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다른 예수 - 비교종교학자 오강남 교수의 '도마복음'풀이
오강남 지음 / 예담 / 2009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여러 해 전 종교학자이며 많은 책을 저술하신 최준식 교수님께 종교학을 비롯하여 인문학 전반에 대한 강의를 몇 년에 거쳐 들을 기회가 있었다. 그 시기가 내 인생에서 또 한 번의 알을 깨던 시기였던 것 같다.

 

 새로운 세계에 접하며 무지의 자각과 더불어 많은 질문이 일어났었다. 그냥 받아들이지 못하고 질문을 하던 나를 향해 교수님은 도마 같다고 하셨다. (최 교수님은 기억 못 하시겠지만) 의심 많은 인물인(긍정적인 이미지는 아닌) 도마라고 칭해지던 나는, 교수님께 아마도 귀찮은 아줌마 학생이었으리라 생각하니 웃음이 슬며시 나온다.

 

도마복음이 있다는 것만 막연히 알고 있다가 우연하게 도마복음을 오강남 교수님이 풀이한 이 책을 읽게 되었다. 그리고 내가 도마라고 불러지던 것에 오히려 뿌듯함까지 느끼게 되었다. 그리고 영성이란 주제에 대해서도 다시 생각하고 정리할 수 있는 기회였다.

 

도마복음이 공관복음과 다른 가장 큰 특징은 공관복음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고 있는 기적, 예언의 성취, 재림, 종말, 부활, 최후의 심판, 대속 등에 대한 언급은 거의 없고, 그 대신에 내 속에 빛으로 계시는 하느님을 아는 것, 이것을 깨닫는 깨달음을 통해 내가 새사람이 되고 죽음을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을 계속 강조한다는 점입니다.(20)

 

 교회에서 믿음이 좋은 사람이라고 하면, 교회에서 가르치는 것이면 무조건 사실인 것으로 받아들이는 사람을 의미한다. 그리스도교 역사에서 근대에 와서야 이런 형태의 믿음이 믿음으로 강조되기 시작하다가 근래에는 급기야 믿음이라면 바로 이런 것이 전부인 것처럼 생각되는 경지에 이른 것이다. (190)

 

 제49: 예수님께서 말씀하셨습니다. “홀로이며 택함을 받은 이는 행복합니다. 나라를 찾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여러분은 그곳에서 와서 그곳으로 돌아갈 것입니다.”

 

 도마복음은 계속해서 홀로 됨을 강조한다. 사람들이 많은 교육을 받고 정보 사회가 된 현대에서는 종교가 무조건 믿어라가 아니라 스스로 깨달음을 강조하는 신비적 경향성을 띠지 않을 수 없다. 깨친 사람은 홀로서게 된다. 이제는 개인적 영성의 시대가 되고 홀로의 가치를 중시하는 경향은 더 커지고 있다.

 

도마복음의 예수님은 천지개벽같은 우주적 대사건의 종말이 아니라, 깨침을 경험함으로써 가능한 내적 변화 같은 것을 통해 옛 사람이 죽고 새 사람이 부활하는 개인적이고 내면적인 개벽을 강조한다. 이런 독특한 종말관 때문에 도마복음이 정경으로 채택될 수 없었는지도 모른다. (254)

 

 제113: 그의 제자들이 예수께 말했습니다. “그 나라가 언제 올 것입니까?” 그 나라는 기다린다고 오는 것이 아닙니다. ‘여기 있다.’, ‘저기 있다.’ 할 성질의 것이 아닙니다. 아버지의 나라는 온 세상에 두루 퍼져 있어 사람들이 볼 수 없습니다.”

 

 나라는 미래 어느 시점에 도래하는 무엇이 아니라, 어제와 오늘과 내일에 관통하는 것, ‘영원한 현재에 존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 나라는 이미 여기 있지만 우리는 그것을 의식하지 못하고 있을 뿐이다. (419)

 

 베드로가 여성이 절대 구원받을 수 없다고 한 데 반해, 예수님은 여자들도 구원받을 수 있음을 강조한다.(422) 또한 성별과 상관없이 새로운 변화를 받아 완전한 인간으로 다시 태어나야 구원받을 수 있다고 했다. 이는 바울의 표현을 빌리면 그리스도와 하나가 되고 그리스도를 옷으로 입은 사람들그리스도 안에서 하나이기 때문남자와 여자가 없다는 것이다.(3:27-28) (424)

 

 공관복음서에 의하면 예수님의 기본 가르침은 회개하라. 천국이 가까이 왔다.”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마복음에서는 회개하라눈을 떠라’, ‘정신 차려라등 의식 변혁을 촉구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한다. 천국은 하느님의 주권, 임재 등을 뜻한다고 한다. 가까이의 의미도 시간의 개념보다는 공간의 개념으로 내 속에 있다는 뜻으로 이해 할 수 있다고 한다.

 

도마복음의 이런 해석이 공관복음과 상충되는 것은 아니라고 한다. 오히려 공관복음의 해석이 좀 더 깊어져야 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도마복음은 여타 신비주의 전통의 종교와 하나로 연결되고 있으며 결국 단어와 표현은 조금 다르지만 향하는 곳은 같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 속에 있는 하느님, 나의 진정한 나는 바로 하느님이라는 엄청난 진리를 깨우치면 우리는 진정한 자유와 떳떳함과 늠름함을 누릴 수 있다. 나아가 우리 속에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 속에도 똑같이 하느님이 계시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될 때 자연히 다른 사람들과 동질성을 느끼고 그들을 사랑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