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만 년의 폭발 - 문명은 어떻게 인류 진화를 가속화시켰는가
그레고리 코크란.헨리 하펜딩 지음, 김명주 옮김 / 글항아리 / 2010년 10월
평점 :
절판


 과학적 사실들을 인용하여 여러 가지 예를 들고 있지만 이 책은 과학책은 아니다. 흥미 있게 진화를 이야기 하지만 다윈의 진화론과는 관련이 없다고 생각된다. 사회적 진화론에 바탕을 둔 인문학 책이며, 인종차별주의를 옹호했던 우생학의 끄트머리를 붙잡고 있는 책이라고 생각된다.

 

   이 책의 주장은 한마디로 인류의 진화는 농경이 시작된 1만 년 전부터 가속화 되었고 지난 몇 천 년 동안의 진화의 변화율은 몇 백만 년 동안의 진화의 변화율에 비해 100배 이상 빨라졌다는 것이다. 인간의 진화는 5만 년 전에 멈추었다고 한 굴드와 같은 과학자들의 무지(?)에 대해 비판을 가한다.

 

   ‘우리는 인종 집단들 사이의 명백한 차이들은 최근에 빈도가 증가하여 적응도에 큰 영향을 미친 유전자 변종들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한다.’ (33)

 

   5만 년 전에 인간의 진화가 멈추었다는 표현에서의 진화는 인간의 종 분화를 이야기 하는 것이라 생각되는데 저자들은 개념 구분 없이 진화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또한 위의 표현에서 보듯이 인종간의 차이를 강조한다. 진화의 가속도란 인종간의 차이가 점점 커지고 있다는 말의 다른 표현이라고 보인다. 이 주장을 펼치기 위해 인용한 여러 가지 과학적 예들의 적합성은 전문가들이 밝힐 일이지만 이 책의 기본 전제 자체가 타당성이 있는지 의문이 든다.

 

   ‘그러니까 약 4만 년 전, 인간은 해부학적으로나 행동에서나 현대적이 되었다. 그들은 그들의 조상들보다 엄청나게 큰 혁신 능력을 갖고 있었고 그것은 아마 어느 정도는 그들의 네안데르탈인 사촌들에게서 훔친 유전자 덕분이었을 것이다. 문화가 변하는 속도는 10배쯤 증가했고 빙하가 물러나고 새로운 기회가 열렸을 때 그 속도는 더 가속화되었다.’(86)

 

   ‘인간개체군들 사이의 생물학적 차이는 오직 한 꺼풀 깊이의 피상적인차이일 뿐이라는 해묵은 이야기는 이제 재고할 때가 되었다. 그것은 사실이 아니다. 우리는 온갖 종류의 기능들에 존재하는 유전적으로 유발되는 차이들을 알고 있고 이러한 차이들은 모두 적응도(자식의 수)의 유의미한 증가를 일으킬 만큼 중요했다.‘ (118)

 

   농경으로 인해 문화적으로 뿐만 아니라 유전적으로도 변했다고 한다. 인구 밀도가 높아지고 이로 인해 유전적 돌연변이도 더 빨리 발생할 수 있어서 1만년이란 시간 동안 유전적 변화가 충분히 일어날 수 있다고 한다. 유전적 변화의 증거로 골격의 변화 등을 예로 들고 있다. 그러나 그 근저에 흐르는 저자의 생각은 조금 염려스럽다. 

 

   ‘가장 흥미로운 종류의 유전적 변화는 인간의 성격과 인지 능력에 영향을 주는 변화들이고, 그러한 변화가 실제로 일어났다는 믿을 만한 증거가 있다.’ (127)

 

   농경의 경험이 가볍거나 없는 집단의 구성원들은 오랫동안 농경문화를 경험한 집단의 구성원들보다 평균적으로 덜 복종적일 것이다. 1636년 피쿼트 전쟁에서 청교도에게 포로로 잡인 인디언들처럼 멍에를 고분고분 견디지 않는다.’ 고전적인 수렵채집인으로 사는 전형적인 부시먼들이 남아프리카의 무정부주의자로 불리는 것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145)

 

   ‘현대 인류의 최근의 팽창들이 모두 문화적 요인들에 의해 추동되었다는 생각은 모든 지역의 현대 인류가 본질적으로 똑같은 능력을 지니고 있다는 개념을 바탕으로 한다. 그것은 인류가 진화를 멈추었다고 생각할 때 얻을 수 있는 논리적인 결론이다.’ (196)

 

   소를 기르게 되면서 돌연변이가 나타나 성인도 락타아제를 생산하게 되어 우유를 소화할 수 있게 되었고 이는 절대적인 이점을 가지게 되며 넓은 지역을 지배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만일 팽창하는 집단의 성공이 어떤 개선된 전술이나 무기에 의존했다면 도전자들이 그것을 복제할 수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유전자를 복제할 수는 없었다. 생물학적 우월함과 싸워 이기기는 어렵고 그러한 우월함을 바탕으로 하는 팽창은 일시적인 문화적 이점을 바탕으로 하는 팽창보다 훨씬 오래 갈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198)

 

   아슈케나지 유대인은 평균 지능이 높고 우월하다고 한다. 그들은 동족끼리 결혼을 했고 그래서 유전적으로 독특하게 되어 이웃들과 다르게 되었다고 한다.

 

   ‘우리는 아슈케나지 유대인들의 돌연변이들은 그들의 지능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 돌연변이들이 생긴 것은 이 집단의 구성원들이 중세 유럽에 금융 직업에 종사하면서 맞닥뜨린 독특한 자연선택 압력들 때문이라고 생각한다.’(265)

 

  저자들의 결론은 무엇일까?

 

   ‘농경의 확산에 뒤따른 우리 종의 급속한 진화는 실로 ‘1만 년의 폭발이라 할 만한 것이다. 이 폭발은 현재진행중이다. 인간 진화는 해부학적으로 현대적인 인류가 출현했을 때 혹은 아프리카 밖으로 나왔을 때 멈추지 않았다. 인간의 진화는 결코 멈춘 적이 없다.‘(276)

 

   ‘역사의 실험들이 내놓은 결과의 일부는 인간의 수명과 인지 능력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는 우리의 더 야심찬 시도들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277)

 

   ‘이제 과학 연구자들이 진화의 정체나 심적 동일성같은 일련의 도그마들을 떨쳐버릴 때가 되었다. 세상을 얻기 위해서는 더 이상 잃을 시간이 없다.‘(277)

 

   인류의 문명이 진화에 어떤 영향을 주었고 그 생물학적 변화가 다시 문명을 어떻게 변화시켜 왔는지가 이 책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결국 저자들은 인종간의 차이와 그들이 생각하는 우월한 인간으로 개조하는 것의 정당성을 말하고자 한다는 생각이 든다. 그들이 말하는 세상을 얻는다는 것이 무슨 뜻인지 나로서는 알 길이 없지만 다윈은 진화론에서 적어도 방향성을 이야기 하지 않았다. 오히려 다양성의 증가를 이야기 했다.

 

   시국이 어수선하고 촛불 집회가 매주 진행되고 있다. 그에 맞서는 집회도 열리기 시작했다. 자신의 단기적 이익을 위해 촛불에 맞서는 집회에 참석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 사회와 인류역사를 바라보는 눈이 자신이 속한 집단의 이익을 위해 사실을 왜곡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무엇이 진실인지 제대로 파악할 수 있는 판단력을 길러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 판단력의 밑 걸음이 현재로서는 과학이라고 생각한다. 과학적 사실을 제대로 알아야만 할 이유가 분명해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