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선왕조야사록 1 - 실록이 전하지 못하는 놓쳤던 조선사
최범서 지음 / 가람기획 / 2015년 2월
평점 :
어떤 이들은 정사보다 야사가 더 그 시대상황을 잘 안다고 이야기한다. 보통 야사와 정사를 이야기하면서 예로 드는 것이 김부식이 지은 삼국사기와 일연이 지은 삼국유사라고 이야기한다. 김부식의 삼국사기는 사대로써 똘똘 뭉쳐저 있어 삼국시대의 으뜸이 없다고 이야기한다. 하지만 고려시대에 지어진 삼국의 이야기가 사대의 생각이 아니라 고려시대 사람인 김부식의 생각으로 쓰여졌기 때문에 사대가 들어가 보이는 것이리라. 그가 그렇게 정리해 놓지 않았다면 삼국의 이야기는 없었으리라. 또 한사람의 이야기 삼국유사는 일연이 예전부터 내려오는 이야기들.. 믿거나 말거나 하는 이야기들을 모아서 기록해 놓은 것이다. 간혹 사실에 이야기가 더해져 믿기 어려운 글도 있겠으나 그렇다고 그것들이 사실이 없다고는 할 수가 없다. 다만 좀더 자유로워서 그시대의 상황을 쉽게 상상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정사는 이긴 사람들의 이야기라고 이야기하지만 우리나라 임금들은 그나마 정사를 잘 적어놓은 듯 하다. 언관들이 있어서 웬만한 임금들은 손을 대지 못했다. 또한 우리나라 역사를 보면 임금이 그렇게 힘이 있었다고 이야기할 수도 없는 듯하다. 신하들의 발언권이 더 세어 보인다. 직접 앞에서 휘두르지 않는다는 것 뿐...웬만한 일은 임금보다 더 하고 싶었던 일을 하고 살았던 듯하다. 그러한 역사속에서 임금이 정사에 손을 대는 행위는 극히 더물어서 크게 야사랑 다를바 없겠지만 야사는 이야기가 더해지니 상상하는 재미는 넘치는 것 같다.
이 책 조선왕조 500년 야사록은 많이 알려져 있는 이야기도 있지만 예전 학교다닐때 역사선생님이 역사에 흥미를 더해주기 위해서 중간중간 이야기 해주던 그러한 이야기들이 많이 실려 있는 듯하다. 그 당시 역사선생님들은 그러한 글을 어떻게 다 아는지 신기할 정도였는데... 의외로 야사들이 적힌 글이 많이 존재하고 있었나 보다. 이책은 그러한 야사들 중에서도 왕의 시대에 맞춰 야사를 전해주니 시대적 상황정리가 더 잘 되는 듯 하다. 역사에 거부감이 있는 학생들도 이 책을 보면 이 왕이 다스리는 시대에 이러한 이야기들이 있었구나 하면서 한번 더 되짚어 볼수 있을 것이다. 또한 그러한 이야기들을 떠올리면서 그 시대의 상황을 흐름으로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을듯하여 학생들에게도 권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