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어른이 되려나 봐요 - 스페인 아펠레스 메스트레스 상 수상
마리아 마르티네스 이 벤드렐 지음, 카르메 솔레 벤드렐 그림, 김미화 옮김 / 풀빛 / 2011년 3월
평점 :
품절


아이가 엄마 아빠 품에서 태어나 뒤집고 기어다니다가 어느순간 아장아장 걷고 엄마아빠와 맞잡은 손을 놓고 혼자서 뛰어다니면서 성장통이라는 신체적인 아픔을 동반합니다.아픔이지요. 심할경우엔 걷기를 싫어하고 주저앉아 울기까지 하니까요 그러나 그런 성장통을 계기로 아이는 키가 무럭무럭 자라게 됩니다. 성장통에 시달릴때 엄마아빠가 할 수 있는 일은 그저 따뜻한 마음으로 팔다리를 열심히 주물러 주는 것 뿐입니다. 오늘 어른이 되려고 하는(신체적이기보다는 마음적으로 한 생명체로 홀로서기를 시작하는 단계인) 마르타는 누구나가 인정하는 울보이고 아파서 자리에 누운 엄마가 아침마다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땋은 머리라고 속삭이는 활금빛 머리카락을 허리근처에까지 치렁치렁 기른 아이입니다. 엄마가 아파서 황금빛 머리카락을 아침마다 고모가 잡아당겨 빗기며 땋아주지만 엄마처럼 고모에겐 마르타의 머리손질이 소중하지 않은 일이고 어쩌면 귀찮은 일인 것을 압니다. 여름휴가를 계기로 마르타는 황금빛 머리카락을 싹뚝 자르게 됩니다.시간과 함께 마르타의 짧은 머리는 익숙해져서 혼자서도 머리를 빗으며 즐거워하게 됩니다.엄마의 죽음으로 인한 이별에 슬퍼하는 마르타에게 사람들은 슬프고 측은하게 불쌍하게 바라보면서 짧은 머리를 한 마르타가 엄마를 꼭 닮았다고 말해줍니다.슬픈 와중에 마르타는 엄마와 닮은 자신이 너무 좋습니다.이제 마르타는 울보에서 조금씩 조금씩 벗어나는가 봅니다. 거울을 보며 엄마 미소를 볼 줄도 알고 저녁이면 엄마별을 찾으며 어른이 되어갑니다.

손으로 만지고 싶을 정도로 부드러운 느낌을 간직한 그림들과 동화속 폭신폭신한 하트구름 속에서 무지개 이불을 덮은 듯한 따뜻함이 그대로 전해지는 "이제 어른이 되려나 봐요"는 동심을 그대로 보여주고 잇습니다. 아이들의 눈높이에서 그들의 눈물의 의미와 사랑을 미사어구 없이도 마르타의 간략한 생활로 그대로 스케치 된 느낌입니다. 아이를 둔 부모님이 그리고 어른들이 읽어서 가뭄으로 쩍쩍 갈라진 논바닥 같은 마음밭을 가지시기 전에 사막의 오아시스 같은 풍요로움 속 아이들의 동심을 바라볼 수 있기를 그런 아이들의 눈물을 그냥 지나치지 않으시기를 순수한 아이들의 동심을 그 자체로 인정해 줄수 있기를 어른들의 잣대에 아이들을 꾀어 맞추시지 않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