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느 봄 그 해 여름
김성문 지음 / 서울문학출판부 / 2011년 2월
평점 :
품절
결혼하여 시댁이라는 울타리 안에서 남편, 아이들 뒷바라지에 온 정성을 다 쏟고 이제 그 모든 것이 내 살인양 몸에 베어져 버린 이때에 남편은 멀리 떠나고 아이들은 엄마의 손길을 부담스럽다며 멀어지고 이제 무엇을 해야하나? 지금까지 누려보지 못한 나만의 시간을 어떡게 보내야하나?하는 갑자기 생겨버린 시간들을 멍하니 쳐다볼 수 밖에 없는 시간 바로 중년의 여성인 듯하다 그런 중년이 되어버린 수연! 물론 수연의 중년은 다른 대다수의 중년과는 다른모습이라고 말 할 수 있다. 그녀는 쉰네살의 목사 미망인이고 아버지와 같은 목회자의 길을 가고 있는 아들이 있다.
남편의 묘지를 방문한 수연에게 다가온 윤석주를 알아보지 못하고 그저 가슴이 떨려올 뿐이다. 그를 바라보는 수연의 마음은 봄바람처럼 부드러웠고 시간이 갈수록 석주를 향한 수연의 마음은 때양볕 여름처럼 들뜬 모습으로 변해 갔다. 목사의 미망인이라는 목사의 어머니라는 무료 배식을 통하여 얻어진 사모님이라는 모습도 교회의 암묵적으로 내려오는 관습의 시선들도 석주를 향한 알 수 없는 끌림을 막기엔 부족했다. 아니 신경을 쓸 여유조차 없게 만들어 버렸다.어쩌면 어린시절 어머니께서 들려주시던 견우와직녀를 제일로 좋아하는 수연에겐 석주와의 사랑(?)이 예견되어 있었는지도 모르겠다. 이제는 단종 되어서 부품도 소모품도 구할 수 없는 만년필을 간직한 석주,화염과 불길 앞에서 머뭇거리지 않고 달려 들어가 수연을 구출한 석주, 그로인해 석주는 성악가의 길을 버릴 수 밖에 없게 되었다. 잊으려고 발버둥 치다가 마음을 준 지리산의 그녀(산수련), 그러나 잊을 수 없었고 그녀의 피아노를 간직하며 마음을 다잡는가 싶었지만 이제는 찬규로 인해 사랑을 찾을 수 밖에 없게 되었다.
쉰한살의 수연은 남편을 잃기엔 너무 빠르고 여자로 돌아가기엔 너무 늦은 이상한 나이에 평생을 자신만을 위해 숨 쉬어준 남자 석주의 고고학자가 유물을 대하는 사려깊고 날카롭고 이성적인 동시에 따뜻한 감정이 깃든 시선을 받게된다.주위의 시선과 아들이 받을 상처를 생각하며 머뭇 거리는 수연을 유일하게 잘한다는 조용히 기다려 줄 것이라는 석주, 그리고 수연을 사랑했지만 신을 향한 사랑에 평생을 바쳤던 찬규, 찬규를 너무나 닮은 아들 동우,수연에겐 무엇과도 바꿀수 없는 세남자, 찬규와 석주와 동우 그들은 하나같이 고집불통 바보들이었다.
나에게도 슬슬 다가올 중년의 나이, 결혼 초창기에 설레였던 감정들이 생활속에서 무뎌지고 정으로 변해버린 중년의 위치, 어쩌면 중년의 여성들에게 한번쯤은 꼭 다가오길 기대하는 순간이 바로 석주를 향한 사랑(일탈)을 선택한 수연의 사랑이리라. 내가하면 사랑이고 남이하면 불륜이라는 선을 넘어선 사랑.아무리 많은 취미생활을 하여도 해소되지 않을 감정들 그렇다고 수연처럼 찬규처럼 석주처럼 예쁜사랑으로 포장 되어질 건더기는 없을지라도 중년의 여성들이여 자포자기는 금물이다 지금까지의 삶이 충분히 귀하였고 남은 앞으로의 삶도 충분히 아름다울 것임을 잊지말자. 옥분 할머니처럼 당당해지는 노년을 맞이하기 위하여라도 자신을 최고로 사랑할 줄 아는 모습이 될 수있다고 다짐하자. 중년의 여성들은 교양필수처럼 세상의 모든 남자들은 전공필수처럼 이글을 읽어 주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