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까지 따듯해지는 북유럽 스타일 손뜨개 소품 마음까지 따듯해지는 북유럽 스타일 시리즈
Applemints 지음, 김수정 옮김, 송영예 감수 / 참돌 / 2015년 3월
평점 :
절판


나에게 알맞은 책이 왔다. 어떠한 물건이던지 커다란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주로 소품류를 좋아한다. 커다란 것은 작품이라는 이름이 붙기도 하지만 시간도 오래 걸리고 솜씨도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하지만 소품류는 그렇게 솜씨가 뛰어나지 않더라도 간단하게 작업할 수 있기 때문이기도 하고 생활에 바로 적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어떠한 재료던지.. 종류던지 소품을 선호한다. 그러한 나에게 이책은 맞춤형 스타일인 것이다.

 

머플러. 워머. 카라. 조끼. 가방 등 제품이 다양하게 올려져 있다. 거기에 코바늘 뜨기와 대바늘 뜨기도 함께 들어가 있다. 보는 것이 아니라 바로 실천에 옮길 수있는 책인 것이다. 넥워머에 손가락 구멍내기나 본판이랑 앞만 이어주는 방법은 기술자 아주머니들만 알아서 그곳에서만 기술 전수하는 것을 상세하게 알려주고 있다. 말로만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사진으로 설명한다. 실이 같은 색이면 판별을 잘 할수 없을 듯 할것 같아 실을 다른 색으로 해서 보기 편하게 했다. 이 책 하나면 바로 뜰 수 있겠다라는 생각이 들 수 있게끔 도안을 정리 해뒀다. 흑백보다는 칼라를 주어 선명도도 넣었다. 디자인도 예전것이 아니라 촌스럽지 않고 고급스러운 것으로 정리해 두었다. 워머는 다리에만 하는 것인줄 알았는데 팔이랑 손에 끼는 워머도 있어도 세련미도 더해준다. 엄마의 사랑이 더 강하게 보여주는 듯하다. 북유럽풍이라 우리나라에서는 잘 없는 것이기에 말이다.

 

 

조금은 쉬운 듯하여 하나 바로 시작하려 했지만 시간이 여의치 않아서 다음으로 미루었다. 이렇게 또하나의 숙제가 되는 것 같다. 머플러는 대바늘로는 많이 떠 봤는데 코바늘로는 떠 보지를 못해서 어떻게 하나 하는 궁금증도 있었는데 뜨는 법을 상세하게 표현해 줘서 쉽게 풀어갈 수 있었다. 대바늘로 만든 머플러는 약간이 딱딱한 기운이 묻어나는 듯한데 코바늘의 머플러는 의외로 부드러운 맛이 강한 듯 해서 더 포근한 느낌이 더해준다. 코바늘로 머플러와 커다란 작품을 뜨는 것 자체가 신기한 느낌이 든다.

 

뜨개질은 많은 사람들이 시도하는 님들이 많다. 하지만 하나 시도하려면 뜨개방 아주머니에게 계속 가야하는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이책을 보게 되면 그리 어렵지 않게 하나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실과 바늘만 구입하면 누구나 할 수 있을 듯 하다. 요즘에는 남자들도 많이 시도하는 걸로 알고 있다. 아직까지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시선과 마주치기가 어려울 듯 하다. 그런경우에 이 책은 많은 도움을 주게 될것 같다. 다른 이들의 시선도 받지 않고 내가 필요한 것을 만들 수 있을 테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