것 같습니다.


시인과 나, 둘 중에 하나는 필히 변한듯 싶습니다.

appletreeje 2013-02-01 23:43   좋아요 0 | URL
제가 처음, 이성복을 읽은 것은 '남해금산'의 '序詩'였던 것 같습니다.
최승자의 '이 時代의 사랑'을 펼쳐 '시인 이성복에게'를 다시 읽어 봅니다.
바다의 날개.....
하늘의 지느러미....)
저도 그렇군요.

단잠님, 좋은 밤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