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트] 풀꽃도 꽃이다 - 전2권
조정래 지음 / 해냄 / 2016년 7월
평점 :
일시품절


  많은 광고와 유명 작가, 그러나 읽고 난 후 실망감을 감출 수 없었다. 빠르게 읽히고 몰입감은 있지만 진보신문이나 잡지의 글을 모아놓은 것 같아, 이렇게도 소설을 쓸 수 있구나하는 생각마저 들었다.

 

  신문에 나오는 기사들은 현실을 반영하지만 사실 극단적인 예인 경우가 많다. 그러나 작가는 거르는 것 없이, 하나의 사례를 깊이 파고든 것도 아니고 그런 극단적인 사례들로 소설의 처음부터 끝까지를 채웠다. 신문에서 보면 되는데 굳이 소설이라는 책으로 엮어서 만들 필요가 있는 것일까?

 

  교육은 소설 속 주인공처럼 최상의 부모 밑에서 최고대학을 목표로 공부만 강요당하거나, 어른 이상의 논리로 무장한 똑똑한 아이들, 가출한 아이들 등 소수의 학생들까지 포함해야 한다.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아무런 집중 조명도 받지 못하는 대부분의 평범한 아이들도 교육의 주인공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학교에서 소위 말하는 지겨운 공부, 시험(굳이 일제고사라는 표현을 쓰며 거부감을 조장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을 반대를 하는데 대다수의 보통 사람들은 학교에서 재미있게 놀이만 해야 한다고 생각하지는 않을 것이다.

 

  학습은 원래 좀 지겨운 거다. 그래서 끊임없는 격려와 관심이 있어야 할 수 있는 거다. 그러나 그런 과정을 통해 한 사람으로서 살아가는데 필요한 역량을 배워가는 거다. 그런데 학생이 관심 없는 공부는 학교에서 가르치지 말아야 한다고 하면, 부모가 가르칠 상황이 안 되는 (소설 속 강교민이나 돈이 많아 과외로 밀어붙일 능력이 안 되는)집의 자식들은 기본적인 것도 못 배우고 사회로 나와야 한다는 이야기다.

 

  시험도 마찬가지다. 줄 세우기라고 예민한 반응을 보이는데, 고대로부터 시험은 존재해왔다. 갑자기 현재 우리나라에서만 나타난 것은 아니다. 모두가 능력이 같을 수 없다. 시험의 단점과 부작용을 극복할 방안을 찾아야지 없애는 것은 비현실적인 이야기다.

 

  작가의 의식은 80~90년대에 머물러 있는 듯하다. 요즘 대부분의 부모는 자식을 대학에 보내고자 하지만 그렇게 무지막지하게 강요하지 않는다. 마음껏 사교육을 시킬 경제력이 대부분의 부모들에게는 없을뿐더러 자식을 마음대로 주무를 수 있다고 생각하지도 않는다. 그리고 우리사회는 이미 대학졸업자라 하더라도 원하는 직업과 기회를 가질 수 있는 사회가 아니기 때문이다.

 

  또한 작가의 남녀에 대한 생각도 시대에 뒤떨어진다. 다소곳하고 소극적인 여성상과 여자는 어떠해야 한다는 고정 관념이 이상적인 모습임을 표방하는 소설 속 교사를 통해 그려지고 있다.

 

  대장장이가 되고 싶어 하는 학생의 부모님을 설득하는 근거를 보면, 대장장이가 네 명의 자식을 다 공부시키고 어렵지 않게 살며 1년에 1억씩 저금을 한다는 것이다. 역시 극단의 인물을 내세운다. 최고의 대학을 보내기 위해 사교육에 목을 매며 자식을 잡는다고, 소설 전반부에서 내내 비판한 경제력 있는 극단의 엄마들이 가진 사고방식과 돈을 많이 벌기 때문에 대장장이를 해도 된다는 작가의 사고방식에 무슨 차이점이 있는가?

 

   바람직한 교육을 누구나 바라고, 학생들이 행복한 교육을 누구나 꿈꾼다. 그러나 그 시대와 사회를 뛰어넘어 교육을 논할 수는 없다. 사회의 변화와 더불어 사람들의 의식과 교육도 함께 변해야 한다. 분명한 것은 정치권의 입장에 따라 널뛰는 교육도 문제지만 이 소설을 통해 보여지는 것처럼 진보라고 자칭하는 지식인의 관념 속에서 그려지고 있는 교육도 문제이기는 마찬가지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