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달라지는 아이디어 100 - DSLR & 미러리스 좋은 사진 찍는 포토북 사진 아이디어 시리즈
문철진 지음 / 미디어샘 / 2014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어디 여행이나 등산을 가게 되면 누구나가 사진을 찍게 된다. 예전에는 쑥스러움 반 멋적음 반으로 인해서 사진을 잘 찍지 않았다. 카메라야 가지고 있지만 누구를 찍어주기도 누구한테 찍히기도 부담스러웠었다. 왠지 모르는 촌스러움 때문에 그랬을 수도 있지만 왜 그랬는지 모르겠다. 하지만 그 느낌은 지금도 가지고 있다. 다만 예전과 달라졌다면 쑥스럽더라도 무조건 사진앵글에 들어가고 만다는 것이다. 나 자신이 찍히는 것은 당연하게 찍히는데 다른 사람들을 찍어주기에는 아직도 촌스러움이 남아있는 듯 하다. 그래서 다른 사람들의 사진을 잘 흔들어버린다. 흔드는 현상이 자주 있으니 더 자신이 없어지고 그러니까 또 다른 이들을 찍어줄수 없는 악순환이 반복되는 듯하다.

 

사진책도 많이 본 듯 하다. 책만 많이 보면 뭐 하겠나라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책만 열심히 봐도 자연을 보는 눈... 없는 것도 찾아보는 눈.. 이야기가 없는 것에 이야기를 넣어줄 수 있는 감성이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그렇게 보는 눈이 없으니 사진을 찍어도 사진속에 많은 것을 넣으려고 노력하는 듯 하다. 사람 위주 인물사진을 찍는데도 불구하고 그 주변의 자연을 다 넣고 싶은 욕심.. 그러니까 기억력이 모자라는 것을 보상이라도 하려는 듯이 최대한 많은 것을 담으려고 한다.

 

사진이 달라지는 아이디어 100 에서는 의외로 이렇게 찍어도 되냐라는 생각이 들정도로 네모속에 들어있는 자연이 단순하다. 특정부위만 확대해서 찍는 것처럼 찍혀져 있다. 흔들려도 괜찮단다. 하긴 배경사진을 찍으면 약간은 흔들려도 사진자체는 따스한 느낌이 들기도 한다. 물이  흐르는 것을 찍은 것은 왠지 안개 비슷한 모습도 들어가 있는 느낌이 든다. 또한 햇빛이 잘 못 투영되었을 때도 더 좋다는 느낌이 들 때도 있다. 하지만 그러한 충분조건이 되려면 많은 시간 노력이 필요하다는 말도 공감이 간다.

 

100가지 아이디어를 전수하면 그 말에 맞게 찍은 사진도 보여준다. 그 사진은 볼줄 모르는 사람이 보더라도 감탄이 나올 정도이다. 그러니까 사진작가겠지.. 프로겠지라고 고개까지 끄덕이면서.. 나도 찍고 싶다는 욕심이 앞선다. 어디까지나 욕심인 듯 하다. 사진 한장을 찍기 위해서 마냥 기다릴수도 있고 진흙바닥에서도 포복까지 할 수 있어야 하며 모르는 사람과도 친화적이 되어야 가능하단다. 가끔 다른 사람들을 배려해서 앉는 것도 힘이 드는데 포복까지.. 예전에 포복하는 사람보고 이상한 사람이다라고 생각한것이 미안해진다. 작가님의 사진과 글.. 앞으로의 네모 이야기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