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전도에 대해 30년을 연구해온 저자가 실용적인 목적으로 쓴 책이다. 직접 다양한 실험하면서 찍은 사진들과 설명으로 쉽게 초전도 실험을 해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과학에 관심있는 학생들과 함께 직접 실험해보면 좋을 것 같다.

 

필자는 본 도서가 과학을 지도하는 과학교사들과 과학자들을 꿈꾸는 청소년들에게 눔으로 보는 양자역학, 초전도 현상에 대한 유익한 정보를 기대하기 바란다.” (프롤로그 7)

  

 

 

 

 

 

 

 

 

 

 

 

 

 

 

 

 

 흥미있게 읽었다.  요즘 사람들이 관심을 가질만한 주제들에 대해 정리할 수 있다. 특히 내가 재미있게 읽은 내용들이다.

학대는 정말 대물림될까? (캐럴태브리스) 그렇지 않다고 한다.

자연의 목적은 인간이 아니다.(마이클 서머) 우리 인간은 자연이 만들어낸 뜻밖의 행운, 진화의 기벽, 장엄한 우연에 불과하다.

자유의지와 자율의지(빅터 J. 스텐저) 우리가 판단을 내리기 전에 이미 뇌가 그 판단의 토대를 제공한다. 우리가 지각하지 못하는 가운데 결정이 내려지는 경우가 많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전자는 실재하는가?(김상욱) 전자가 실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받아들이기는 힘들지만 측정하기 전에 전자는 실재하지 않는다. 아인슈타인 역시 이 개념을 받아들이지 못했다.

 

 

 

 

 

 

 

 

 

 

 

 

 

 

 

칼 세이건 서가 20주기 기념으로 나온 책으로 저술한 지 30년이 된 책이다. 고대에 공포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던 혜성이 과학의 발전과 함께 하나하나 실체를 벗어 가는 과정이 그려지고 있다.

1부 혜성의 본질

2부 혜성의 기원과 운명

3부 혜성의 미래

우리는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혜성 여행을 시작한 시대에 살고 있다. 언젠가는 어쩌면 다음 세기에- 인간을 실어 나를 것이다. 우리는 혜성에 살게 될 테고, 로켓 엔진과 뉴턴 법칙의 도움으로 이 혜성들을 조종하게 될 것이다. 만약 그런 날이 온다면 우리는 !쿵 족의 믿음이 옳았음을 완전히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쿵 족은 혜성을 길조로 여긴 유일한 문화권이었다. !쿵 족의 언어로 혜성은 위대한 함장들의 별이다.’ (45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