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리의 사생활 ㅣ 은행나무 시리즈 N°(노벨라) 4
최민경 지음 / 은행나무 / 2014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마리의 사생활은 100페이지 조금 넘은 단편인듯한 이야기이다. 그렇게 어려운 글도 아니다. 다만 누군가가 있을때에는 그네의 좋은 점보다는 안좋은 점만 보다가 그네가 떠남으로 해서 그네의 존재가 넓은 곳을 채워져 있는 느낌을 받는다는 그러한 이야기이다. 그런데 그것이 그리 나쁘지만은 않다. 주인공은 아주 슬프게 느끼는 듯하지만.. 그런데 나의 생각은?.. 글쎄요다...왜냐하면.. 나의 공간에 제대로 알지 못하는 누군가가 들어와 내 공간을 다 지배하고 있다면 순순히 받아줄 수는 없을 것이다. 더군다나 나와 친한 사람들과 더 친한척 보이는 관계를 만들어간다면 내가 하지 못한것에 대한 은근한 시기심도 생길것이다. 그래서 나의 것에 대한 텃새도 부릴 것이다. 사람이란 서로가 숨기는 것 없이... 개방된 상태에서 그 사람을 좋아할 수도 있고 사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간혹 사랑이 먼저 오지 않더라도 친구라는 감정 그리고 습관적으로 오래된 익숙함들이 곁에 따라오게 마련이다. 그러함 속에서 익숙함을 떠나보내면 허전함과 함께 하게 될 것이다.
어느날 문득 하늘에서 떨어져 들어와 내 공간을 침범하는 것은 반겨하지 않는다. 하지만 마리의 사생활이 그러했다. 아버지의 초상을 치르고 얼마 지나지 않아 밝음이 찾아왔다고나 해야 할까... 그리 단란하지 않은 가정의 아버지였지만 그의 빈자리는 크게 다가왔다. 그것이 존재가치가 크던 그렇지 않던간에 아버지란 존재는 그렇게 자리를 차지 하는가 보다. 아버지의 초상후에서 평안함을 찾은 그네들을 은근히 이해하고 있는 나를 보면 아직은 덜 자란듯한 느낌이 들기도 했다. 또한 옛날 어릴적 편지를 다시 읽고 하는 모습을 보면서 십대로 돌아간듯한 느낌이 들기도 했다. 그렇게 어중간한 빈자리를 채우기에는 약간의 역부족이던 주인공과 엄마 사이에 마리는 찾아왔다. 그런데 마리는 솔직함이 없었던 듯 하다. 명확함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그 어중간한 기분속에 있던 두 모녀는 마리에게 공간을 내어준다. 그렇게 살얼음위의 행복이 그들에게 다가온다. 그것은 언젠가는 깨져 빠져버릴듯한 공간이다.
작가를 온전하게 이해를 한다고는 말하지 못하겠다. 다만 이렇게 어중간한 살얼음위의 행복이 제자리를 찾았다고 해서 갑자기 꿈이 이루어지지는 않을 거라는 얘기를 하고 싶다. 아무리 잘 해줘도 투명성이 없는 삶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사람의 떠남을 아쉬워해야 하는지를 묻고 싶기도 하다. 서로의 자리가 아님을 아는데도 그렇게 사는 것이 행복이었을까라는 생각도 해본다. 내가 잘 해주지 못해서 떠난 사람은 많기도 많을 것이다. 그들 모두가 마리는 아니라는 말을 하고 싶어지는 것은 왜 인지 모르겠다. 이렇게 짧은 이야기속에 너무 많은 의미를 부여하는 나 자신도 이상하다는 생각을 해보면서... 마감하련다..