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밌어서 밤새읽는 지구과학 이야기 재밌어서 밤새 읽는 시리즈
사마키 다케오 지음, 김정환 옮김, 정성헌 감수 / 더숲 / 201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학생들은 책을 읽을 시간이 거의 없다. 또 시간이 있더라도 손에 늘 쥐어져 있는 스마트폰 하느라 책과는 점점 멀어지는 것 같다. 또한 중학생이 읽을 만한 책 특히 과학관련 책들이 다양하지도 않기 때문인 것 같다.

 

  이 책은 세 가지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제목처럼 재밌다. 그렇다고 내용이 허술하지 않고 쉽게 잘 설명되어 있다. 학생들도 흥미를 느끼며 읽을 것 같다.

 

  Part1 ‘역동적인 지구 이야기에서는 판구조론, 대륙이동설, 고지자기, 산의 높이 측정, 화산과 마그마, 화석, 지구 자기장, 대량 멸종, 전지구동결 가설 등 결코 쉽지 않은 주제들이지만 흥미를 유발하며 쉽게 설명하고 있다. 아틀란티스 전설에 대한 언급이나 히말라야 산맥이 지금도 높아지고 있다(현재 네팔에서 지진이 발생하여 많은 사상자를 냈다.)는 등의 피부로 다가오는 이야기들이 들어 있다.

 

  Part2 ‘알고 있으면 재미있는 기상이야기에서는 코리올리 힘, 태풍, 기압, 대기, 구름 등에 대한 주제로 이야기가 펼쳐진다. 높이 올라가면 태양과 가까워지는데 왜 추운걸까와 같은 호기심을 자극하는 소제목은 책을 읽도록 하는 동력으로 작용한다. 특히 적도지역에서 현재 관광객을 대상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하는 코리올리 실험 쇼의 허구에 대한 이야기를 읽으며 과학이란 이름으로 진행되는 비과학도 많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다.

 

  Part3 '자꾸만 들어도 신기한 우주 이야기에서는 지동설이 나오기까지의 과정, 빅뱅이론, 달 탄생과 조석력, 별똥별, 태양의 핵융합 반응과 초신성 폭발 등에 대해 나와 있다. 또 지구에서 살 수 없게 된다면 우리는 어디서 살게 될까라는 소제목 아래 테라포밍 프로젝트에 대한 설명 은 흥미뿐 아니라 과학적 상상력을 자극하고 있다.

   결코 만만치 않은 주제들이지만 핵심 개념들이 잘 정리 되어있으면서도 실제의 예와 일화들이 적절히 들어있어 흥미있게 읽을 수 있다. 사비를 털어 화산의 전 과정을 관찰 기록한 우체국장의 이야기, 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이 사용한 풍선 폭탄’, 신칸센이 세키가와라 부근에서 눈 때문에 고생하는 이유는 기술적인 이유와 시간상의 문제로 적절한 경로를 택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이야기 등 처음 보는 일본 관련 내용들도 있다. 그리고 노벨상을 받았거나 세계적으로 이름을 날리는 일본과학자들의 이름과 이론이 인용되어 설명되어 있다는 점에 무척 부러운 눈길로 책을 읽었다. 어쩔 수 없는 내 유전자는 조금 거부감을 느끼기도 한 것이 사실이다.

 

  우리 학생들도 우리나라 저자가 우리나라 상황의 예를 들며 설명하는 재미있는 과학책을 읽을 수 있는 날이 오길 기대한다. 그때까지 이 책은 나름대로 지구과학이란 영역에서 학생들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재미있는 책을 찾는 학생들에게 권할 만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