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기억의 피아니시모
리사 제노바 지음, 민승남 옮김 / 세계사 / 2009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나의 시부는 중풍이셨다. 큰며느리인 나를 조카며느리라고 부르셨고,기어 다니는 손자에 대해 굉장한 독점욕을 가지셔서 아무도 가까이 하질 못하게 하셨고 저녁이 되어 엄마 품으로 보낼때엔 너무나 아쉬워하시기도 하셨고 시골에서 사시던 옛날 기억은 선명하시지만 아들 손자 며느리와 같이 사는 것에는 늘 허공을 바라보시듯 공허하신 눈이셨다. 비가 오면 힘이 강해지시고 밖으로 뛰쳐 나가 무작정 직진을 하시던 분이셨다. 결단코 엘리스처럼 고급스런 모습이 아니셨다. 아들은 바빠서 목욕한번 제대로 시켜드리지 못했고 그게 며느리 입장에선 너무 안타깝고 속이 상했던 기억  엘리스의 남편(존)을 보니 그 때의 기억이 떠올라서 더 속상했다.  알츠하이머,중풍 이런 용어를 참 많이 듣는 세대를 살고있다. 기억을 잃어버리고 오래전 일들만을 그것조차도 기억하기 어려운 자신을 잃어 버리는 병. 무엇보다 그 가족들의 삶 마저도 산산이 부서지기 쉬운 병.

지각된 기억이 장기 기억으로 저장 되려면 주의, 되뇜,정교화 감정적 중요성이 필요하며 그런 과정이 없으면 자연스럽게 폐기된다  엘리(엘리스)는 단지 순간의 기억못함은 병이 아니라고 생각했지만 닥터 데이비스는 엘리스에게 조발성 알츠하이머라고 진단했다.그럴순 없다 겨우 쉰살인데 엘리스는 알츠하이머가 아니라 차라리 암이었으면 하고 바꿀수있다면 당장이라도 바꾸겠다고 생각한다.그러면서 엘리스는 깨닫게된다. 자신이 진짜 하고 싶은 일들은  애나의 시험관아기를 안아 보고싶고 리디아의 연극무대를 구경하며 톰이 사랑에 빠진모습을 보고 존과 안식년을 한번더 가지고 싶고 읽을 능력이 없어지기 전에 책을 원없이 읽고 싶다는 생각. 지금까지 하버드에서 언어학 정교수로 일하던 자신의 학구열에 불타던 모습과 관련된 것은 병 앞에서 전혀 아무것도 아니었다 모두가 가족을 향한 생각 뿐이었다. 모든 걸 기억하지 못할때 가족들에게 얼마나 짐이 될까? 하는 염려부터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는 일들이 생길땐 부끄럽고 존을 더 많이 사랑하며 항상 티격거린 리디아를 이해하게 되고  무엇보다 존과 오랜세월 함께 산것이 아니라 나란히 살아왔다는 것을 개닫게 되었다. 일이 삶의 모든열정의 대상이었던 지난날이 속상하지만 그것도 잠시 뿐 여전히 엘리는 기억을 잃어가고 있다.존의 환자를 향한 적극적인 보살핌을 간절히 원하는 나 자신을 바라보면서 반면 존의 나머지 인생을 그리고 남자와 여자의 다른부분을 생각하게 한다.

남자로 태어나 아들이 되고 남편이 되고 아버지가 되고 할아버지가 되실 분들이 읽고 일보다 가족 개인의 열정보다 앞선 가족애를 여자를 병자를 이해하는 시간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