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식주의자
한강 지음 / 창비 / 2007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채식주의자>, <몽고반접>, <나무 불꽃> 세 단편 소설이 하나의 장편 소설을 이루고 있다. 맨부커 상을 받았다고 하는데 새삼 번역의 중요성을 생각하게 한다. 책을 통해 흐르는 옥죄는 분위기는 이 책을 덮고 나서도 여운을 크게 남긴다. 현실에서 공감하는 정서이기 때문일 것이다. 소통 부재, 폭력, 답답함 이 단어들이 내게 다가온다.

 

소통 부재 소설은 시종일관 등장인물들 사이의 소통 부재를 다룬다. 하지만 우리는 너무도 익숙한 우리 자신들의 모습이기에 문제의식조차 느끼지 못하고 자연스럽기까지 하다.

 

  부부로 함께 살고 각자의 역할은 충실히 하고 있지만 서로에 대해 전혀 모른다. 영혜가 왜 채식주의자가 되었는지 끝끝내 알 수 없다. 어느 날 갑자기 채식주의자가 되었지만 이유를 알아야 할 필요조차 못 느끼는 남편과 살아야 하는 영혜는, 결국 이 세상에서의 삶의 끈을 놓고 싶어 한다.

 

  정신 병원에서 점점 세상과 멀어지는 영혜를 보며, 언니도 사실은 이 세상과 어떠한 소통도 하지 못했음을, 영혜의 모습이 곧 자신이 원했을지도 모르는 모습임을 깨닫는다.

 

문득 이 세상을 살아본 적이 없다는 느낌이 드는 것에 그녀는 놀랐다. 사실이었다. 그녀 는 살아본 적이 없었다. 기억할 수 있는 오래전의 어린 시절부터 다만 견뎌왔을 뿐이었 다.’

 

그 순간 그녀는 뜻밖의 고통을 느꼈다. 살아야할 시간이 기한 없이 남았는데, 그것이 조금도 기쁘지 않았던 것이다.’

 

폭력 - 소통 부재와 더불어 이미 만연해 있는 가족 간의 폭력. 채식주의자가 되어 고기를 전혀 입에 대지 않는 영혜에게 대화를 시도하거나 이해하려는 가족은 보이지 않는다. 염려와 안쓰러움을 느끼지만 각자 자신의 방식대로 해결책이라 생각하는 것을 밀어붙인다.

 

  고기는 무조건 먹어야 하는 것이라면서 딸의 빰을 치며 고기를 입에 쑤셔 넣는, 걱정하기 때문이라고 하는 아버지의 모습은 익숙한 우리 아버지들의 모습이며 불통과 폭력의 상징처럼 느껴진다. 그 장면에서 어린 날 영혜와 그 형제들이 살아왔을 모습도 그려진다.

 

 

답답함 결국 영혜가 왜 채식주의자가 되었는지, 왜 식물이 되고 싶어 했는지 알지 못한다. 꿈에서부터 시작된, 주인공의 변화에 대해 어느 누구도 끝까지 이야기를 듣지 못했다.

 

  모두가 그렇게 살아간다. 그냥 주어진 역할에 충실하게. 버거워 보이는 삶을 척척 해결해나가는 것처럼 보였던 언니도 사실은 거울 속에선 눈에서 피가 흐르는 자화상을 본다.

 

  처제의 몽고반점에 영감를 얻고 도를 넘어선 작품과 넘어선 안될 선을 넘은, 평범해보였지만 새처럼 날고 싶어 했었던 남편의 욕망을 어떻게 해석할지 언니는 결코 답을 알 수 없었다.

 

어디서부터 잘못 되었을까.

언제부터 이 모든 일들이 시작되었을까. 아니 무너지기 시작했을까.

그녀를 둘러싼 모든 사람의 삶이 모래산처럼 허물어져버린 것을...... 막을 수는 없었을까.‘

 

 

  자신의 의지대로 채식주의자라는 삶과 식물이 되려고 한 영혜 뒤에 남겨진 모든 고통을 감내하며 어떤 자유로운 선택과 결단도 할 수 없는 언니는 이 시대의 상징처럼 느껴진다.

 

‘......이건 말이야.

......어쩌면 꿈인지 몰라.

......꿈속에선, 꿈이 전부인 것 같잖아. 하지만 깨고 나면 그게 전부가 아니란 걸 알지...... 그러니까. 언젠가 우리가 깨어나고 나면. 그때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