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키 박물관 산책 - 문화인류학자 이희수 교수와 함께하는
이희수 지음 / 푸른숲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짧은 대중서인 이 책에서 터키를 사랑한다고 당당히 이야기 하는 터키 전문가 이희수 교수의 저력이 느껴진다. 저자의 원숙함 속에 깊은 내용들을 녹여, 재미있고 쉽게 이해할 수 있게 쓰여 있다. 책을 들자 어느덧 책 속에 빠져 들게 된다.

   단순한 터키 박물관 해설서인줄 알고 읽기 시작했었는데 터키를 둘러싼 역사와 문화를 무척 쉽게 알려주는 책이었다. 세계사에 거의 문외한이었던 내가 머릿속 여기저기 흩어져 있던 단편적 지식들의 줄기를 엮을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물론 터키에 박물관(우리가 통상적으로 생각하는)이 있기는 하지만 사실 터키는 땅 자체가 하나의 박물관임을 알게 되었다.

   역사란 무엇일까? 민족사의 개념으로 볼 것인가 아니면 영토사의 개념으로 볼 것인가? 터키는 철저히 민족사의 개념으로 보고 있다고 한다. 아나톨리아 반도 즉 터키는 이집트, 트로이, 페니키아, 프리기아, 히타이트 그리고 비잔틴과 오스만제국의 역사까지 모두 품고 있는 곳이다. 이런 터키에서 영토사의 개념으로 역사를 바라본다면 주변의 여러 나라와 갈등과 마찰을 일으키며 끊임없는 분쟁을 일으키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민족사의 관점에서 역사를 교육하며 터키 땅을 거쳤던 다양한 문화를 모두 품어 안고 관용과 공존의 문화를 만들어 내고 있다고 한다.

 

   성 소피아 박물관을 보며 가슴 뭉클했던 기억이 새삼 떠오른다. 그리고 에페소 유적지, 원형극장, 가파도키아, 파묵갈레며,,,,,, 건축물의 규모와 신비로운 자연...... 생각해보니 감동적이었다고 생각했던 터키 여행이 사실은 봐야하고 느껴야 할 것들의 반도 못 보고 반도 못 느끼낀 것이었음을 새삼 깨닫게 되었다.

 

   이 책에는 터키 땅이 살아 있다. 동서양 역사의 교차점이었던 지역의 역사와 문화가 오늘의 터키에 어떻게 녹아들어 갔고 거기서 터키 사람들은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지 알 수 있다. 중고생들이 읽으면 터키에 대한 것뿐만 아니라 세계사적 지식을 넓히는데도 도움이 될 것 같다.

 

우리가 알고 있는 대부분의 문명이 터키를 거쳐 갔고, 수많은 민족이 이곳에서 살고, 싸우고, 죽어 갔다. 세계 문명의 총합이자, 역사의 한가운데를 관통하는 터키 박물관을 다니다보면 문화적 소양이 깊어지는 것은 물론 어느새 세상의 질서와 이치를 깨닫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