팅커스 - 2010년 퓰리처상 수상작
폴 하딩 지음, 정영목 옮김 / 21세기북스 / 2010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조지 워싱턴 크로스비의 아버지 하워드 에어런 크로스비는 먹고 살기 위하여 축 두 개와 나무살이 달린 바퀴 위에 수십개의 서랍장을 얹어 놓은 짐수레를 가지고 땜장이 일을 하였다.조지는 아버지 보다는 좀더 세련된 직업이라고 느끼는 시계공(태엽감는 시계)이지만 아버지처럼 집을 짓는 모든 일을 할 수 있었다 터파기부터 시작하여 창문을 다는 모든 일을 그러나 그는 공을 던지거나 걷는 것 같은 운동은 정말로 하지 않았고 무척 싫어했다.결국 파킨슨병에 걸렸고 당뇨병을 품었으며 사타구니에 암덩어리가 생기고 나무조각같은 암덩어리로 인해 거실에 환자용 침대에 누워있게 되는 신세가 되었는지도 모른다.
아버지 하워드가 하는일은 땜장이일 뿐이 아니었다.아기도 받아주고 미친개도 쏘고, 불도 꺼주고 이도 뽑아주고 밀주업자 위스키도 팔아주고 아이도 건져주고 무엇보다 옛적 시골 동네에서 흔히 보는 우리에게 친근한 바가지 머리를 깍아주는 일도 한다 그리고 은자와 일년에 한번 파이프 대통을 이용해 담배를 피우는 것도 빼놓을 수 없다.

거실 한켠에 환자용 침대에 누워서 거동을 못하는 조지가 과거로의 여행을 통해 할아버지를 아버지를 만나서 가족의 사랑? 을, 삶이라는 것에 대해 되돌아 보게 되는 팅커스는 복잡하고 엉퀴고 설킨 실타래처럼 그려져 있지만 죽은 남편의 유품들을 향해서 조차 욕을 해대는 아내가 실은 그 욕속에 사랑이라는 감정이 박혀 있다는 것을 알려주고 손자와  할아버지가 바라보는 시선속에 사랑이 베어 있는 것을 느끼기에 충분하다. 미워한다고만 생각했지만 철천지 원수라고만 생각하는 줄 알았지만 그속에 가족애가 숨겨 있다는 것을 임종을 앞둔 자리에서 알게 되다니 참 서글프다.목사님이 돌아가셨다는 한마디로 아버지의 부재를 알게되는 하워드를 만나고 하워드의 부재로 인해 조지와 엄마의 안타까운 나날들을 보게되고 지금 또 손자의 모습을 보게된다.

우리들의 삶도 조지의 회상처럼 엉켜서 진실이 무었인지 분간이 가지 않은 일들이 많겠지만 시간이 지나면 진실보다 더 소중한 것도 있다는 것을 혹시 볼 수 있을 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삶의 길이 진실이라는 도로만 존재하지 않듯이 그러나 그 진실이 또한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도 알아가리라 믿는다. 연세가 드신분이라면 조지처럼 삶을 돌아볼 수 있는 기회를 만날 것이고 젊으신 분이라면 우리의 아버지를 우리의 가족을 둘러볼 수 있는 기회를 만나게 될 것이다. 아들의 입장에 서신 분에게 추천드리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